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 이씨(永川李氏)
영천 이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2만 명으로 본관은 경상북도 영천시입니다. 영천 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영천 이씨(永川李氏) 역사
영천 이씨(永川李氏)의 시조는 이문한(李文漢)이며, 고려 평장사를 역임하였이다.
영천 이씨는 크게 3계통으로 나눠지는데, 신호위 대장군(神虎衛大將軍)을 지내고 영양군(永陽君)에 봉해진 이대영(李大榮), 울산군사(蔚山郡事) 이중영(李仲榮), 영동정(令同正) 이박(李磚)을 각각 파조로 한다.
고려 무신 정권, 이극인(李克仁)은 1202년(신종 5) 경주의 별초군(別抄軍)이 운문(雲門)의 반란군 및 부인사(符仁寺)·동화사(桐華寺)의 승도들과 함께 영주(지금의 경북 영천시)를 침탈하였을 때, 관직에 있지 않으면서 이를 물리쳤고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관직에 나아갔다.
그 뒤 장군에 올랐으며, 1217년(고종 4)에는 전군 병마사(前軍兵馬使) 김취려(金就礪)의 지휘 하에 정주(定州)에 주둔하여 거란 유종(契丹遺種)의 침입을 방어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1224년에 대장군에 오른 이극인(李克仁)은 상장군 최유공(崔愈恭), 장군 김계봉(金季鳳) 등과 더불어 당시의 집권자인 최우(崔瑀)를 죽이려다 실패하였고 죽임을 당했다.
조선에서 문과 급제자 39명과 많은 명신·학자를 배출했으며, 역사상 대표적 인물로는 이현보(李賢輔)·이종검(李宗儉)·이보흠(李甫欽) 등이 있다.
이현보(李賢輔)는 연산군 때 문과에 급제, 부제학·호조참판·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하고 지중추부사에 올라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이종검(李宗儉)은 세종 때 문과에 급제, 한림·직제학·대사간을 역임하고 역시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이보흠(李甫欽)은 세종 때 문과에 급제, 집현전박사를 지내고 단종손위 후에는 순흥부사(順興府使)로 있으면서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장류(杖流), 순절하였다.
이순몽(李順蒙)은 조선초의 무신으로 1405년(태종 5) 음직(蔭職)으로 벼슬에 올라 1417년 무과에 급제하였고, 1419년(세종 1) 우군절제사에 임명되었다. 1419년 우군절제사로 이종무(李從茂)·우박(禹博)·박초(朴礎) 등과 함께 대마도 정벌에 나섰다. 여러 장수들은 모두 패하였으나 이순몽은 김효성(金孝誠)과 함께 대전과를 거두어, 대마도주 도도웅이(都都熊耳)가 항복하고 수호를 요청하였다. 1434년 경상도도절제사, 1447년 영중추원사를 지냈다.
분파
장파(長派)인 서승공파(포은 정몽주의 외조부), 영동정공파, 이극인을 중시조로 하는 대장군파, 수춘을 중시조로 하는 상장군파, 세화를 중시조로 하는 상서공파가 있다.
영천 이씨(永川李氏) 항렬표
대동항렬표
世 | 항렬 | ||
24세 | 장(章)○ | 종(宗)○ | |
25세 | 태(泰)○ | ○낙(洛) | |
26세 | ○식(植) | ○영(榮) | |
27세 | 병(炳)○ | 희(熹)○ | ○환(煥)○ |
28세 | 시(時)○ | ○기(基) | ○규(圭) |
29세 | 호(鎬)○ | 진(鎭)○ | ○석(錫)○ |
30세 | ○구(求) | 순(淳)○ | 원(源)○ |
31세 | ○표(杓) | ○모(模) | 동(東)○ |
32세 | 희(熙)○ | ○열(烈) | ○섭(燮) |
33세 | ○곤(坤) | ○배(培) | |
34세 | ○현(鉉) | ○연(鍊) | ○수(銖) |
35세 | ○식(湜) | ○하(河) | ○호(浩) |
36세 | 병(秉)○ | ○근(根) | ○빈(彬) |
37세 | ○엽(燁) | ○욱(煜) | 연(然)○ |
38세 | ○채(埰) | ○돈(墩) | ○지(址) |
※ 영천이씨 대종회 항렬표
영천 이씨(永川李氏) 문중 사이트 및 자료
영천 이씨(永川李氏) 대종회
영천 이씨(永川李氏) 중앙종회 (영동정공파)
마무리
영천 이씨의 항렬표와 역사를 정리해봤습니다. 항렬표를 찾으시는 분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혹시 틀린 부분이나 보완사항 말씀해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그리고 댓글은
저의 블로그 활동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