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이씨 효령대군파 항렬표
조선과 대한제국의 국성(國姓)인 전주이씨 효령대군파를 문중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정리했습니다.
목차
전주이씨 효령대군파 역사
효령대군은 태종대왕의 둘째 아들로 양녕대군의 아우이고 세종대왕의 형이다. 처음 휘는 호(祜)이고 19세에 보(補)로 고쳤다. 자는 선숙(善叔), 호는 연강(蓮江), 시호는 정효(靖孝)이다. 12세에 해주정씨를 부인으로 맞이하였고 17세에 효령대군으로 봉해졌다. 글 읽기를 좋아하여 30세 전에 이미 학문과 덕성을 이룩하였고 명필이었다. 활쏘기에 능숙하였고 효성이 지극하여 부왕으로부터 사랑을 많이 받았다.
불교를 독실히 믿어 조정의 숭유억불 정책하에서 불교 보호의 방패 역할을 감당하였다. 원각사 창건 때에는 조성도감 도제조를 맡았다. 이 때 주조되어 1985년까지 보신각에 달려 있던 큰종과 탑골공원의 10층 석탑은 그 제조기법이나 예술성이 뛰어났다. 10층 석탑은 국보 제2호로, 원각사지 대종은 보물 제2호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법화경>, <금강경>, <원각경>, <반야심경>, <능엄경>, <선종영가집> 등 불경의 번역과 교정에도 힘썼고, 많은 사찰을 순회하면서 신도들을 온후하게 계도하였다. 그리고 향촌의 자치규약인 향헌(鄕憲) 56조를 지어 백성들의 윤리 도덕심을 함양하였으며 유불심법동일원(儒佛心法同一原)의 이념을 추구하였다.
이렇듯 효령대군은 조선조 개국 초기의 정치 사회적 전환기에 왕정을 굳건히 하기 위해 직접 계도와 행동으로 보필하였으며, 성종조까지 아홉 조정을 내리 섬기면서 왕실의 어른으로서 대접을 받았다.
1396년(태조 5)에 태어나 91세의 천수를 누리고 1486년(성종 17) 5월 11일에 별세하여 서초구 방배동에 예장되었다. 7남을 두었으며 여섯째 아들 원천군(原川君)을 아우 성녕대군에게 출계시켰으며 손자 33인, 증손자 109인으로 후손이 번성하였다.
-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효령대군파 약사 -
효령대군파 항렬표
世 | 항렬 |
37 | 우(遇)○ |
38 | ○범(凡) |
39 | 회(會)○ |
40 | ○우(宇) |
41 | ○의(儀) |
42 | 기(起)○ |
43 | 강(康)○ |
44 | ○재(宰) |
45 | 수(秀)○, 정(廷)○ |
46 | ○규(揆) |
47 | ○존(存), ○학(學) |
48 | 병(秉)○, 용(庸)○ |
49 | 연(演)○ |
50 | ○경(卿) |
51 | 진(振)○ |
52 | ○범(範) |
53 | ○년(年) |
54 | ○래(來) |
55 | 중(重)○ |
56 | 유(楢)○ |
57 | 성(成)○ |
58 | ○원(遠) |
59 | ○만(萬) |
60 | ○욱(旭) |
항렬표 자료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전주이씨 효령대군파 인터넷세보
마무리
전주이씨 효령대군파 항렬표를 찾으시는 분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혹시 틀린 부분이나 보완사항 말씀해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그리고 댓글은
저의 블로그 활동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