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통 자료158

경주김씨 상촌공파 항렬표 경주김씨 상촌공파 항렬표경주김씨 상촌공파 항렬표를 문중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정리했습니다.목차 경주김씨 상촌공파 역사경주김씨(慶州金氏)는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셋째 아들 김명종(金鳴鍾)(영분공파(永芬公派))과 넷째 아들 김은열(金殷說)(대안군파(大安君派))을 각각 1세조로 하고 있다.  경순왕(敬順王)에게는 아홉 아들이 있었다 하는데 마의태자(麻衣太子)로 알려진 큰 아들 김일(金鎰)(일(溢))은 망국(亡國)의 한을 안고 입산하였고, 둘째 아들 김굉(金鍠)은 나주김씨(羅州金氏)의 시조가 되었다. 이리하여 셋째 아들 김명종(金鳴鍾)과 넷째 아들 김은열(金殷說) 후손과 김순웅 장군(金順雄將軍) 후손이 신라 왕성(王姓)인 경주김씨(慶州金氏)를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고려 말과 조선 시대로 접어들며 신라 김씨.. 2024. 6. 7.
경주이씨 국당공파 항렬표 경주이씨 국당공파 항렬표경주이씨 국당공파 항렬표를 문중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정리했습니다.목차 경주이씨 국당공파 역사경주이씨의 시조(始祖)는 이알평(李謁平)이고 본관(本貫)은 경주(慶州)이다. 『삼국유사』에는 기원전 117년에, 경주이씨의 시조인 이 하늘에서 신라의 4영산(靈山)의 하나인 경주 동북에 있는 금오산(金鰲山)의 표암봉(瓢巖峰)에 내려왔다고 한다. 신라 6촌(村)은 알천양산촌 (閼川楊山村)·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무산대수촌(茂山大樹村)·취산진지촌(嘴山珍支村)·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명활산고야촌(明活山高耶村)이다. 시조의 영지(領地)인 알천 양산촌(閼川 楊山村)은 뒤에 밑돌부(及梁部)가 되는 뿌리의 마을로 6촌의 모체이고 밑돌부의 촌장인 이알평(李謁平)은 6촌의 부족사회를 영도하는 수장이었다.  경.. 2024. 5. 30.
천간(天干)과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의미와 상징 천간(天干)과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의미와 상징역사적으로 동아시아 즉, 중국과 한국, 일본에서 활용되는 율력 체계에 사용되는 간지(干支)는 앞부분을 천간(天干), 뒷부분을 십이지지(十二地支)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항목의 의미와 상징하는 동물, 시간, 방위 등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보았습니다.목차  천간(天干)간지(干支)는 앞부분에 해당되는 십간(十干)은 하늘을 의미한다고 하여 천간이라고 합니다. 고대로부터 날짜나 달, 연도를 셀 때 사용했던 단어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간지의 각각 항목은 다음과 같은 상징을 갖고 있습니다.     천간의 각자는 납음오행(納音五行)상으로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갑(甲) → 대림목(大林木) : 우람하고 큰 나무을(乙) → 화초목(花草木) : 풀과 작은 나무... 2024. 5. 29.
전주이씨 효령대군파 항렬표 전주이씨 효령대군파 항렬표조선과 대한제국의 국성(國姓)인 전주이씨 효령대군파를 문중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정리했습니다.목차 전주이씨 효령대군파 역사 효령대군은 태종대왕의 둘째 아들로 양녕대군의 아우이고 세종대왕의 형이다. 처음 휘는 호(祜)이고 19세에 보(補)로 고쳤다. 자는 선숙(善叔), 호는 연강(蓮江), 시호는 정효(靖孝)이다. 12세에 해주정씨를 부인으로 맞이하였고 17세에 효령대군으로 봉해졌다. 글 읽기를 좋아하여 30세 전에 이미 학문과 덕성을 이룩하였고 명필이었다. 활쏘기에 능숙하였고 효성이 지극하여 부왕으로부터 사랑을 많이 받았다. 불교를 독실히 믿어 조정의 숭유억불 정책하에서 불교 보호의 방패 역할을 감당하였다. 원각사 창건 때에는 조성도감 도제조를 맡았다. 이 때 주조되어 1985년까지 .. 2024. 5. 29.
밀양박씨 규정공파 항렬표 밀양박씨 규정공파 항렬표밀양박씨 규정공파 항렬표를 밀양박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정리했습니다.목차 밀양박씨 규정공파(糾正公派) 역사밀양 박씨 규정공파(糾正公派)는 밀양 박씨의 시조인 밀성대군의 15대손인 고려시대의 규정공 박현에서 갈라져 나간 한 분파이다. 조선조에 유학에서 두각을 드러내면서 가장 많은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고 현재 각파별 인구면에서도 가장 많다. 규정공파는 숙민공파, 돈와공파등 많은 지파를 가지고 있다. 규정공파의 대표적 인물은 인목대비를 폐하는데 반대를 했던 영의정 퇴우당 박승종이 있다.신라의 제54대 국왕 경명왕(景明王)의 장남 밀성대군 박언침(朴彦忱)을 시조로 한다. 박혁거세의 후손은 크게 절대다수인 일성왕계와 소수인 파사왕계로 나뉘는데, 밀양 박씨는 그중 일성왕계로 분류되며 경명.. 2024. 5. 16.
김해김씨 삼현파 항렬표 김해김씨 삼현파 항렬표김해김씨 삼현파 항렬표를 김해김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정리했습니다.목차 김해김씨 삼현파(三賢派) 역사김해김씨 삼현파(金海金氏三賢派)는 판도판서공휘관파(版圖判書公諱菅派)의 별칭으로 중시조인 김관(金管)이 고려 말 판도판서(版圖判書)라는 벼슬을 지냄으로 해서 비롯되었다.조선 정종 때 4대에 걸쳐 김극일(金克一)·김일손(金馹孫)·김대유(金大有) 등 세 현인이 한 집안에서 나왔다 하여 청도삼현(淸道三賢)이라 불렸고 그 후손을 삼현파(三賢派)라 했다.삼현파(三賢派 : 판도판서공파(版圖判書公派))의 1세조(世祖)인 김관(金管)은 고려(高麗)에서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歷任)하고 학교(學校)를 설립(設立)하여 유학(儒學)을 진흥(振興)시키는 등 나라에 많은 공(功)을 세웠으며, 그의 현손.. 2024. 5. 13.
[고사성어] 다다익선 뜻과 유래 [고사성어] 다다익선 뜻과 유래역사 속 흥미로운 이야기와 교훈이 담긴 고사성어는 현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다다익선의 뜻과 유래에 대해 정리했습니다.목차   다다익선뜻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음진심으로 서로를 대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친구 사이의 진정한 우정을 비유하는 말이다. 영어의 'the more, the better(the merrier)'와 같은 의미이다.  유래사기 회음후 열전초왕(楚王) 한신(韓信)은 천하 통일의 일등 공신으로 항우군의 토벌에 결정적 공헌을 하였지만, 통일이 완성된 한 왕실로서는 위험한 존재가 아닐 수 없었다. 그는 본래 항우의 수하에 있다가 유방이 촉으로 들어간 후 한나라에 귀순한 인물이었고, 제(齊)나라를 정복하였.. 2024. 5. 12.
[고사성어] 경전하사 뜻과 유래 [고사성어] 경전하사 뜻과 유래역사 속 흥미로운 이야기와 교훈이 담긴 고사성어는 현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경전하사의 뜻과 유래에 대해 정리했습니다.목차   경전하사뜻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는 뜻 강한 자끼리 서로 싸우는 통에 아무 상관도 없는 약한 자가 해를 입음힘 센 자들의 싸움에 휘말려 아무 관계없는 약한 자가 오히려 해를 입게 되는 경우  유래홍만종(洪萬鍾) 《순오지(旬五志)》고래 싸움에 새우 죽는다는 것은 큰 놈들 싸움 통에 작은 놈들이 화를 입는다는 말이다[鯨戰鰕死, 言小者介於兩大而受禍]. 한자 표기鯨戰蝦死鯨 : 고래 경戰 : 싸울 전蝦 : 새우 하死 : 죽을 사  마무리고사성어는 현대 사회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지혜를 담고 있으며.. 2024. 5. 11.
[고사성어] 삼고초려 뜻과 유래 [고사성어] 삼고초려 뜻과 유래역사 속 흥미로운 이야기와 교훈이 담긴 고사성어는 현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삼고초려의 뜻과 유래에 대해 정리했습니다.목차   삼고초려뜻초가집에 세 번을 찾아간다는 뜻유능한 사람을 대할 때는 그만큼의 정성이 필요하다 중국 촉한의 임금 유비가 제갈량의 초옥을 세 번 찾아가 懇請(간청)하여 드디어 諸葛亮(제갈량)을 軍師(군사: 군대의 우두머리)로 맞아들인 일다른 말로는 삼고지례(三顧之禮), 삼고지은(三顧之恩)   유래《삼국지》 촉서 제갈량전이때 선주(유비)가 신야에 주둔하고 있었다. 서서가 선주를 만나보자 선주가 그를 중히 여겼다. 서서가 선주에게 말했다, “제갈공명은 와룡입니다. 장군께서는 어찌하여 그를 쓰지 않으십니.. 2024. 5. 10.
[고사성어] 고육지책 뜻과 유래 [고사성어] 고육지책 뜻과 유래역사 속 흥미로운 이야기와 교훈이 담긴 고사성어는 현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고육지책의 뜻과 유래에 대해 정리했습니다.목차   고육지책 (苦肉之策)뜻제 몸을 상하게 하면서까지 꾸며내는 방책이라는 뜻일반적으로 어려운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한 수단으로 어쩔 수 없이 하는 계책       유래병법 삼십육계의 제34계 《삼국지연의》후한말에 오나라의 손권과 형주의 유비가 연합하여 조조의 100만 대군을 맞아 싸우는 적벽대전이 벌어지기 직전의 일이다. 연합군인데도 주유와 사이가 안 좋던 제갈량이 계책으로 조조군의 화살을 수거해오자, 그제서야 주유는 제갈량과 진심으로 뜻을 같이하여 조조군을 화공으로 격파하기로 한다. 이에 제갈량의.. 2024.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