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 자료

[고사성어] 다다익선 뜻과 유래

by sugarlessgum 2024. 5. 12.

 

[고사성어] 다다익선 뜻과 유래
[고사성어] 다다익선 뜻과 유래

 


 

[고사성어] 다다익선 뜻과 유래

역사 속 흥미로운 이야기와 교훈이 담긴 고사성어는 현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다다익선의 뜻과 유래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목차

     

     


     

    다다익선

    •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음
    • 진심으로 서로를 대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친구 사이의 진정한 우정을 비유하는 말이다.

     

    • 영어의 'the more, the better(the merrier)'와 같은 의미이다.

     

     

    유래

    • 사기 회음후 열전
    초왕(楚王) 한신(韓信)은 천하 통일의 일등 공신으로 항우군의 토벌에 결정적 공헌을 하였지만, 통일이 완성된 한 왕실로서는 위험한 존재가 아닐 수 없었다. 그는 본래 항우의 수하에 있다가 유방이 촉으로 들어간 후 한나라에 귀순한 인물이었고, 제(齊)나라를 정복하였을 때는 스스로 제왕에 즉위하였으며, 초에 들어가서는 항우의 장수였던 종리매(鐘離眛)를 비호하기도 하였다.

    한신은 여러 행적으로 인해 항우의 죽음 후 유방에게 대원수 지휘권과 제왕의 직위를 박탈당하고 초왕으로 강등당했다. 그러다가 나중에 모반을 모의한 죄로 초왕 직위도 뺏기면서 회음후로 재차 강등되었고, 당연히 한신과 유방간의 관계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유방이 연회를 열어 한신도 초대하고는 물었다.

    유방: "나는 얼마만큼의 군대를 지휘할 수 있는가?"
    한신: "폐하는 십만 명 가량을 지휘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 "그렇다면 그대는 어떠한가?"
    한신: "신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多多而益善耳)."
    유방: "그렇게 뛰어난 네가 어째서 지금 내 포로가 되었느냐?"
    한신: "폐하는 군대는 다룰 수 없습니다만, 병사의 장수가 아닌 장수의 장수가 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폐하는 하늘이 도우시기 때문에 인간의 힘으로는 당해낼 수 없습니다."

    이후 한신은 거록(鉅鹿) 태수 진희(陳狶)와 공모하여 난을 일으켰으나, 장안을 떠나지 못하고 여후(呂后)에 의해 처형되었다.

     

     

    한자 표기

    多多益善

    • 多 : 많을 다
    • 多 : 많을 다
    • 益 : 더할 익
    • 善 : 좋을 선

     

    마무리

    고사성어는 현대 사회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지혜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활용하여 효과적인 소통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고사성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그리고 댓글은
    저의 블로그 활동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ㄱ'으로 시작하는 고사성어 모음

    'ㄱ'으로 시작하는 고사성어 모음 고사성어는 고전문학에서 나온 말이나 문장을 의미하며 사자성어라고도 합니다. 대부분은 중국의 고전문학에서 유래하며, 그 뜻이나 용법은 시대와 함께 변화

    sugarlessgum.tistory.com

     

    'ㅁ'으로 시작하는 고사성어 모음

    'ㅁ'으로 시작하는 고사성어 모음 고사성어는 고전문학에서 나온 말이나 문장을 의미하며 사자성어라고도 합니다. 대부분은 중국의 고전문학에서 유래하며, 그 뜻이나 용법은 시대와 함께 변화

    sugarlessgu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