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애순 엄마가 걸린 ‘숨병’의 정체
최근 많은 사람이 제주 해녀들의 삶을 조명한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보고 감동을 받았을 것입니다. 특히, 주인공의 어머니가 젊은 나이에 감압병(잠수병)으로 앓다가 세상을 떠나는 장면은 많은 궁금증을 자아냅니다. '잠수병이 정확히 어떤 병이길래 해녀들이 목숨을 잃을 정도로 위험한 걸까?'라는 의문을 가진 분들도 많을 텐데요. 오늘은 제주 해녀와 감압병의 관계, 그 발병 원인과 진행 과정, 그리고 치료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감압병(잠수병)이란?
감압병(Decompression Sickness, DCS)은 물속에서 일정 시간 머문 뒤 너무 빠르게 수면으로 올라올 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잠수 중에는 고압 환경에서 몸속에 질소가 녹아들어 가지만, 급격히 상승하면 이 질소가 기포로 변하면서 혈관을 막거나 조직을 손상시키게 됩니다. 보통 스쿠버 다이버들에게 많이 발생하지만, 산소통 없이 맨몸으로 잠수하는 제주 해녀들에게도 흔한 직업병이었습니다.
2. '폭삭 속았수다' 속 어머니의 죽음 - 감압병과의 연관성
드라마 속 주인공의 어머니는 29살의 젊은 나이에 감압병으로 사망합니다. 이는 단순히 한 번의 사고가 아니라, 반복적인 잠수를 통해 점진적으로 몸이 망가지는 만성 감압병의 전형적인 사례일 가능성이 큽니다.
과거 제주 해녀들은 하루에도 수십 번 바다에 들어갔다 나왔고, 감압 과정 없이 빠르게 물속과 수면을 오가는 생활을 반복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해녀들은 아래와 같은 감압병의 진행 과정을 겪게 됩니다.
3. 감압병이 해녀들의 몸을 망가뜨리는 과정
초기 증상 - 관절 통증과 피로
🔹 원인: 작은 기포들이 혈관과 관절 주변에 축적됨
🔹 증상: 어깨, 무릎, 엉덩이 같은 관절이 쑤시고 아픔, 극심한 피로감, 피부에 붉은 반점 발생
🔹 해녀들 사이에서는 이를 "바람 들었다"라고 표현하기도 했음
중기 증상 - 신경 손상과 마비
🔹 원인: 기포가 신경을 압박하고 혈액 공급을 방해함
🔹 증상: 손발 저림, 감각 이상, 근력 약화, 어지러움, 이명(귀에서 소리 들림), 심하면 하반신 마비
🔹 이 단계에서는 걸음걸이가 불편해지고, 제대로 걷지 못하는 경우도 많음
말기 증상 - 조직 괴사와 호흡부전
🔹 원인: 혈관이 막혀 조직이 괴사하고 폐 기능이 저하됨
🔹 증상: 뼈가 썩는 무혈성 괴사, 호흡곤란, 기억력 저하, 심장 및 폐 기능 악화
🔹 결국 호흡부전과 전신 쇠약으로 사망할 수도 있음
'폭삭 속았수다' 속 어머니는 이런 과정을 겪으며 점점 쇠약해졌고, 결국 감압병의 합병증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4. 해녀들의 감압병 발생률과 사망률
과거 해녀들의 감압병 발생률
- 연구에 따르면 제주 해녀들의 60~80%가 감압병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됨
- 연령이 많고 깊이 잠수하는 해녀일수록 위험 증가
감압병으로 인한 사망률
- 1960~80년대에는 감압병으로 인한 해녀들의 조기 사망이 흔했음
- 의료 지식 부족과 치료 불가능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병을 앓다가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음
- 하지만 최근에는 해녀 수가 줄고, 감압병에 대한 관리법이 발전하면서 사망률이 낮아짐
즉, 예전에는 감압병으로 인해 젊은 해녀들이 요절하는 일이 많았지만, 현재는 위험성이 줄어든 상태입니다.
5. 감압병 치료 방법과 예방
감압병의 치료 방법
고압 산소 치료 (Hyperbaric Oxygen Therapy, HBOT)
- 감압병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
- 고압 산소 챔버에 들어가 몸속 기포를 줄이고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만듦
산소 공급
- 초기 증상이 나타날 때 바로 순수한 산소를 흡입하면 증상 완화 가능
휴식과 수분 섭취
- 탈수를 막고 혈액 순환을 돕기 위해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이 중요
감압병을 예방하는 방법
✔ 천천히 수면으로 상승하기 → 질소가 서서히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함
✔ 잠수 후 충분한 휴식 시간 가지기 → 몸속의 질소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
✔ 과로하지 않기 → 무리한 잠수 반복을 피하고, 몸 상태를 고려한 작업
✔ 정기적인 건강 검진 받기 → 감압병 초기 증상을 발견하고 조기 치료
마무리
'폭삭 속았수다' 속 어머니의 죽음은 단순한 질병이 아닌, 제주 해녀들이 감내해야 했던 혹독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바다에서 생계를 이어가기 위해 반복적으로 깊은 바다에 들어가야 했던 해녀들. 이들에게 감압병은 피할 수 없는 직업병이었습니다.
다행히 현대에는 감압병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예방과 치료가 가능해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과거 해녀들이 감압병으로 얼마나 큰 희생을 치렀는지, 그리고 그들이 우리 문화 속에서 얼마나 중요한 존재인지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폭삭 속았수다'를 보며 해녀들의 삶과 감압병의 위험성을 다시금 떠올리게 된 지금, 우리는 그들의 희생을 잊지 않고 더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그리고 댓글은
저의 블로그 활동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