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 자료168

두문불출의 유래 (문을 걸어 잠근 선비들) 두문불출의 유래 (문을 걸어 잠근 선비들)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가 일상에서 종종 사용하는 사자성어 '두문불출'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밖에 나가기 싫어서 주말 내내 두문불출했어." 혹은 "그는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 몇 달간 두문불출하며 공부에만 매진했다." 와 같이, 단순히 집이나 특정 장소에 틀어박혀 나오지 않는 상황을 묘사할 때 쓰이곤 하죠.하지만 이 '두문불출'이라는 말 속에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깊고, 때로는 비장하기까지 한 역사적 배경이 숨어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단순한 '집콕'을 넘어, 굳은 절개와 신념을 지키기 위한 선비들의 외침이 담겨있는 '두문불출'의 유래 속으로 함께 떠나보시죠. 이 이야기를 알고 나면, 앞으로 '두문불출'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조금은 .. 2025. 4. 9.
함흥차사의 유래 (돌아오지 못한 사신들) 함흥차사의 유래 (돌아오지 못한 사신들)안녕하세요!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함흥차사(咸興差使)"라는 말을 종종 사용합니다. 어떤 심부름을 보냈는데 도통 소식이 없거나, 오기로 한 사람이 감감무소식일 때 쓰는 표현이죠. 마치 블랙홀에 빠진 것처럼 연락이 두절된 상황을 빗대는 이 말, 과연 어디서 유래했을까요?오늘은 이 '함흥차사'라는 말 뒤에 숨겨진 조선 건국 초기의 격동적인 역사, 아버지와 아들의 처절했던 갈등, 그리고 권력의 비정함 속에서 희생된 인물들의 이야기를 파헤쳐 보고자 합니다. 단순히 '소식 없는 사람'이라는 뜻 너머, 피와 눈물로 얼룩진 역사의 한 페이지를 함께 넘겨보시죠.목차  1. 비극의 서막: 피로 얼룩진 건국과 왕자의 난'함흥차사' 이야기의 뿌리는 조선 건국 직후, 태조 이성계(李成桂).. 2025. 4. 9.
흥청망청의 유래 (연산군의 탐욕) 흥청망청의 유래 (연산군의 탐욕)"흥청망청"이라는 익숙한 단어 뒤에 숨겨진 조선 시대의 암울한 이야기는 단순히 한 왕의 사치스러운 소비를 넘어, 국가의 기틀을 흔들고 백성의 삶을 짓밟았던 역사의 단면을 보여줍니다. 오늘은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燕山君, 1476~1526)의 광기 어린 행태와 그 중심에 있었던 '흥청(興淸)'의 존재, 그리고 그로 인해 빚어진 비극적인 시대상을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다양한 역사 기록과 야사를 바탕으로 더욱 깊이 있게 파헤쳐 보겠습니다.목차  비극의 씨앗, 연산군의 어두운 시작세자 시절, 뛰어난 학문적 재능으로 기대를 모았던 연산군은 성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며 밝은 미래를 예고하는 듯했습니다. 초기에는 나름대로 정사에 관심을 기울이는 모습도 보였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2025. 4. 8.
경주 김씨 수은공파 항렬표 경주 김씨 수은공파 항렬표경주김씨 수은공파 항렬표를 문중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정리했습니다.목차 경주김씨 수은공파 역사경주김씨(慶州金氏)는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셋째 아들 김명종(金鳴鍾)(영분공파(永芬公派))과 넷째 아들 김은열(金殷說)(대안군파(大安君派))을 각각 1세조로 하고 있다.  경순왕(敬順王)에게는 아홉 아들이 있었다 하는데 마의태자(麻衣太子)로 알려진 큰 아들 김일(金鎰)(일(溢))은 망국(亡國)의 한을 안고 입산하였고, 둘째 아들 김굉(金鍠)은 나주김씨(羅州金氏)의 시조가 되었다. 이리하여 셋째 아들 김명종(金鳴鍾)과 넷째 아들 김은열(金殷說) 후손과 김순웅 장군(金順雄將軍) 후손이 신라 왕성(王姓)인 경주김씨(慶州金氏)를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고려 말과 조선 시대로 접어들며 신라 김.. 2024. 11. 27.
경주 이씨 익재공파 항렬표 경주 이씨 익재공파 항렬표경주 이씨 익재공파 항렬표를 경주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정리했습니다.목차 경주이씨 익재공파 역사경주이씨의 시조(始祖)는 이알평(李謁平)이고 본관(本貫)은 경주(慶州)이다. 『삼국유사』에는 기원전 117년에, 경주이씨의 시조인 이 하늘에서 신라의 4영산(靈山)의 하나인 경주 동북에 있는 금오산(金鰲山)의 표암봉(瓢巖峰)에 내려왔다고 한다. 신라 6촌(村)은 알천양산촌 (閼川楊山村)·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무산대수촌(茂山大樹村)·취산진지촌(嘴山珍支村)·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명활산고야촌(明活山高耶村)이다. 시조의 영지(領地)인 알천 양산촌(閼川 楊山村)은 뒤에 밑돌부(及梁部)가 되는 뿌리의 마을로 6촌의 모체이고 밑돌부의 촌장인 이알평(李謁平)은 6촌의 부족사회를 영도하는 수장.. 2024. 11. 27.
밀양박씨 판서공파 항렬표 밀양박씨 판서공파 항렬표밀양박씨 판서공파 항렬표를 밀양박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정리했습니다.목차 밀양박씨 판서공파(判書公派) 역사판서공파(判書公派)의 파조는 혁거세 46세손(밀양대군 17세손)인 전법판서 박밀양. 충헌공파에서 분파했다. 공의 호[號]는 낙촌[駱村]이고 휘가 밀양(密陽)이니, 고려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법판서[典法判書]와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역임하였고 밀산군[密山君]과 봉순대부[奉順大夫]로 봉 하였다.여주군 대신면 천남리에 숭의재[崇義齊]를 서기 1958년에 전국에 산재한 종친[宗親]들이 표성[表誠]하여 숭의재를 건립 하였다.또한 뒤에 밀산군[密山君]에 단비를 설단[設壇]하고 음력 10월 초 정일[丁日]에 시향을 지내며 있다.  휘 밀양은 보문각 대제학 밀성군 윤문(允文)의.. 2024. 11. 25.
김해김씨 경파 항렬표 김해김씨 경파 항렬표김해김씨 경파 항렬표를 김해김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정리했습니다.목차 김해김씨 경파(京派) 역사김녕군(金寧君) 목경(牧卿)파 = 경파 충렬왕(忠烈王)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품계가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이르렀다. 충혜왕(忠惠王) 때 조적(曺적)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김녕군(金寧君)에 봉해졌으나, 국사(國事)가 날로 어지러워짐을 보고 정당문학(政堂文學) 이조년(李兆年)과 함께 누차 왕에게 간(諫)했으나 듣지 않자, 속리산(俗離山)에 들어가 세상과 인연을 끊고 여생을 마쳤다. 중시조 목경은 고려 충혜왕때 문과급제하시어 벼슬이 삼중대광에 이르시고 금녕군에 봉해지셨다. 2세 보(普)는 고려 공민왕때 좌시중을 지내셨으며 금녕부원군에 봉해지셨다. 3세 도문(到門)은 이조초기에 .. 2024. 11. 20.
전주이씨 양녕대군파 항렬표 전주이씨 양녕대군파 항렬표조선과 대한제국의 국성(國姓)인 전주이씨 양녕대군파를 문중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정리했습니다.목차 전주이씨 양녕대군파 역사양녕대군(讓寧大君) [1394(태조 3)∼1462(세조 8)] 휘는 제(?), 시호는 강정(剛靖)이다. 대군은 1394년(태조 3)에 송경(松京) 정안대군(靖安大君 : 太宗大王)의 사저에서 태종대왕의 제1남으로 태어나 1462년(세조 8) 9월 7일 69세로 작고하였다. 대군은 1402년(태종 2) 3월 8일 제(?)란 이름을 받았고 동년 4월 18일에 원자로 책봉되었는데 그때가 대군의 나이 9세였다. 1404년(태종 4) 1월 6일 11세에 왕세자에 책봉되었다. 1407년(태종 7) 14세로 광산김씨를 세자빈으로 맞이하여 숙빈(淑嬪)으로 봉하였다. 대군은 천성이.. 2024. 11. 12.
김해김씨 감무공파 항렬표 김해김씨 감무공파 항렬표김해김씨 감무공파 항렬표를 김해김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정리했습니다.목차 김해김씨 감무공파(監務公派) 역사감무공(監務公) 익경(益卿)파 -사군파사군파에서는 파조인 김익경(金益卿)의 손자 김진문(金振門)이 고려말에 예의판서(禮儀判書)를 거쳐 대제학(大提學)에 올랐으나 조선이 개국하자 관직을 버리고 이색(李穡), 박자검(朴自儉) 등과 함게 은둔 생활하여 절의를 지켰으며, 그의 둘째 아들 김추(金錘)는 도총관(都摠管)을, 넷째 아들 김석(金錫)은 찬성사(贊成事)를 지냈다. 막내 김조는 세종 때 집현전수찬(集賢殿修撰)을 거쳐 예조판서에 올랐으며, 직제학(直提學)을 역임할 때 장영실(蔣英實)과 함께 간의대(簡儀臺), 자격루(自擊漏), 혼천의(渾天儀) 등을 만든 것으로 전한다. 사군파사군.. 2024. 11. 11.
낭만과 모험의 대항해시대 역사 이야기 낭만과 모험의 대항해시대 역사 이야기대항해시대(15세기~17세기)는 인류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이루는 시기로, 유럽 국가들이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대륙으로의 탐험과 식민지 건설을 통해 세계를 재편성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는 단순한 탐험의 시대를 넘어, 상업, 문화, 과학의 발전과 국제 관계의 변화를 이끌어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항해시대의 배경, 주요 탐험가들, 교역품과 루트, 주도 세력, 항해 경로와 발견된 지역, 그리고 이 시기의 영향까지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목차   1. 대항해시대의 사회적, 국제적 배경첫째, 국제 정세의 변화 오스만 제국은 14세기부터 시작하여 16세기와 17세기에 걸쳐 정점에 이릅니다. 이 시기, 오스만 제국은 동유럽, 중동, 북아프리카의 광대한 지역을 지배하며 .. 2024. 10.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