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기준 정리
중위소득은 한 나라의 가구 중 소득이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즉, 가구의 소득을 크기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절반의 가구가 그보다 많고, 절반의 가구가 그보다 적은 소득을 가진 것을 의미합니다.
가계의 경제적 수준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와 사회복지 정책의 기준이 되는 중위소득에 대해 가구원 수에 따라 정리해봤습니다.
목차
중위소득과 가구원 수에 대한 의미와 기준 정의
중위소득
가구중위소득은 가구 단위의 소득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중위가구의 생활수준을 가늠할 수 있게 해 준다. 가구마다 가구원수에 차이가 있으므로 가구 간 소득수준을 적절히 비교하기 위해서는 가구원수를 감안할 필요가 있다.
가구원 수
전국 일반가구의 평균 가구원수임. 일반가구란 한 주택에 살면서 취사, 취침 등 생계를 같이하는 가구로 혼인, 출산, 입양으로 이루어진 가족단위를 말함. 생활을 같이하는 가구나 5인 이하의 친구 또는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들끼리 모여 생활을 같이 하는 비친족 가구를 모두 포함함.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를 통해 집계된 일반가구수와 일반가구의 가구원수를 이용하여 산출함.
평균 가구원 수
전국 가구의 평균 가구원수는 1970년 5.2명에서 1980년 4.5명, 1990년 3.7명, 2000년 3.1명, 2010년 2.7명, 2022년 2.2명으로 꾸준히 감소하였다. 평균 가구원수의 감소는 출산율 저하, 핵가족화 및 1인가구 증가 등으로 설명된다. 1985년부터 2005년까지는 4인가구가 주된 가구유형이었는데, 2010년에는 2인가구, 2015년부터는 1인가구가 주된 가구유형이 되었다. 4인가구 비율은 1990년 29.5%에서 2022년 13.8%로 감소한 반면, 1인가구 비율은 같은 기간 9.0%에서 34.5%로 증가하였다. 최근 평균 가구원수 감소에 1인가구의 증가가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2024년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월 기준)
1, 2, 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월 기준) |
가구원 수 | 비고 |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
300% | 6,685,335 | 11,047,827 | 14,143,971 | |
200% | 4,456,890 | 7,365,218 | 9,429,314 | |
190% | 4,234,046 | 6,996,957 | 8,957,848 | |
180% | 4,011,201 | 6,628,696 | 8,486,383 | 청년도약계좌 |
150% | 3,342,668 | 5,523,914 | 7,071,986 | 서울 친인척 아이돌봄수당 |
120% | 2,674,134 | 4,419,131 | 5,657,588 | 청년국민취업 |
100% | 2,228,445 | 3,682,609 | 4,714,657 | 중장년 취성패 |
85% | 1,894,178 | 3,130,218 | 4,007,458 | |
80% | 1,782,756 | 2,946,087 | 3,771,726 | |
75% | 1,671,334 | 2,761,957 | 3,535,993 | 긴급복지지원 |
72% | 1,604,480 | 2,651,478 | 3,394,553 | 청소년한부모자립지원패키지 |
70% | 1,559,912 | 2,577,826 | 3,300,260 | 가사/간병방문 |
65% | 1,448,489 | 2,393,696 | 3,064,527 | ○청소년한부모 급여 |
60% | 1,337,067 | 2,209,565 | 2,828,794 | ○한부모,조손가족 급여 ○취성패 |
50% | 1,114,223 | 1,841,305 | 2,357,329 | ○기초생활 ○ 차상위 |
4, 5, 6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월 기준) |
가구원 수 | 비고 |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
300% | 17,189,739 | 20,087,205 | 22,855,107 | |
200% | 11,459,826 | 13,391,470 | 15,236,738 | |
190% | 10,886,835 | 12,721,897 | 14,474,901 | |
180% | 10,313,843 | 12,052,323 | 13,713,064 | 청년도약계좌 |
150% | 8,594,870 | 10,043,603 | 11,427,554 | 서울 친인척 아이돌봄수당 |
120% | 6,875,896 | 8,034,882 | 9,142,043 | 청년국민취업 |
100% | 5,729,913 | 6,695,735 | 7,618,369 | 중장년 취성패 |
85% | 4,870,426 | 5,691,375 | 6,475,614 | |
80% | 4,583,930 | 5,356,588 | 6,094,695 | |
75% | 4,297,435 | 5,021,801 | 5,713,777 | 긴급복지지원 |
72% | 4,125,537 | 4,820,929 | 5,485,226 | 청소년한부모자립지원패키지 |
70% | 4,010,939 | 4,687,015 | 5,332,858 | 가사/간병방문 |
65% | 3,724,443 | 4,352,228 | 4,951,940 | ○청소년한부모 급여 |
60% | 3,437,948 | 4,017,441 | 4,571,021 | ○한부모,조손가족 급여 ○취성패 |
50% | 2,864,957 | 3,347,868 | 3,809,185 | ○기초생활 ○ 차상위 |
2024년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연 기준)
1, 2, 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년 기준) |
가구원 수 | 비고 |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
300% | 80,224,020 | 132,573,924 | 169,727,652 | |
200% | 53,482,680 | 88,382,616 | 113,151,768 | |
190% | 50,808,552 | 83,963,484 | 107,494,176 | |
180% | 48,134,412 | 79,544,352 | 101,836,596 | 청년도약계좌 |
150% | 40,112,016 | 66,286,968 | 84,863,832 | 서울 친인척 아이돌봄수당 |
120% | 32,089,608 | 53,029,572 | 67,891,056 | 청년국민취업 |
100% | 26,741,340 | 44,191,308 | 56,575,884 | 중장년 취성패 |
85% | 22,730,136 | 37,562,616 | 48,089,496 | |
80% | 21,393,072 | 35,353,044 | 45,260,712 | |
75% | 20,056,008 | 33,143,484 | 42,431,916 | 긴급복지지원 |
72% | 19,253,760 | 31,817,736 | 40,734,636 | 청소년한부모자립지원패키지 |
70% | 18,718,944 | 30,933,912 | 39,603,120 | 가사/간병방문 |
65% | 17,381,868 | 28,724,352 | 36,774,324 | ○청소년한부모 급여 |
60% | 16,044,804 | 26,514,780 | 33,945,528 | ○한부모,조손가족 급여 ○취성패 |
50% | 13,370,676 | 22,095,660 | 28,287,948 | ○기초생활 ○ 차상위 |
4, 5, 6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년 기준) |
가구원 수 | 비고 |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
300% | 206,276,868 | 241,046,460 | 274,261,284 | |
200% | 137,517,912 | 160,697,640 | 182,840,856 | |
190% | 130,642,020 | 152,662,764 | 173,698,812 | |
180% | 123,766,116 | 144,627,876 | 164,556,768 | 청년도약계좌 |
150% | 103,138,440 | 120,523,236 | 137,130,648 | 서울 친인척 아이돌봄수당 |
120% | 82,510,752 | 96,418,584 | 109,704,516 | 청년국민취업 |
100% | 68,758,956 | 80,348,820 | 91,420,428 | 중장년 취성패 |
85% | 58,445,112 | 68,296,500 | 77,707,368 | |
80% | 55,007,160 | 64,279,056 | 73,136,340 | |
75% | 51,569,220 | 60,261,612 | 68,565,324 | 긴급복지지원 |
72% | 49,506,444 | 57,851,148 | 65,822,712 | 청소년한부모자립지원패키지 |
70% | 48,131,268 | 56,244,180 | 63,994,296 | 가사/간병방문 |
65% | 44,693,316 | 52,226,736 | 59,423,280 | ○청소년한부모 급여 |
60% | 41,255,376 | 48,209,292 | 54,852,252 | ○한부모,조손가족 급여 ○취성패 |
50% | 34,379,484 | 40,174,416 | 45,710,220 | ○기초생활 ○ 차상위 |
2024년 기초생활 수급자 급여종류별 기준
급여 (월 기준) |
가구원 수 | 비고 |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
교육급여(50%) | 1,114,223 | 1,841,305 | 2,357,329 | |
주거급여(48%) | 1,069,654 | 1,767,652 | 2,263,035 | |
의료급여(40%) | 891,378 | 1,473,044 | 1,885,863 | |
생계급여(32%) | 713,102 | 1,178,435 | 1,508,690 |
구분 (월 기준) |
가구원 수 | 비고 |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
교육급여(50%) | 2,864,957 | 3,347,868 | 3,809,185 | |
주거급여(48%) | 2,750,358 | 3,213,953 | 3,656,817 | |
의료급여(40%) | 2,291,965 | 2,678,294 | 3,047,348 | |
생계급여(32%) | 1,833,572 | 2,142,635 | 2,437,878 |
관련 사이트 및 자료
e-나라지표 https://www.index.go.kr/unity/potal/eNara/main/EnaraMain.do
마무리
2024년 중위소득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물가 상승에 따른 소득 증가와 정부의 소득 양극화 완화 정책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중위소득과 기준을 찾으시는 분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그리고 댓글은
저의 블로그 활동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3.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