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양씨 (濟州 梁氏), 남원 양씨(南原 梁氏)
제주 양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53만 명으로 전체 본관별 인구수 22위입니다. 제주 양씨(약 14만명과)와 분적한 남원 양씨(약 31만명)이 대다수입니다. 제주 양씨와 남원 양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제주 양씨 (濟州 梁氏), 남원 양씨(南原 梁氏) 역사
제주도의 삼시조 중 한 명인 양을나(良乙那)가 시조이며 제주도에 탐라국(耽羅國)을 세웠다고 전한다. 중시조인 탐라국주 양탕(梁宕)이 신라 내물왕 때 입조하여 선린외교를 하였고, 그 때부터 양(良)씨 성을 양(梁)씨 성으로 쓰게 되었다.
제주 양씨(濟州 梁氏)는 한라군 양순(梁洵)이 신라 신문왕 때 한림학사에 봉해졌고, 고려 태조 때 성주왕자를 봉작(封爵) 받은 양구미(梁具美)가 성주공파(星主公派), 고려 명종 때 유격장군이 된 양보숭(梁保崇)이 유격공파(游擊公派) 각각 기세조(起世祖)이다.
남원 양씨(南原 梁氏)는 우량(友諒)이 신라 경덕왕 때 남원부백에 봉해졌고, 고려 성종 때 병부랑중 동궁내 시강학사에 오른 양능양(梁能讓)이 병부공파(兵部公派), 고려 원종 때 찬화공신 용성부원군에 책봉(策封)된 양주운(梁朱雲)이 용성군파(龍城君派), 고려 충선왕 때 대방부원군에 봉해진 양수정(梁水精)이 대방군파(帶方君派) 각각 기세조(起世祖)가 된다.
충주 양씨(忠州 梁氏)는 고려 태조 때 삼한통합대장군이 되고 예성부원군으로 훈봉 받은 양능길(梁能吉)이 예성군파(蘂城君派) 기세조(起世祖)이다.
분파
제주 양씨 (濟州 梁氏)
- 성주공파(星主公派) : 파조 양구미(梁具美)
- 유격공파(游擊公派), 한라군파(漢拏君派) : 파조 양보숭(梁保崇)
남원 양씨(南原 梁氏)
- 병부공파 (兵部公派), 문양공파(文襄公派) : 파조 양능양 (梁能讓)
- 용성부원군파 (龍城府院君派) : 파조 양주운 (梁朱雲)
- 대방부원군파 (帶方府院君派) : 파조 양수정 (梁水精)
충주 양씨
- 예성군파(蘂城君派) : 파조 양능길(梁能吉)
제주 양씨 (濟州 梁氏), 남원 양씨(南原 梁氏) 항렬표
제주 양씨 (濟州 梁氏) 유격공파(遊擊公派)
世 | 항렬 |
25 | 선, 호, 종, 현(善,鎬,鐘,鉉) |
26 | 하, 해, 홍, 호(河,海,洪,浩) |
27 | 근, 주(根,柱) |
28 | 섭, 희(燮,熙) |
29 | 기, 균, 기(基,均,起) |
30 | 윤, 진, 종(鈗,鎭,鐘) |
31 | 연, 수, 식(淵,洙,湜) |
32 | 인, 동(寅,東) |
제주 양씨 (濟州 梁氏) 유격공파(遊擊公派) 한라군계(漢拏君系)
世 | 金城君(금성군) | 西豆奉官公서두봉관공 | 宗簿正公(종부정공) | |
金山(금산) | 典江(전강) | |||
20 | 錫(석)○ | - | 彦(언)○ | ○漢(한) |
21 | ○永(영) | - | 應(응)○ | 之(지)○ |
22 | 秉(병)○ | - | 浩(호)○ | 啓(계)○ |
23 | ○燮(섭) | - | 枰(평)○,杜(두)○ | ○默(묵),○周(주) |
24 | 圭(규)○ | - | ○煥(환),基(기)○ | 在(재)○ |
25 | ○鉉(현) | ○洙(수) | 善(선)○ | ○鎬(호),○鍾(종) |
26 | 洪(홍)○ | ○柱(주) | ○河(하) | 海(해)○,浩(호)○ |
27 | ○柱(주) | ○烈(열) | 根(근)○ | 根(근)○ |
28 | 熙(희)○ | 熙(희)○ | ○燮(섭) | 熙(희)○ |
29 | ○基(기) | ○基(기) | ○起(기) | ○起(기) |
30 | 鍾(종)○ | 鍾(종)○ | 鈗(윤)○ | 鈗(윤)○ |
31 | ○湜(식) | ○湜(식) | ○淵(연) | ○淵(연) |
32 | 榮(영)○ | 榮(영)○ | 寅(인)○ | 寅(인)○ |
33 | ○容(용) | ○容(용) | ○容(용) | ○容(용) |
34 | 埈(준)○ | 埈(준)○ | 圭(규)○ | 圭(규)○ |
35 | ○銑(선) | ○銑(선) | ○錫(석) | ○錫(석) |
36 | 泰(태)○ | 泰(태)○ | 泰(태)○ | 泰(태)○ |
37 | ○植(식) | ○植(식) | ○集(집) | ○集(집) |
38 | 炳(병)○ | 炳(병)○ | 魯(노)○ | 魯(노)○ |
39 | ○培(배) | ○培(배) | - | - |
40 | 鈺(옥)○ | 鈺(옥)○ | - | - |
世 | 瀟灑園公(소쇄원공) | 學圃公(학포공) | 主簿公(주부공) |
20 | 錫(석)○ | 命(명)○ | ○燧(수) |
21 | ○永(영) | ○永(영) | ○鍾(종) |
22 | 相(상)○,永(영)○ | 相(상)○ | ○模(모) |
23 | ○默(묵) | ○默(묵) | ○默(묵) |
24 | 在(재)○ | 在(재)○ | 在(재)○ |
25 | ○鎬(호) | 會(회)○ | ○鎬(호) |
26 | 海(해)○ | ○承(승) | 海(해)○ |
27 | 根(근)○ | 東(동)○ | 根(근)○ |
28 | 熙(희)○ | ○烈(열) | 熙(희)○ |
29 | ○均(균) | 時(시)○ | ○均(균) |
30 | 鎭(진)○ | 鎭(진)○ | 鎭(진)○ |
31 | ○洙(수) | 滋(자)○ | ○洙(수) |
32 | 東(동)○ | ○采(채) | 東(동)○ |
33 | ○烈(열) | 炳(병)○ | ○烈(열) |
34 | - | 圭(규)○ | - |
35 | - | 鍾(종)○ | - |
남원 양씨(南原 梁氏) 병부공파(兵部公派), 문양공파(文襄公派)
世 | 항렬 | |
28 | ○환(煥) | |
29 | 재(在)○ | |
30 | ○석(錫) | |
31 | 승(承)○ | 태(泰)○ |
32 | ○모(模) | ○식(植) |
33 | 희(熙)○ | 헌(憲)○ |
34 | ○규(奎) | ○중(重) |
35 | 현(鉉)○ | 련(鍊)○ |
36 | ○순(淳) | ○원(源) |
37 | 수(秀)○ | 병(秉)○ |
38 | ○섭(燮) | ○경(慶) |
39 | 기(基)○ | ○배(培) |
40 | ○용(鎔) | ○용(鏞) |
41 | 한(漢)○ | 연(淵)○ |
42 | ○근(根) | ○상(相) |
43 | 덕(悳)○ | 훈(薰)○ |
44 | ○선(善) | ○세(世) |
45 | 진(鎭)○ | ○전(銓) |
46 | ○택(澤) | ○영(永) |
47 | 근(槿)○ | 빈(彬)○ |
48 | ○영(榮) | ○용(容) |
49 | 의(義)○ | 원(遠)○ |
50 | ○호(鎬) | ○석(奭) |
51 | 해(海)○ | 호(浩)○ |
52 | ○권(權) | ○락(樂) |
53 | 지(志)○ | 광(光)○ |
54 | ○주(周) | ○희(喜) |
55 | 상(商)○ | 균(鈞)○ |
56 | ○하(河) | ○제(濟) |
57 | 동(東)○ | 화(和)○ |
58 | ○렬(烈) | ○혁(赫) |
59 | 효(孝)○ | 정(廷)○ |
남원 양씨(南原 梁氏) 대방군파(帶方郡派)
世 | 항렬 | |||
19 | 환(煥) | |||
20 | 재(在) | |||
21 | 석(錫) | |||
22 | 영(泳) | 호(浩) | 승(承) | 태(泰) |
23 | 동(東) | 상(相) | 모(模) | 식(植) |
24 | 병(炳) | 희(熙) | 헌(憲) | |
25 | 수(壽) | 규(圭) | 규(奎) | 중(重) |
26 | 호(鎬) | 현(鉉) | 련(鍊) | |
27 | 순(淳) | 원(源) | ||
28 | 수(秀) | 병(秉) | ||
29 | 섭(燮) | 경(慶) | ||
30 | 기(基) | 배(培) | ||
31 | 용(容) | 용(鏞) | ||
32 | 한(漢) | 영(淵) | ||
33 | 근(根) | 상(相) | ||
34 | 덕(悳) | 동(董) |
남원 양씨(南原 梁氏) 용성군파(龍城君派)
世 | 항렬 | |
25 | 용(容) | 태(泰) |
26 | 기(基) | 목(穆) |
27 | 호(鎬) | 희(熙) |
28 | 해(海) | 규(圭) |
29 | 식(植) | 종(鍾) |
30 | 병(炳) | 순(淳) |
31 | 철(喆) | 근(根) |
32 | 종(鍾) | 열(烈) |
33 | 수(洙) | 기(基) |
34 | 상(相) | 재(栽) |
35 | 환(煥) | 훈(焄) |
36 | 교(教) | 준(埈) |
탐라양씨건승원
양씨종회 총본부
남원양씨 문양공파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그리고 댓글은
저의 블로그 활동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