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산 김씨(商山 金氏)
상산 김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9만 명으로 본관은 경상북도 상주시입니다. 상산 김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상산 김씨(商山 金氏) 역사
상산 김씨는 조상이 서로 다른 데도 같은 지역에 뿌리를 두고 같은 성씨를 쓰는 이조(異祖) 동성동본(同姓同本)에 해당하는 성씨로, 김수계와 김조계로 나뉜다.
상산 김씨의 시조 김수(金需)는 신라 경순왕 김부(新羅 敬順王 金傅)의 후예로, 고려(高麗) 시대 초엽이던, 고려조 제10대 군주 정종(靖宗) 시절에 보윤(甫尹)을 역임했다. 그의 본관은 본래 경주인데, 이적(移籍)하여 상주(尙州. 상산(商山)의 고호)로 후에 각 파(派)로 나뉘었다고 한다.
그의 선계는 신라국(新羅國)의 김성(金姓)에서 분파되었다고 하며, 문헌이 없어 상계를 정확히 고증 할 수 없다고 한다. 다만 후대에 소급(溯及)하여 그 시대적 배경을 통해 역사 사실을 참조하여 증험(證驗)할 뿐이다.
상산 김씨의 시조 김조(金祚)는 고려 때 상주(尙州)의 향리(鄕吏)로 호장(戶長)을 지냈다. 그의 선계는 자료가 없어 정확히 상고할 수 없다. 다만 《조선씨족통보》에 김수(金需)의 후예라 한다.
조선 시대에 들어서 문과(文科) 급제자 66명, 사마시(司馬試) 급제자 127명, 정승(政丞) 1명, 좌찬성(左贊成) 1명, 대제학(大提學) 1명, 판서(判書) 8명, 대사헌(大司憲) 5명, 관찰사(觀察使) 7명, 청백리(淸白吏) 1명, 정공신(正功臣) 2명, 서원배향(書院配享) 13명을 배출하였다.
분파
- 상서공파(尙書公派)
- 전서공파(典書公派)
- 문충공파(文忠公派)
- 상산군파(商山君派)
- 낙성군파(洛城君派)
- 제학공파(提學公派)
- 내원령파(內苑令派)
- 영중추파(領中樞派)
- 통사공파(統使公派)
- 시랑공파(侍郞公派)
- 상원파(祥原派)
상산 김씨(商山 金氏) 항렬표
대동항렬표 (상산 김씨 대종회)
상산 김씨(商山 金氏) 문중 사이트 및 자료
상산 김씨 대종회
상산 김씨 대종회
마무리
상산 김씨의 항렬표와 역사를 정리해봤습니다. 항렬표를 찾으시는 분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혹시 틀린 부분이나 보완사항 말씀해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그리고 댓글은
저의 블로그 활동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