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 자료

[고사성어] 삼고초려 뜻과 유래

by sugarlessgum 2024. 5. 10.

 

[고사성어] 삼고초려 뜻과 유래
[고사성어] 삼고초려 뜻과 유래


 

[고사성어] 삼고초려 뜻과 유래

역사 속 흥미로운 이야기와 교훈이 담긴 고사성어는 현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삼고초려의 뜻과 유래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목차

     

     


     

    삼고초려

    • 초가집에 세 번을 찾아간다는 뜻
    • 유능한 사람을 대할 때는 그만큼의 정성이 필요하다

     

    • 중국 촉한의 임금 유비가 제갈량의 초옥을 세 번 찾아가 懇請(간청)하여 드디어 諸葛亮(제갈량)을 軍師(군사: 군대의 우두머리)로 맞아들인 일
    • 다른 말로는 삼고지례(三顧之禮), 삼고지은(三顧之恩)

     

     

     

    유래

    • 《삼국지》 촉서 제갈량전
    이때 선주(유비)가 신야에 주둔하고 있었다. 서서가 선주를 만나보자 선주가 그를 중히 여겼다. 서서가 선주에게 말했다, “제갈공명은 와룡입니다. 장군께서는 어찌하여 그를 쓰지 않으십니까?” 선주가 말했다, “그대가 데려오시오.” 서서가 말했다, “이 사람은 가서 만나볼 수는 있으나 몸을 굽혀 오게 할 수는 없습니다. 장군께서 의당 몸을 낮추시고 방문하셔야 합니다.” 이로 말미암아 마침내 선주가 제갈량을 방문했고 세 번 만에 만날 수 있었다.

     

    • 제갈량의『출사표』
    신은 본래 하찮은 포의로 남양의 땅에서 논밭이나 갈면서 난세에 목숨을 붙이고자 하였을 뿐, 제후를 찾아 일신의 영달을 구할 생각은 없었사옵니다. 하오나 선 황제께옵서는 황공하옵게도 신을 미천하게 여기지 아니하시고 무려 세 번씩이나 몸을 낮추시어 몸소 초려를 찾아오셔서 신에게 당세의 일을 자문하시니, 신은 이에 감격하여 마침내 선황제를 위해 몸을 아끼지 않으리라 결심하고 그 뜻에 응하였사옵니다. 그 후 한실의 국운이 기울어 싸움에 패하는 어려움 가운데 소임을 맡아 동분서주하며 위난한 상황에서 명을 받들어 일을 행해온 지 어언 스물하고도 한 해가 지났사옵니다.

     

     

    한자 표기

    三顧草廬

    • 三 석 삼
    • 顧  돌아볼 고
    • 草  풀 초
    • 廬  오두막집 려

     


     

    마무리

    고사성어는 현대 사회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지혜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활용하여 효과적인 소통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고사성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그리고 댓글은
    저의 블로그 활동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ㄱ'으로 시작하는 고사성어 모음

    'ㄱ'으로 시작하는 고사성어 모음 고사성어는 고전문학에서 나온 말이나 문장을 의미하며 사자성어라고도 합니다. 대부분은 중국의 고전문학에서 유래하며, 그 뜻이나 용법은 시대와 함께 변화

    sugarlessgum.tistory.com

     

    'ㅁ'으로 시작하는 고사성어 모음

    'ㅁ'으로 시작하는 고사성어 모음 고사성어는 고전문학에서 나온 말이나 문장을 의미하며 사자성어라고도 합니다. 대부분은 중국의 고전문학에서 유래하며, 그 뜻이나 용법은 시대와 함께 변화

    sugarlessgu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