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83

벽진 이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벽진 이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벽진 이씨(碧珍 李氏)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1만 명으로 본관은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입니다. 벽진 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벽진 이씨 (碧珍 李氏) 역사벽진이씨의 시조는 이총언(李悤言)[858~938]으로, 그에 대한 사적은 『고려사(高麗史)』에 실려 있다. 이총언(李悤言)은 신라말 지금의 성주 태수(太守)로서 벽진군(碧珍郡)을 수비하고 도적을 소탕하여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였다.고려 태조 왕건이 삼한 통일에 함께 할 것을 권하자 아들 이영(李永)을 보내 후백제 정벌에 참여하여 고려 태조를 도운 공으로 삼중대광개국원훈(三重大匡開國元勳), 벽진백(碧珍伯)에 봉해졌고, 벽진대장군(碧珍大將軍)에 임명되었다. 또한 아들 영(永)은.. 2023. 12. 15.
가족 관계 호칭과 촌수, 계촌법 알아보기 가족 관계 호칭과 촌수, 계촌법 알아보기계촌법(計寸法)은 나를 기준으로 주변 친척들 즉, 방계친족(傍系親族)과의 멀고 가까운 정도를 촌수(寸數)로 계산하는 방법을 뜻합니다. 계촌법을 통한 친척들과의 촌수와 호칭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목차  1. 가족 관계 호칭(1) 직계                             등급대상자내가 대상자를부를 때내가 남에게대상자를 말할 때남이 나에게대상자를 말할 때할아버지(祖父)할아버지할아버님조부님조부주(祖父主)조부왕부(王父)노조부(老祖父)조부장(祖父丈) 등 여럿.조부장(祖父丈)왕부장왕대인(王大人)왕존장(王尊丈) 등 여럿.할머니(祖母)할머니할머님조모님조모주(祖母主)조모왕모노조모왕대부인(王大夫人)존왕대부인(尊王大夫人)아버지(父)아버지아버님부주(父主) 가친(家親)부친(父.. 2023. 12. 15.
여양 진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여양 진씨 (驪陽 陳氏)여양 진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1만 명으로 본관은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입니다. 여양 진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여양 진씨 (驪陽 陳氏) 역사시조 진총후(陳寵厚)는 고려 예종 때 호분위대장군(虎賁衛大將軍)을 역임했으며, 1126년(인종 4) 이자겸(李資謙)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신호위대장군(神虎衛大將軍)에 오르고 여양군(驪陽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여양(驪陽)은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일대의 고려시대 지명이다.진총후의 아들 진준(陳俊)이 병졸에서 승진하여 고려 명종(明宗)조에 참지정사(叅知政事)·판병부사(判兵部事)에 이르렀다.진준의 손자 진식(陳湜)·진화(陳澕)·진온(陳溫)이 모두 과거에 급제하여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다. 진.. 2023. 12. 15.
청풍 김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청풍 김씨 (淸風 金氏)청풍 김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1만 명으로 본관은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입니다. 청풍 김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청풍 김씨 (淸風 金氏) 역사청풍 김씨는 신라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예인 대장군(大將軍) 김순웅(金順雄)의 12세손 김대유(金大猷)를 시조로 하고 있다. 그는 고려 말에 문하시중에 올라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으로서 후손들은 그를 시조로 하고 관향(貫鄕)을 청풍(淸風)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후손 문정공 김육(金堉)의 신도비에 의하면 선계는 신라에서부터 나왔다.신라 제 56대 경순왕(敬順王)의 아들인 마의태자가 고려 태조 왕건의 신흥세력에 대항 할 길이 없어 경순왕이 항복을 논의하자 천년사직을 .. 2023. 12. 14.
성산 이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성산 이씨 (星山 李氏)성산 이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1만 명으로 본관은 경상북도 성주군입니다. 성산 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성산 이씨 (星山 李氏) 역사성산 이씨(星山李氏)의 시조 이능일(能一)은 신라 말, 지용(智勇)을 겸전한 장수로서 성산(星山), 현재의 성주(星州) 일대를 통치해온 지방 호족이다.이능일(能一)은 고려 태조 8년(925)에 본부장군(本部將軍)으로 임명되어, 군사를 이끌고 조물군(曹勿郡: 현 경북 서북부지방)에서 최언(崔彥)과 더불어 민병(民兵) 600여명을 거느리고 견훤(甄萱)을 토벌하는 등 12년 동안 왕건을 도와 후삼국(後三國)을 수훈(殊勳)을 세웠다. 태조가 천수(天授) 19년(936)에 삼한 통일의 대업을 완수하고 이능일(.. 2023. 12. 14.
합천 이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합천 이씨 (陜川 李氏)합천 이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2만 명으로 본관은 경상남도 합천군입니다. 합천 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합천 이씨 (陜川 李氏) 역사합천 이씨(陜川 李氏)의 시조인 이개(李開)는 이알평(李謁平)의 39세손으로 강양군(江陽君)에 봉군되었고, 고려가 건국되자 태조의 제안을 받아들여 강양호장(江陽戶長)을 지냈다. 《문충공사적기(文忠公事蹟記)》에는 그가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의 문인으로 유학과 문학의 진흥에 힘썼으며, 박경엽(朴敬燁)의 난을 토평한 공으로 강양군에 봉해졌으며, 고려가 건국되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절의(節義)를 지켜 태조의 부름을 거역하여 가수현장(嘉樹縣長)으로 강등되었다가 뒤에 합천호장(陜川戶長)을 지내게 되었다.. 2023. 12. 14.
나주 정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나주 정씨 (羅州 丁氏)나주 정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2만 명으로 본관은 전라남도 나주시입니다. 나주 정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나주 정씨 (羅州 丁氏) 역사약 1520년(조선 중종 12년) 전후에 발간된 나주 정씨 최초의 가첩(家牒)인 『월헌첩(月軒帖)』에는 고려 중기의 정윤종(丁允宗)이 시조로 기록되어 있다.나주 정씨(羅州 丁氏)의 시조 정윤종(丁允宗)은 고려 중기 전라도 압해현(壓海縣) 출신의 무신(武臣)으로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을 지냈다. 2세 정혁재(丁奕材), 3세 정양(丁良), 4세 정신(丁信), 5세 정준(丁俊), 6세 정공일(丁公逸), 7세 정원보(丁元甫), 8세 정세(丁世), 9세 정안경(丁安景), 10세 정연(丁衍), 11세 정자급(丁子.. 2023. 12. 13.
원주 원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원주 원씨 (原州 元氏)원주 원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2만 명으로 본관은 강원도 원주시입니다. 원주 원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원주 원씨 (原州 元氏) 역사원주 원씨(原州 元氏)의 시조인 원경(元鏡)은 중국 당나라의 태종이 고구려에 파견한 8학사(學士) 중 한명이다. 원경은 중국 원성(原城) 사람으로 처음 이름은 원경(元慶)이었으나 원경(元鏡)으로 변경하였으며, 원훤(元喧)의 41세손이다.원경은 당에서 금자광록대부(金紫光錄大夫) 평장사(平章事)를 지냈으며, 고구려에 와서 두 나라의 국교 회복과 보장왕(寶藏王)의 책봉에 힘썼으므로 보장왕이 그를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봉하였다고 한다. 원성백파(原城伯派)의 파조 원극유(元克猷)는 고려를 개국할 때 공을 세워 .. 2023. 12. 12.
고령 신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고령 신씨 (高靈 申氏)고령 신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3만 명으로 본관은 경상북도 고령군입니다. 고령 신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고령 신씨 (高靈 申氏) 역사고령 신씨(高靈 申氏)의 시조 신성용(申成用)은 고령지방에 근거지를 둔 대가야의 왕족 출신으로 추정되며, 고려 때 호장(戶長)을 지냈고,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역임하였다고 한다.5세손 신덕린(申德隣)이 고려 충목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공조의 판서를 역임하였다. 하지만 고려 말기에 국운이 기울자 공조참의를 역임한 아들 신포시(申包翅)와 함께 전라도 광주(光州)의 서석산에 은거하였으며 고려에 대한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켰다. 신포시의 장남 신장(申檣)은 대제학, 차남 신평(申枰)은 사간원정언(司諫院.. 2023. 12. 8.
영천 이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영천 이씨(永川李氏)영천 이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2만 명으로 본관은 경상북도 영천시입니다. 영천 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영천 이씨(永川李氏) 역사영천 이씨(永川李氏)의 시조는 이문한(李文漢)이며, 고려 평장사를 역임하였이다.영천 이씨는 크게 3계통으로 나눠지는데, 신호위 대장군(神虎衛大將軍)을 지내고 영양군(永陽君)에 봉해진 이대영(李大榮), 울산군사(蔚山郡事) 이중영(李仲榮), 영동정(令同正) 이박(李磚)을 각각 파조로 한다.고려 무신 정권, 이극인(李克仁)은 1202년(신종 5) 경주의 별초군(別抄軍)이 운문(雲門)의 반란군 및 부인사(符仁寺)·동화사(桐華寺)의 승도들과 함께 영주(지금의 경북 영천시)를 침탈하였을 때, 관직에 있지 않으면서 이를 .. 2023.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