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자료165 평창 이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평창 이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평창 이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8만 명으로 본관은 강원도 평창군입니다. 평창 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평창 이씨(平昌 李氏) 역사평창 이씨(平昌 李氏)의 시조 이광(李匡)은 1126년(고려 인종 4)에 태어나 고려 의종 때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동북면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 평장사(平章事)를 거쳐 광록대부(光祿大夫) 태사(太師)에 이르렀고 평창(平昌)의 옛 이름인 백오군(白烏君)에 봉해졌다.이광의 8세손 이천기(李天驥)가 고려 공민왕 때 산기상시(散騎常侍)에 이르고, 공을 세워 평창군(平昌君)에 봉해졌다.평창 이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7명을 배출하였다. 평창 이씨 항렬표世항렬27세○모(模)○근(根)28세병(炳)○○섭.. 2024. 2. 16. 영양 남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영양 남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영양 남씨 (英陽 南氏)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8만 명으로 본관은 경상북도 영양군입니다. 영양 남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영양 남씨 (英陽 南氏) 역사영양 남씨의 시조는 남민(南敏)이고, 본명이 김충(金忠)이다.당 현종(唐 玄宗) 천보(天寶) 14년(신라 경덕왕 14) 중국 봉양부(鳳陽府) 여남(汝南)에서 안렴사(按廉使)로 일본에 갔다가 귀로에 태풍을 만나서 경상북도 영덕(盈德)의 죽도(竹島)에 표착하여 신라에 정착하였다고 한다.이에 경덕왕은 그가 여남에서 왔다고 하여 남씨(南氏)를 내리고 이름을 민(敏)으로 고쳐 부르게 하였으며 영양현(英陽縣)을 식읍으로 내렸다고 한다. 고려시대에 남민의 7세손 대장군(大將軍) 남진용(南鎭勇).. 2024. 2. 15. 성주 배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성주 배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성주 배씨(星州 裵氏)는 성산 배씨(星山裵氏)라고도 하며, 2015년 통계 기준 약 8만 명으로 본관은 경상북도 성주군입니다. 성주 배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성주 배씨(星州 裵氏) 역사시조 배위준(裵位俊)은 고려 시대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올랐다고 한다. 5세손 배인경(裵仁敬)이 고려 충선왕 때 추밀원사(樞密院事)를 지낸 후 흥안부원군(興安府院君)에 봉해졌다.11세손 배극렴(裵克廉)이 조선 개국공신으로 성산백(星山伯)에 봉해졌으며,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에 이르렀다.성산 배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1명을 배출하였다. 분파배인경의 아들인 배문적(裵文迪)과 배무적(裵武迪)으로부터 분파된다. 배문.. 2024. 2. 8. 인천 이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인천 이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인천 이씨(仁川 李氏)는 경원 이씨(慶源李氏), 인주 이씨(仁州李氏)로도 불리며, 2015년 통계 기준 약 8만 명으로 본관은 인천광역시입니다. 인천 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인천 이씨(仁川 李氏) 역사허황후의 23세손인 아찬(阿飡) 허기(許奇)가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사신으로 당나라에 갔을 때 안록산의 난을 맞아 당 현종(玄宗)을 호위한 공으로 황제(皇帝)의 성(姓)인 이씨(李氏) 성을 사성(賜姓) 받았다. 시조는 허기의 10세손인 이허겸(李許謙)으로 고려 현종 때에 ‘상서좌복야 상주국 소성현 개국후(尙書左僕射 上柱國邵城縣開國侯)’에 제수되어 식읍(食邑) 1,500호(戶)를 하사받았다. 이허겸의 딸은 김은부와 혼인하면서 덕종·.. 2024. 2. 8. 여주 이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여주 이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여주 이씨(驪州 李氏)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8만 명으로 본관은 경기도 여주시입니다. 여주 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여주 이씨(驪州 李氏) 역사여주 이씨(驪州 李氏)에는 중시조를 달리하는 3파가 있다. 이들은 다같이 고려 중엽부터 경기도 여주시에 자리잡아 세력을 떨치던 호족들이자 상층향리로서 지역을 다스리다가 개성으로 상경해 벼슬을 하였다. 이후 후손들은 시조는 달리하면서도 오랜 예전부터 서로 동족으로 알아 한 뿌리일 것이라는데 의견을 같이해 조선시대부터 대동보를 함께 만들어오기도 했다. 고려시대에는 대 문장가 이규보가 나오면서 가문의 명예를 크게 빛냈다. 조선시대에는 최고 영예인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이언적이.. 2024. 2. 8. 평강 채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평강 채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평강 채씨(平康 蔡氏)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9만 명으로 본관은 강원도 평강군입니다. 평강 채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평강 채씨(平康 蔡氏) 역사평강채씨(平康蔡氏) 시조 채경연(蔡敬延)은 감찰 규정(監察糾正)의 벼슬을 하였다. 아들 채방(蔡邦)이 검교신호위 대장군(檢校神虎衛大將軍), 손자 채수갑(蔡壽甲)이 문림랑사재동정(文林郞司宰同正), 증손자 채영(蔡泳)이 태묘서령(太廟署令)을 지냈다. 채영(蔡泳)의 아들 채송년(蔡松年)이 고려 고종 때에 최향의 난을 평정하고 대장군(大將軍)에 올랐으며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로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다. 시호는 경평(景平)이다. 중시조 채송년의 묘소는 강원도 평강군 유진면(楡.. 2024. 2. 8. 원주 이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원주 이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원주 이씨(原州 李氏)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9만 명으로 본관은 강원도 원주시입니다. 원주 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원주 이씨(原州 李氏) 역사원주 이씨(原州 李氏)의 분적 시조는 이신우(李申佑)로, 진한(辰韓) 양산촌장(楊山村長)이며 경주이씨(慶州李氏) 시조(始祖)인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의 원대손(遠代孫)이다. 1004년(고려 목종7) 문과에 급제하여 문종조(文宗朝)에서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나라에 공을 세워 원주백(原州伯), 경흥군(慶興君)에 봉작되어 호장(戶長)으로 원주(原州)에 세거(世居)하면서 본관(本貫)을 경주(慶州)에서 분관(分貫)하였고, 경원군파(慶原君派), 강릉공파(江陵公派), 판도판서공파(版.. 2024. 2. 8. 곡부 공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곡부 공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곡부 공씨 (曲阜 孔氏) 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9만 명으로 본관은 중국 산둥성 취푸시, 경상남도 창원시입니다. 곡부 공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곡부 공씨 (曲阜 孔氏) 역사공씨(孔氏)의 시조인 문선공(文宣公) 공자(孔子)의 본명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로 중국 노(魯)나라 추읍(鄒邑 : 曲阜縣)에서 태어났다. 그의 언행(言行)을 적은 《논어(論語)》가 전한다. 공자의 53세손 공완(孔浣)의 둘째 아들 공소(孔紹)가 원나라의 한림학사로서 1351년(충정왕3) 공민왕비인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를 배행하고 고려에 들어와 귀화하여 평장사(平章事)가 되었으며, 회원군(檜原君)에 봉해지고, 창원(昌原)을 사적(賜籍)받음으로써 창.. 2024. 2. 8. 무안 박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무안 박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무안 박씨 (務安 朴氏) 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9만 명으로 본관은 전라남도 무안군입니다. 무안 박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무안 박씨 (務安 朴氏) 역사무안 박씨의 시조(始祖) 박진승(朴進昇)은 신라 경명왕(景明王)의 여섯째 아들인 완산대군(完山大君) 언화(彦華)의 5세손으로 고려조(高麗朝)에서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국자제주(國子祭酒)를 지냈으며 나라에 공(功)을 세워 무안(務安)을 식읍(食邑)으로 하사받아 후손들이 본관(本貫)을 무안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 오고 있다. 무안박씨의 입향조는 박선일과 박행일 형제이다. 형제는 원래 무안박씨 상서공파(尙書公派)의 세거지인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진관리에서 살았다. 네 형제 .. 2024. 2. 8. 사십구재(四十九齋)속의 재판 과정과 심판 사십구재(四十九齋)속의 재판 과정과 심판사십구재의 재판 과정과 재판마다 심판하는 항목, 그리고 심판에서 처벌하는 것들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목차 초반 과정사십구재 기간동안 죽은 사람의 영혼이 49일 동안 저승에 머무르며 명부시왕 중 일곱 대왕들에게 7일동안 7번의 심판을 받고, 49일에 최종심판을 받고 환생한다 하여 심판을 받는 날에 맞추어 49일 동안 7번 재를 지냅니다. 7대왕은 죽은 사람의 생전 행적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좋은 곳에 태어나거나 나쁜 곳에 태어나거나 다시 태어나지 않도록 결정합니다. 1. 진광대왕(秦廣) : 7일째 (1재)지나치게 베풀지 않은 구두쇠를 판단진광대왕의 심판에 통과하지 못한 중생들은 도산지옥(刀山地獄)으로 가게 됩니다. 이 곳은 온통 칼로 뒤덮인 산을 의미하는 지옥으로.. 2024. 1. 18. 이전 1 ··· 3 4 5 6 7 8 9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