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녕 김씨 (金寧 金氏)
김녕 김씨는 금녕 김씨라고도 불리며, 2015년 통계 기준 약 58만 명으로 전체 본관별 인구수 13위입니다. 김녕 김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김녕 김씨 (金寧 金氏) 역사
유래
시조 김시흥(金時興)은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네번째 아들인 김은열(金殷說)의 5대손인 동정(同正) 김봉기(金鳳麒)의 넷째 아들이다.
고려 인종 때 평장사(平章事)를 역임하고 묘청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워 김녕군(金寧君)에 봉해졌다. 여기에서 본관이 파생되어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 말 김녕(金寧)의 지명이 김해(金海)로 바뀌어 후손들이 김해(金海)를 본관으로 하였다.
그런데 가락국(駕洛國) 수로왕(首露王) 후예들도 본관을 김해(金海)로 써오고 있어 양 김씨(金氏)를 구별하기 위하여 수로왕의 후손들을 선김(先金)이라 하고, 김녕군(金寧君) 후손들을 후김(後金)이라 하였다.
조선조 말 1884년(고종 21) 예조(禮曹)의 비준(批准)을 받아 시조가 봉군(封君) 받은 김녕(金寧. 김해의 고호)을 본관으로 복관(復貫) 하였다.
1896년(고종 33) 갑오개혁으로 민적령(民籍令)이 시행되면서 본관(本貫)이 복관(復貫)이 된지도 모른 채 일부 후손들이 옛 본적인 김해(金海)를 그대로 등록하거나 분성(盆城)하였다.
분파
김시흥(金時興)에게는 김향(金珦), 김순(金珣)의 두 아들이 있었는데, 그 후손들이 34개파로 분파되었다.
김향(金珦)의 후손
영돈녕공파(領敦寧公派): 김준(金遵)
충의공파(忠毅公派): 김문기(金文起)
목사공파(牧使公派): 김형(金硎)
충정공파(忠貞公派): 김준영(金俊榮)
영광군수공파(靈光郡守公派): 김대영(金大榮)
병조참의공파(兵曹參議公派): 김후영(金後榮)
동지사공파(同知事公派): 김희영(金希榮)
진천군수공파(鎭川郡守公派): 김석종(金錫宗)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 김희간(金熙看)
충경공파(忠敬公派): 김경세(金景世)
서윤공파(庶尹公派): 김여택(金礪澤)
주부공파(主簿公派): 김위거(金渭巨)
유수공파(留守公派): 김안도(金安道)
현감공파(縣監公派): 김정필(金廷弼)
충숙공파(忠肅公派): 김흔(金欣)
송암공파(松菴公派): 김질(金秩)
만은공파(晩隱公派): 김길상(金吉祥)
진사공파(進士公派): 김정기(金鼎起)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김지(金智)
분성군파(盆城君派): 김응수(金應壽)
생원공파(生員公派): 김보철(金輔哲)
좌승선공파(左承宣公派): 김계저(金繼儲)
전법령공파(典法令公派): 김명로(金命路)
판사공파(判事公派): 김극원(金克元)
판서공파(判書公派): 김전(金銓)
김순(金珣)의 후손
도순찰사공파(都巡察使公派): 김문제(金文齊)
충민공파(忠愍公派): 김인찬(金仁贊)
상서공파(尙書公派): 김문희(金文熙)
시랑공파(侍郞公派): 김문백(金文伯)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김문엽(金文燁)
참찬공파(參贊公派): 김문강(金文江)
부윤공파(副尹公派): 김문해(金文海)
부승선공파(副承宣公派): 김극준(金克俊)
승선공파(承宣公派): 김극중(金克重)
김녕 김씨 (金寧 金氏) 항렬표
충의공파(忠毅公派)
世 | 충의공파(忠毅公派) | ||
23 | 溶(용)○ | 汶(문)○ | 洸(광)○ |
24 | ○權(권) | ○模(모) | ○柱(주) |
25 | 炯(형)○ | 炳(병)○ | 炫(현)○ |
26 | ○圭(규) | ○基(기) | ○奎(규) |
27 | 鎭(진)○ | 鍾(종)○ | 鍊(연)○ |
28 | ○淵(연) | ○洙수) | ○泰(태) |
29 | 楨(정)○ | 東(동)○ | 秉(병)○ |
30 | ○燁(엽) | ○燮(섭) | ○烈(열) |
31 | 在(재)○ | 埰(채)○ | 址(지)○ |
32 | ○鎬(호) | ○鉉(현) | ○鍵(건) |
33 | 泳(영)○ | 浚(준)○ | 浩(호)○ |
34 | ○根(근) | ○柄(병) | ○相(상) |
35 | 熺(희)○ | 煥(환)○ | 熙(희)○ |
36 | ○坤(곤) | ○埈(준) | ○均(균) |
37 | 銅(동)○ | 鏞(용)○ | 鈺(옥)○ |
38 | ○洛(락) | ○漢(한) | ○永(영) |
39 | 來(래)○ | 柄(병)○ | |
40 | ○炅(경) |
영돈녕공파(領敦寧公派), 목사공파(牧使公派)
世 | 영돈녕공파(領敦寧公派) | 목사공파(牧使公派) | ||
23 | ○廷(정) | ○煥(환) | ||
24 | 季(계)○ | 會(회)○ | ||
25 | ○炯(형) | ○鎭(진) | ||
26 | 基(기)○ | 淇(기)○ | 泰(태)○ | |
27 | ○錫(석) | ○來(래) | ||
28 | 永(영)○ | 然(연)○ | ||
29 | ○彬(빈) | ○珏(각) | ||
30 | 炳(병)○ | 兌(태)○ | ||
31 | ○均(균) | ○珍(진) | ○漢(한) | |
32 | 鍾(종)○ | 震(진)○ | ||
33 | ○汶(문) | ○南(남) | ||
34 | 東(동)○ | 正(정)○ | ||
35 | ○炫(현) | ○善(선) | ||
36 | 重(중)○ | 海(해)○ | ||
37 | ○鍊(련) | ○柱(주) | ||
38 | 洪(홍)○ | 炳(병)○ | ||
39 | ○根(근) | ○敎(교) | ||
40 | 容(용)○ | 鍊(련)○ | ||
41 | ○圭(규) | |||
42 | 兌(태)○ |
충정공파(忠貞公派), 충경공파(忠敬公派)
世 | 충정공파(忠貞公派) | 충경공파(忠敬公派) | |
23 | ○煥(환) | ||
24 | 會(회)○ | ||
25 | ○鎭(진) | ||
26 | ○相(상) | ○秉(병) | 洪(홍)○ |
27 | ○燮(섭) | ○煥(환) | ○來(래) |
28 | 喆(철)○ | 基(기)○ | 然(연)○ |
29 | ○鍾(종) | ○鎬(호) | ○珏(각) |
30 | 洙(수)○ | 淳(순)○ | 兌(태)○ |
31 | ○植(식) | ○東(동) | ○壬(임) |
32 | 炯(형)○ | 南(남)○ | 震(진)○ |
33 | ○培(배) | ○均(균) | ○南(남) |
34 | 容(용)○ | 錫(석)○ | 正(정)○ |
35 | ○浩(호) | ○淵(연) | ○善(선) |
36 | 榮(영)○ | 柱(주)○ | 海(해)○ |
37 | ○烈(렬) | ○熙(희) | ○柱(주) |
38 | 元(원)○ | 圭(규)○ | 炳(병)○ |
39 | ○鉉(현) | ○鎭(진) | |
40 | 海(해)○ | 洛(락)○ |
유수공파(留守公派), 송암공파(松菴公派)
世 | 유수공파(留守公派) | 송암공파(松菴公派) | ||
23 | 永(영)○ | |||
24 | ○稙(직) | ○根(근) | ||
25 | 煥(환)○ | 炳(병)○ | ||
26 | ○周(주) | ○禧(희) | ||
27 | ○鍵(건) | ○鐸(탁) | 鍾(종)○ | 善(선)○ |
28 | 澈(철)○ | 淵(연)○ | ○旿(오) | ○昭(소) |
29 | ○杓(표) | ○采(채) | 朝(조)○ | 明(명)○ |
30 | 燁(엽)○ | 黙(묵)○ | ○溶(용) | ○濬(준) |
31 | ○坤(곤) | ○址(지) | 相(상)○ | 柱(주)○ |
32 | 鎬(호)○ | 鏡(경)○ | ○燮(섭) | ○烈(열) |
33 | ○澧(례) | ○淳(순) | 建(건)○ | 正(정)○ |
34 | 權(권)○ | 桓(환)○ | ○準(준) | ○承(승) |
35 | ○燮(섭) | ○炳(병) | 復(복)○ | 來(래)○ |
36 | 倍(배)○ | 在(재)○ | ○赫(혁) | ○魯(로) |
37 | ○鍍(도) | ○鉉(현) | ○增(증) | ○書(서) |
38 | 浩(호)○ | 泳(영)○ | ||
39 | ○根(근) | ○模(모) | ||
40 | 燦(찬)○ | 泳(영)○ | ||
41 | ○敎(교) | ○城(성) |
만은공파(晩隱公派)
世 | 만은공파(晩隱公派) | ||
23 | ○聖(성) | ○在(재) | |
24 | 浩(호)○ | 錫(석)○ | |
25 | ○鉉(현) | ○浩(호) | |
26 | 淵(연)○ | 相(상)○ | |
27 | ○權(권) | ○煥(환) | |
28 | 炳(병)○ | 奎(규)○ | |
29 | ○圭(규) | ○圭(규) | |
30 | 鎭(진)○ | 鎭(진)○ | |
31 | ○淳(순) | ○浩(호) | 洪(홍)○ |
32 | 柱(주)○ | 楨(정)○ | 柱(주)○ |
33 | ○晙(준) | ○暉(휘) | ○暻(경) |
34 | 在(재)○ | 基(기)○ | 址(지)○ |
35 | ○鎬(호) | ○鍊(련) | ○鎔(용) |
36 | 源(원)○ | 洙(수)○ | 河(하)○ |
37 | ○桓(환) | ○模(모) | ○栢(백) |
38 | 熙(희)○ | 熏(훈)○ | 烈(렬)○ |
39 | ○增(증) | ○均(균) | ○培(배) |
40 | 錫(석)○ | 鍾(종)○ | 鈺(옥)○ |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世 |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 ||
23 | ○洪(홍) | ○翼(익) | ○漢(한) |
24 | 秉(병)○ | 柱(주)○ | 東(동)○ |
25 | ○烈(렬) | ○烈(렬) | ○煥(환) |
26 | 奎(규)○ | 奎(규)○ | 埈(준)○ |
27 | ○欽(흠) | ○鐥(선) | ○鉉(현) |
28 | 泳(영)○ | 雨(우)○ | 洙(수)○ |
29 | ○休(휴) | ○杓(표) | ○柄(병) |
30 | 熙(희)○ | 勳(훈)○ | 然(연)○ |
31 | ○坤(곤) | ○均(균) | ○在(재) |
32 | 鎬(호)○ | 鍊(련)○ | 鎭(진)○ |
33 | ○淵(연) | ○洙(수) | ○浩(호) |
34 | 來(래)○ | 相(상)○ | 根(근)○ |
35 | ○炫(현) | ○燮(섭) | ○熺(희) |
36 | 載(재)○ | 老(노)○ | 址(지)○ |
37 | ○鍊(련) | ○鎔(용) | ○鉛(연) |
38 | 溶(용)○ | 永(영)○ | 源(원)○ |
39 | ○杰(걸) | ○柱(주) | ○株(주) |
40 | 炅(경)○ | 炳(병)○ | 烘(홍)○ |
판서공파(判書公派), 도순찰사공파(都巡察使公派), 충민공파(忠愍公派)
世 | 판서공파 (判書公派) |
도순찰사공파 (都巡察使公派) |
충민공파 (忠愍公派) |
23 | 溶(용)○ | 廷(정)○ | |
24 | 東(동)○ | ○權(권) | 學(학)○ |
25 | ○黙(묵) | 炯(형)○ | ○朝(조) |
26 | 基(기)○ | ○圭(규) | ○稙(직) |
27 | ○鎔(용) | 鎬(호)○ | 顯(현)○ |
28 | 泯(민)○ | ○淳(순) | ○遠(원) |
29 | ○桓(환) | 種(종)○ | 鎬(호)○ |
30 | 炅(경)○ | ○熙(희) | ○泳(영) |
31 | ○埈(준) | 均(균)○ | 秉(병)○ |
32 | 錡(기)○ | ○銖(수) | ○煥(환) |
33 | ○津(진) | 洪(홍)○ | 載(재)○ |
34 | 槿(근)○ | ○休(휴) | ○鍾(종) |
35 | ○炫(현) | 泰(태)○ | |
36 | 坪(평)○ | ○相(상) | |
37 | ○錫(석) | 容(용) | |
38 | 澤(택)○ | ○圭(규) | |
39 | ○栽(재) | 錫(석)○ | |
40 | 炳(병)○ | ○洙(수) | |
41 | ○垣(원) | 羲(희)○ | |
42 | 錄(록)○ | ○燮(섭) | |
43 | ○沅(원) | 基(기)○ |
상서공파(尙書公派), 시랑공파(侍郞公派)
世 | 상서공파(尙書公派) | 시랑공파(侍郞公派) | |
23 | 溶(용)○ | ||
24 | ○權(권) | ||
25 | 炯(형)○ | 楨(정)○ | 榮(영)○ |
26 | ○圭(규) | ○燁(엽) | ○燮(섭) |
27 | 銑(선)○ | 在(재)○ | 栽(재)○ |
28 | ○洙(수) | ○鎬(호) | ○鉉(현) |
29 | 柱(주)○ | 泳(영)○ | 濬(준)○ |
30 | ○煥(환) | ○根(근) | ○柄(병) |
31 | 垠(은)○ | 熺(희)○ | 煥(환)○ |
32 | ○鎬(호) | ○坤(곤) | ○埈(준) |
33 | 浚(준)○ | 鏞(용)○ | 鐸(탁)○ |
34 | ○東(동) | ○洛(락) | ○漢(한) |
35 | 炳(병)○ | 相(상)○ | 榮(영)○ |
36 | ○坤(곤) | ○熙(희) | ○烈(렬) |
37 | 鎭(진)○ | 載(재)○ | 基(기)○ |
38 | ○泳(영) | ○鉉(현) | ○鎭(진) |
김녕김씨 중앙 대종회
김녕김씨 충의공파 대종회
김녕김씨 분성군파 대종회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그리고 댓글은
저의 블로그 활동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