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파워트레인 부품별 토크에 대한 이해
자동차 엔진에서 발생한 힘이 바퀴로 전달되는 과정은 복잡하면서도 흥미롭습니다. 오늘은 엔진 토크, 트랜스미션 최대출력토크, 토크컨버터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자동차를 움직이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엔진 토크의 이해

엔진 토크는 엔진이 발생시키는 회전력을 의미합니다. 토크는 엔진의 회전수(RPM)에 따라 변화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입니다:
- 낮은 RPM에서는 토크가 작습니다.
- RPM이 증가하면 토크도 증가합니다.
- 특정 RPM에서 최대 토크에 도달합니다.
- 그 이후 RPM이 더 증가하면 토크는 오히려 감소합니다.
이러한 토크 곡선은 엔진의 성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최대 토크가 발생하는 RPM은 엔진이 가장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지점을 나타냅니다.
토크 계산

엔진 토크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토크 (Nm) = (엔진 출력 (kW) x 9549) / 엔진 회전수 (RPM)
이 공식을 통해 특정 RPM에서의 토크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여기서 9549는 다음과 같은 단위 변환 과정에서 나옵니다
1 kW = 1000 W
1 W = 1 Nm/s
1 분 = 60 초
2π = 6.2832... (라디안)
따라서: 9549 ≈ (60 * 1000) / (2π)
이 값을 사용함으로써 kW 단위의 출력을 Nm 단위의 토크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엔진의 회전 운동을 고려하여 출력을 토크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계산입니다
2. 트랜스미션과 최대출력토크
트랜스미션은 엔진에서 발생한 토크를 바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트랜스미션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어비 조절을 통한 토크 증폭
- 주행 상황에 맞는 적절한 회전수와 토크 제공
- 엔진 효율 최적화
트랜스미션의 최대출력토크는 엔진 토크에 기어비를 곱한 값입니다. 예를 들어, 엔진 최대토크가 200Nm이고 1단 기어비가 3.5:1이라면, 1단에서의 최대출력토크는 700Nm가 됩니다.
트랜스미션 효율 고려
실제로는 트랜스미션 내부의 마찰 등으로 인해 약간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트랜스미션 효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트랜스미션 효율은 85~95% 정도입니다.
실제 최대출력토크 = 엔진 토크 * 기어비 * 트랜스미션 효율
3. 토크컨버터의 역할과 작동 원리

토크컨버터는 자동변속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치입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엔진과 변속기 사이의 유체 커플링 제공
- 토크 증폭
- 부드러운 동력 전달
토크컨버터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 펌프(임펠러): 엔진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오일을 순환시킵니다.
- 터빈: 변속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펌프가 순환시킨 오일에 의해 회전합니다.
- 스테이터: 오일의 방향을 바꾸어 토크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토크컨버터의 작동 원리

- 엔진이 회전하면 펌프가 오일을 순환시킵니다.
- 순환하는 오일이 터빈을 회전시킵니다.
- 터빈을 통과한 오일은 스테이터를 거쳐 다시 펌프로 돌아갑니다.
- 이 과정에서 스테이터가 오일의 방향을 바꾸어 토크를 증폭시킵니다.
토크컨버터의 토크비(Stall ratio, 스톨비)

토크컨버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토크비' 또는 '스톨비'가 있습니다. 이는 출력 토크를 입력 토크로 나눈 값입니다. 일반적으로 2.0~2.5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토크비 = 출력 토크 / 입력 토크
토크비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변화합니다:
- 정지 상태(스톨 상태): 토크비가 최대가 됩니다.
- 가속 상태: 토크비가 점차 감소합니다.
- 고속 주행 상태: 토크비가 1에 가까워집니다.
4. 힘의 전달 과정

자동차에서 힘의 전달은 엔진에서 시작하여 바퀴까지 이어지는 복잡한 과정을 거칩니다.
엔진에서의 토크 발생
엔진에서는 연료의 연소를 통해 피스톤의 상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토크를 발생시킵니다. 이때 발생하는 토크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토크 (Nm) = (엔진 출력 (kW) * 9549) / 엔진 회전수 (RPM)
여기서 9549는 단위 변환을 위한 상수입니다.
트랜스미션을 통한 토크 증폭
엔진에서 발생한 토크는 트랜스미션을 통해 증폭됩니다. 트랜스미션은 기어비를 조절하여 토크를 증폭시키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트랜스미션 출력 토크 = 엔진 토크 * 기어비 * 트랜스미션 효율
일반적으로 트랜스미션 효율은 85~95% 정도입니다.
차동장치(디퍼렌셜)를 통한 동력 분배
트랜스미션에서 증폭된 토크는 차동장치를 통해 좌우 바퀴로 분배됩니다. 차동장치는 코너링 시 안쪽 바퀴와 바깥쪽 바퀴의 회전 속도 차이를 조절하여 원활한 주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바퀴를 통한 지면으로의 힘 전달
최종적으로 바퀴를 통해 지면으로 힘이 전달됩니다. 이때 전달되는 힘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지면에 전달되는 힘 = (트랜스미션 출력 토크 * 최종 감속비) / 타이어 반경
5. 데이터 분석 및 활용

자동차의 힘 전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것은 차량의 성능 향상과 효율적인 운행에 매우 중요합니다.
센서를 통한 데이터 수집
다양한 센서가 장착되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주요 센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엔진 RPM 센서
- 토크 센서
- 속도 센서
- 가속도 센서
- 연료 소비량 센서
- 타이어 공기압 센서
- 엔진 온도 센서
이러한 센서들은 차량의 상태와 성능에 관한 중요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합니다.
데이터 분석 기법
수집된 데이터는 다양한 분석 기법을 통해 처리됩니다:
- 통계적 분석: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등을 계산하여 차량 성능의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합니다.
- 시계열 분석: 시간에 따른 데이터 변화를 분석하여 성능 변화 추이를 파악합니다.
- 머신러닝: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하여 성능 예측 모델을 구축합니다.
데이터 활용 사례
분석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차량 성능 최적화: 엔진 토크, 변속 시점, 연료 분사량 등을 최적화하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 예방 정비: 부품의 마모도를 예측하여 적절한 시기에 정비를 수행합니다.
- 연비 개선: 주행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의 연비를 달성할 수 있는 주행 방법을 제시합니다.
- 안전 시스템 개선: 사고 위험 상황을 예측하고 대응하는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마무리
엔진 토크, 트랜스미션, 토크컨버터 등은 자동차의 동력 전달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들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최적화하는 것은 자동차의 성능, 효율성,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전기차, 수소차 등 새로운 동력원의 등장과 함께 힘의 전달 과정도 계속해서 진화할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기본적인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자동차 기술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자동차 엔지니어링에 관심 있는 분들께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자동차 기술의 발전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 https://feeelight.tistory.com/entry/Formula-1-08-%ED%95%98%EC%9D%B4%EB%B8%8C%EB%A6%AC%EB%93%9C-%ED%8C%8C%EC%9B%8C-%EC%9C%A0%EB%8B%9B%EC%9D%B4-%EB%82%B4%EC%97%B0-%EA%B8%B0%EA%B4%80%EB%B3%B4%EB%8B%A4-%ED%86%A0%ED%81%AC%EA%B0%80-%EB%8D%94-%EB%86%92%EC%9D%80-%EC%9D%B4%EC%9C%A02-%EB%82%B4%EC%97%B0-%EA%B8%B0%EA%B4%80%EA%B3%BC-%EC%A0%84%EA%B8%B0-%EB%AA%A8%ED%84%B0%EC%9D%98-%ED%86%A0%ED%81%ACTorque
- https://grandmotor.tistory.com/189
- http://contents.kocw.or.kr/document/region/2010/12/02/12_02_12_auto.pdf
- https://cainse.tistory.com/entry/%EC%9E%90%EB%8F%99%EC%B0%A8-%EC%97%94%EC%A7%84-%ED%86%A0%ED%81%AC-%ED%9A%8C%EC%A0%84%EC%88%98
-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0&pn=1&num=65983
- https://constructionmecha.tistory.com/6
- https://www.asiae.co.kr/article/2020021314563312486
- https://blog.naver.com/jihun24/220874073464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그리고 댓글은
저의 블로그 활동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