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류씨(文化 柳氏)
문화 류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33만 명이며 관향은 황해도 신천군 문화면입니다. 문화 류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문화 류씨(文化 柳氏) 역사
시조 류차달(柳車達)은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남방을 정벌할 때 수레를 많이 내어 군량을 보급함으로써 그 공으로 대승(大丞)에 제수되었고 아울러 삼한공신(三韓功臣)의 호를 받았다. 《문화류씨족보》 흥률사 상량문에 의하면 류차달은 903년 나주전투에서 태봉의 장군이었던 왕건에게 신군(가병) 천 명과 군량을 제공하기 시작하여 936년 후삼국통일 때까지 군량을 제공하였다.
류차달의 아들인 좌윤공(佐尹公) 류효금(柳孝金)은 다음과 같이 전래되는 이야기가 있다.
류차달의 아들인 좌윤공(佐尹公) 류효금(柳孝金)이 일찍이 구월산을 지나다가 큰 범을 만나 그 입 속에 걸려 있던 비녀를 빼내 주었는데 그날 밤 꿈에 범이 나타나 이르기를 나는 산신령인데 무슨 물건이 목에 걸려 심히 괴롭던 중 공이 나를 구해 주었으니 그 음덕으로 공의 자손은 반드시 대대로 경상(卿相)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7세손인 류공권(柳公權)이 1160년(고려 의종(毅宗) 14년) 과거에 급제하여 명종 때 정당문학(政堂文學)·참지정사(叅知政事)에 이르렀다. 그의 아들 중 류언침(柳彦琛)은 무관으로 상장군과 추밀을 역임하였고, 류택(柳澤)은 과거에 등과하여 재상이 되었다.
그 후 류택의 아들인 문정공(文正公) 류경(柳璥)이 1258년(고종 45) 최의를 죽이고 최씨 무신정권을 종식시킨 공으로 추성위사공신(推誠衛社功臣)에 봉해졌고 고향인 유주(儒州)가 문화현으로 승격되었다.
또한 정신공(貞愼公) 류승(柳陞), 장경공(章敬公) 류돈(柳墩) 등 수 대를 연이어 증시(贈諡)를 받아 문화류씨는 고려조에 소위 사세오공(四世五公)의 벌족(閥族)으로서 일찍부터 삼한갑족(三韓甲族)으로 일컬어졌다.
문화 류씨는 조선조에 134인이 대과(大科)에 급제하여 음사(蔭仕)를 포함 실직당상관이 90여인에 이르렀다. 그 중에 상신(相臣) 9인, 호당(湖堂) 5인, 청백리(淸白吏) 4인, 공신(功臣) 11인 등이 배출되었다. 시호(諡號)는 22장이 내렸는데, 그 중에 문시(文諡)는 7장이다.
유명하신 분들로는 조선초에 청렴한 재상으로 유명한 하정(夏亭) 류관(柳寬), 사육신 낭간(琅玕) 류성원(柳誠源), 을사사화 때 강직한 대신이었던 송암(松菴) 류관(柳灌), 임진왜란 때 선무공신 문흥군(文興君) 류사원(柳思瑗), 영의정을 지낸 류상운(柳尙運)과 류상운의 아들이자 좌의정을 지낸 류봉휘(柳鳳輝), 실학자 반계(磻溪) 류형원(柳馨遠), 발해고를 쓴 영재(泠齋) 류득공(柳得恭) 등이 있다.
문화류씨는 고려 때 4대명족, 조선 때 8대성으로 일컬어져 왔다.
문화류씨의 족보인 영락보(永樂譜, 1423년)는 우리나라 최초의 족보지만 실존하지 않고 다음으로 편찬된 문화 류씨 가정보(嘉靖譜, 1562년)는 현재 실존하는 족보 중에서 두 번째로 오래되었다.
분파
시랑공파 2.94% 9,348명
문숙공파 1.94% 6,163명
하정공파 18.42% 58,560명
장령공파 0.77% 2,461명
곤산군파 5.34% 16,962명
문평군파 2.79% 8,874명
중문 지후사공파 7.03% 22,360명
좌상공파 15.75% 50,059명
검한성공파 10.28% 32,662명
정숙공파 2.63%. 8,366명
판사공파 1.37% 4,357명
수사공파 0.05% 163명
부윤공파 0.94% 2,983명
충경공파 29.69% 94,355명
문화 류씨(文化 柳氏) 항렬표
대동 항렬자 (문화류씨 정항록)
世 | 항렬 |
31 | 根(근)○, 寅(인)○ |
32 | ○烈(렬), ○杰(걸) |
33 | 志(지)○, 在(재)○ |
34 | ○善(선), ○鉉(현) |
35 | 濟(제)○, 浩(호)○ |
36 | ○桓(환), ○榦(간) |
37 | 榮(영)○, 煌(황)○ |
38 | ○坤(곤), ○憲(헌) |
39 | 鍾(종)○, 鏞(용)○ |
40 | ○泳(영), ○承(승) |
41 | 來(래)○, 采(채)○ |
42 | ○熙(희), ○魯(로) |
43 | 膺(응)○, 增(증)○ |
44 | ○鎬(호), ○銶(구) |
45 | 溫(온)○, 濬(준)○ |
46 | ○檍(억), ○樂(락) |
47 | 炳(병)○, 炯(형)○ |
48 | ○璣(기), ○㘽(재) |
49 | 會(회)○, 澮(회)○ |
50 | ○雨(우), ○河(하) |
51 | 本(본)○, 彬(빈)○ |
52 | ○然(연), ○勳(훈) |
53 | 壽(수)○, 垂(수)○ |
54 | ○鐸(탁), ○錄(록) |
55 | 漢(한)○, 澣(한)○ |
56 | ○東(동), ○秉(병) |
57 | 寧(녕)○, 應(응)○ |
58 | ○周(주), ○堯(요) |
59 | 鍊(련)○, 銓(전)○ |
60 | ○沂(기), ○泰(태) |
문화 류씨(文化 柳氏) 대종회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그리고 댓글은
저의 블로그 활동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