본문 바로가기
Life/일상 정보

2024년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기준 정리

by sugarlessgum 2024. 1. 31.

 

2024년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연소득 기준 정리
2024년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기준 정리

 

2024년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기준 정리

중위소득은 한 나라의 가구 중 소득이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즉, 가구의 소득을 크기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절반의 가구가 그보다 많고, 절반의 가구가 그보다 적은 소득을 가진 것을 의미합니다.

가계의 경제적 수준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와 사회복지 정책의 기준이 되는 중위소득에 대해 가구원 수에 따라 정리해봤습니다. 

 

목차


     

    중위소득과 가구원 수에 대한 의미와 기준 정의

    중위소득

    가구중위소득은 가구 단위의 소득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중위가구의 생활수준을 가늠할 수 있게 해 준다. 가구마다 가구원수에 차이가 있으므로 가구 간 소득수준을 적절히 비교하기 위해서는 가구원수를 감안할 필요가 있다. 

     

    가구원 수

    전국 일반가구의 평균 가구원수임. 일반가구란 한 주택에 살면서 취사, 취침 등 생계를 같이하는 가구로 혼인, 출산, 입양으로 이루어진 가족단위를 말함. 생활을 같이하는 가구나 5인 이하의 친구 또는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들끼리 모여 생활을 같이 하는 비친족 가구를 모두 포함함.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를 통해 집계된 일반가구수와 일반가구의 가구원수를 이용하여 산출함.

     

    평균 가구원 수

    전국 가구의 평균 가구원수는 1970년 5.2명에서 1980년 4.5명, 1990년 3.7명, 2000년 3.1명, 2010년 2.7명, 2022년 2.2명으로 꾸준히 감소하였다. 평균 가구원수의 감소는 출산율 저하, 핵가족화 및 1인가구 증가 등으로 설명된다. 1985년부터 2005년까지는 4인가구가 주된 가구유형이었는데, 2010년에는 2인가구, 2015년부터는 1인가구가 주된 가구유형이 되었다. 4인가구 비율은 1990년 29.5%에서 2022년 13.8%로 감소한 반면, 1인가구 비율은 같은 기간 9.0%에서 34.5%로 증가하였다. 최근 평균 가구원수 감소에 1인가구의 증가가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2024년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월 기준)

    1, 2, 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월 기준)
    가구원 수 비고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300% 6,685,335 11,047,827 14,143,971  
    200% 4,456,890 7,365,218 9,429,314  
    190% 4,234,046 6,996,957 8,957,848  
    180% 4,011,201 6,628,696 8,486,383 청년도약계좌
    150% 3,342,668 5,523,914 7,071,986 서울 친인척 아이돌봄수당
    120% 2,674,134 4,419,131 5,657,588 청년국민취업
    100% 2,228,445 3,682,609 4,714,657 중장년 취성패
    85% 1,894,178 3,130,218 4,007,458  
    80% 1,782,756 2,946,087 3,771,726  
    75% 1,671,334 2,761,957 3,535,993 긴급복지지원
    72% 1,604,480 2,651,478 3,394,553 청소년한부모자립지원패키지
    70% 1,559,912 2,577,826 3,300,260 가사/간병방문
    65% 1,448,489 2,393,696 3,064,527 ○청소년한부모 급여
    60% 1,337,067 2,209,565 2,828,794 ○한부모,조손가족 급여 ○취성패
    50% 1,114,223 1,841,305 2,357,329 ○기초생활 ○ 차상위

    4, 5, 6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
    월 기준)
    가구원 수 비고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300% 17,189,739 20,087,205 22,855,107  
    200% 11,459,826 13,391,470 15,236,738  
    190% 10,886,835 12,721,897 14,474,901  
    180% 10,313,843 12,052,323 13,713,064 청년도약계좌
    150% 8,594,870 10,043,603 11,427,554 서울 친인척 아이돌봄수당
    120% 6,875,896 8,034,882 9,142,043 청년국민취업
    100% 5,729,913 6,695,735 7,618,369 중장년 취성패
    85% 4,870,426 5,691,375 6,475,614  
    80% 4,583,930 5,356,588 6,094,695  
    75% 4,297,435 5,021,801 5,713,777 긴급복지지원
    72% 4,125,537 4,820,929 5,485,226 청소년한부모자립지원패키지
    70% 4,010,939 4,687,015 5,332,858 가사/간병방문
    65% 3,724,443 4,352,228 4,951,940 ○청소년한부모 급여
    60% 3,437,948 4,017,441 4,571,021 ○한부모,조손가족 급여 ○취성패
    50% 2,864,957 3,347,868 3,809,185 ○기초생활 ○ 차상위

     

     


     

    2024년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연 기준)

    1, 2, 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
    년 기준)
    가구원 수 비고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300% 80,224,020 132,573,924 169,727,652  
    200% 53,482,680 88,382,616 113,151,768  
    190% 50,808,552 83,963,484 107,494,176  
    180% 48,134,412 79,544,352 101,836,596 청년도약계좌
    150% 40,112,016 66,286,968 84,863,832 서울 친인척 아이돌봄수당
    120% 32,089,608 53,029,572 67,891,056 청년국민취업
    100% 26,741,340 44,191,308 56,575,884 중장년 취성패
    85% 22,730,136 37,562,616 48,089,496  
    80% 21,393,072 35,353,044 45,260,712  
    75% 20,056,008 33,143,484 42,431,916 긴급복지지원
    72% 19,253,760 31,817,736 40,734,636 청소년한부모자립지원패키지
    70% 18,718,944 30,933,912 39,603,120 가사/간병방문
    65% 17,381,868 28,724,352 36,774,324 ○청소년한부모 급여
    60% 16,044,804 26,514,780 33,945,528 ○한부모,조손가족 급여 ○취성패
    50% 13,370,676 22,095,660 28,287,948 ○기초생활 ○ 차상위

    4, 5, 6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
    년 기준)
    가구원 수 비고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300% 206,276,868 241,046,460 274,261,284  
    200% 137,517,912 160,697,640 182,840,856  
    190% 130,642,020 152,662,764 173,698,812  
    180% 123,766,116 144,627,876 164,556,768 청년도약계좌
    150% 103,138,440 120,523,236 137,130,648 서울 친인척 아이돌봄수당
    120% 82,510,752 96,418,584 109,704,516 청년국민취업
    100% 68,758,956 80,348,820 91,420,428 중장년 취성패
    85% 58,445,112 68,296,500 77,707,368  
    80% 55,007,160 64,279,056 73,136,340  
    75% 51,569,220 60,261,612 68,565,324 긴급복지지원
    72% 49,506,444 57,851,148 65,822,712 청소년한부모자립지원패키지
    70% 48,131,268 56,244,180 63,994,296 가사/간병방문
    65% 44,693,316 52,226,736 59,423,280 ○청소년한부모 급여
    60% 41,255,376 48,209,292 54,852,252 ○한부모,조손가족 급여 ○취성패
    50% 34,379,484 40,174,416 45,710,220 ○기초생활 ○ 차상위

     

     


     

    2024년 기초생활 수급자 급여종류별 기준

    급여
    (
    월 기준)
    가구원 수 비고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교육급여(50%) 1,114,223 1,841,305 2,357,329  
    주거급여(48%) 1,069,654 1,767,652 2,263,035  
    의료급여(40%) 891,378 1,473,044 1,885,863  
    생계급여(32%) 713,102 1,178,435 1,508,690  

     

    구분
    (월 기준)
    가구원 수 비고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교육급여(50%) 2,864,957 3,347,868 3,809,185  
    주거급여(48%) 2,750,358 3,213,953 3,656,817  
    의료급여(40%) 2,291,965 2,678,294 3,047,348  
    생계급여(32%) 1,833,572 2,142,635 2,437,878  

     


     

    관련 사이트 및 자료

    지표누리 https://www.index.go.kr/

    e-나라지표 https://www.index.go.kr/unity/potal/eNara/main/EnaraMain.do


     

    마무리

    2024년 중위소득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물가 상승에 따른 소득 증가와 정부의 소득 양극화 완화 정책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중위소득과 기준을 찾으시는 분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그리고 댓글은
    저의 블로그 활동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