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 자료

경주 이씨 익재공파 항렬표

by sugarlessgum 2024. 11. 27.

 

경주 이씨 익재공파 항렬표
경주 이씨 익재공파 항렬표

 

경주 이씨 익재공파 항렬표

경주 이씨 익재공파 항렬표를 경주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정리했습니다.

목차


     

    경주이씨 익재공파 역사

    경주이씨의 시조(始祖)는 이알평(李謁平)이고 본관(本貫)은 경주(慶州)이다.

     『삼국유사』에는 기원전 117년에, 경주이씨의 시조인 <알평공>이 하늘에서 신라의 4영산(靈山)의 하나인 경주 동북에 있는 금오산(金鰲山)의 표암봉(瓢巖峰)에 내려왔다고 한다.

     신라 6촌(村)은 알천양산촌 (閼川楊山村)·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무산대수촌(茂山大樹村)·취산진지촌(嘴山珍支村)·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명활산고야촌(明活山高耶村)이다.

     시조의 영지(領地)인 알천 양산촌(閼川 楊山村)은 뒤에 밑돌부(及梁部)가 되는 뿌리의 마을로 6촌의 모체이고 밑돌부의 촌장인 이알평(李謁平)은 6촌의 부족사회를 영도하는 수장이었다.

     

     

     

     

     

     

     

    경주이씨 분적종(分籍宗)은 알평의 후손 가운데 중시조(中始祖) 거명(居明)으로부터 분파하여 14개 대종파로 나뉘어 있다.

     원 간섭기에 문하평리 증 상서좌복야 열헌공(悅軒公) 이핵(李翮)의 집안이 크게 번성하기 시작하였으며 그의 자손들로부터 경주 이씨 8대파가 나왔다.

    • 평리성암공파(評理誠菴公派)  : 이인정(李仁挺)
    • 이암공파(怡庵公派) : 이관(李琯)
    • 익재공파(益齋公派),  이제현(李齊賢)
    • 호군공파(護軍公派)  이지정(李之正)
    • 국당공파(菊堂公派)  이천(李蒨)
    • 부정공파(副正公派)  이매(李邁)
    • 상서공파(尙書公派)  이과(李薖)
    • 사인공파(舍人公派)  이조(李蓨)

     

    익재공(益齋公) 이제현(李齊賢)

    이제현(李齊賢. 충렬왕 13(서기1287)~공민왕 16(서기1367))은 고려말의 정치가이며 성리학자였고 원(元)의 위협속에서 기울어가는 고려의 사직(社稷)을 혼자서 버텨낸 위인이었다. 자는 중사(仲思), 초명(初名)은 지공(之公), 호는 익재(益齋), 시호는 문충(文忠)으로 검교정승 진()의 아들이다. 충렬왕 27년(서기1301) 나이 15세로 성균시에 장원하고 이어서 문과의 병과(丙科)에 합격하여 예문춘추관에 들어갔다. 성균악정에 이르렀을 때에 충선왕이 만권당(萬卷堂)을 설립하고 부르므로 연경(燕京)에 가서 원(元)의 명사들인 요수(姚燧)·염복(閻復)·조맹부 등과 교우하며 학문이 심오해졌으며 이 때에 진감여(陳鑑如)가 공의 초상화를 그렸고 원(元)의 석학 탕병룡(湯炳龍)이 찬(贊)을 썼는데, 이 그림과 글씨가 국보로 지정되어 현재 덕수궁 미술관에 보관되어있다.

    충숙왕 10년(서기1323)에 유청신(柳淸臣)과 오잠(吳潛) 등이 “고려를 없애고 원나라의 성(省)으로 만들어달라”고 원나라에 간청하니 원나라에서는 전쟁을 하지 않고서도 고려를 얻었으니 얼마나 기쁜 일이겠는가? 온 조정이 들떠서 후속조치에 여념이 없는데 공은 분연히 일어나 도당(都堂. 원나라의 의정부)에 글을 보내서 고려 400년의 사직(社稷)이 이로써 무너진다고 개탄하고 유청신 등의 청원이 부당함을 논리정연하게 설명하여 고려가 역사에서 사라지는 위급을 구하였으니 이 얼마나 장한 일인가 이 뒤에 충선왕이 서번(西蕃)에 귀양가게 되자 함께 따라갔으며 가고 오는 과정에서 밀직사사·첨의평리·정당문학·삼사사 등의 벼슬이 내려졌다. 충숙왕 복위 8년(1339)에 정승 조적 등이 심왕(瀋王) 고(暠)와 공모하여 모반하다가 잡혀죽자 그의 무리들이 연경(燕京)에 남아서 충혜왕을 음해하므로 왕을 따라 연경에 가서 잘 무마하였으며 충목왕이 즉위하자 계림부원군에 봉해졌다. 공민왕이 즉위하면서 우정승을 맡고 정동성사를 겸하였다. 그후 원종공신 조일신(趙日新)이 시기할 것을 알고 벼슬을 내놓았으므로 뒤의 ‘조일신의 난리’에 화를 모면할 수가 있었다. 그후 우정승을 두 번 지내고 문하시중에 이르렀으며 공민왕 6년( 서기1357)에 벼슬을 떠났고 왕명으로 고려의 실록을 수찬(修撰)하고 종묘와 위패의 서차(序次)를 정했으며 사후에 공민왕의 사당에 함께 모셔졌다. 저서로는 『익재난고(益齋亂藁)』·『낙옹비설』·『익재집(益齋集)』등이 있다. 공은 당대의 문호(文豪)였으며 『익재난고』 소악부(小樂府)에는 당시의 민요 17수를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 수록되어 있는데 국문학계에서 고려시대의 가요연구에 소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1천여 년 뒤 한말(韓末)의 한문학 대가 창강(滄江) 김택영(金澤榮)은 익재(益齋)의 시를 공묘청준(工妙淸俊)하고 만상(萬象)이 구비하여 조선 3천년의 제일 대가라고 평가했다.

     

     

    경주 이씨 분파도

     


     

    익재공파  항렬표

    (1) 34世 이전

    익재공파
    (재사당공파)
    25 從水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 從木, 從火, 從土, 從金, 從水, 從鳥, 從玉은 각각 木, 火, 土, 金, 水, 鳥, 玉이 들어간 한자를 의미함

     

     

     

     



     

    (2) 34世 이후 (대동항렬표)

     1868년, 익재공파, 국당공파, 상서공파 등 문중 사람들이 모여 경주이씨 화수회를 설립하고 진천 문중에서 사용하는 항렬자를 기준으로 대동항렬을 정했습니다. 

    대동 항렬
    35 ()
    36 ()○
    37 ()○
    38 ()
    39 ()○
    40 (), ○()
    41 ()○
    42 (), ○()
    43 ()○, ()○
    44 ()
    45 ()○, ()○
    46 (),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
    61 ()○
    62 ()
    63 ()○, ()○
    64 ()
    65 ()○
    66 (), ○()
    67 ()○, ()○
    68 (), ○()
    69 ()○, ()○
    70 (), ○()

     

     

     

     


     

    항렬표 자료

    경주이씨 중앙 화수회

     

     

    http://www.gjlee.org/

     

    www.gjlee.org

     

     

     

     

     

     

     

     

     


     

    마무리

    경주 이씨 익재공파의 항렬표를 찾으시는 분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혹시 틀린 부분이나 보완사항 말씀해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그리고 댓글은
    저의 블로그 활동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김해 김씨 항렬표 [삼현파, 감무공파, 경파 등]

    김해 김씨(金海 金氏) 우리나라에서 오래된 성씨 중 하나이며 가야계열 고대국가 가락국의 초대 국왕인 김수로를 시조로 하는 김해 김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446만 명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sugarlessgum.tistory.com

     

    전주 이씨 항렬표 [양녕대군파, 효령대군파, 광평대군파 등]

    전주 이씨(全州 李氏) 조선과 대한제국의 국성(國姓)인 전주 이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263만명으로 우리나라에서 3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 입니다. 전주 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

    sugarlessgum.tistory.com

     

    밀양 박씨 항렬표 [규정공파, 판서공파, 밀양공파 등]

    밀양 박씨(密陽 朴氏) 경상남도 밀양시를 본관으로 하는 밀양 박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317만 명으로 우리나라에서 2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 입니다. 밀양 박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

    sugarlessgum.tistory.com

     

    진주 강씨 항렬표 [박사공파/은열공파 등]

    진주 강씨 항렬표 [박사공파/은열공파 등] 진주 강씨의 대표적인 계열인 박사공파와 은열공파의 항렬표입니다. 진주 강씨 경상남도 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국내에는 2가지의

    sugarlessgum.tistory.com

     

    경주 최씨 항렬표 [관가정공파, 광정공파, 충렬공파 등]

    경주 최씨(慶州 崔氏) 경주 최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03만명으로 우리나라에서 7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 입니다. 경주 최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 및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sugarlessgu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