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 해석을 통한 차량 서스펜션 성능 검토 방법
자동차 산업에서 차량의 주행 성능, 조향 응답성, 승차감은 매우 중요한 품질 요소입니다. 이 모든 것은 서스펜션 시스템의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 성능을 정량적으로 해석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핵심 해석 기법이 바로 K&C 해석(Kinematics and Compliance Analysis) 입니다. K&C 해석은 서스펜션의 운동학적 거동(Kinematics) 과 탄성 반응(Compliance) 을 분석하여, 차량 개발 초기 단계에서 설계 품질을 검토하고 최적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히, K&C 해석은 실차 개발 전 시뮬레이션 기반 성능 예측과 설계 최적화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이번 글을 통해 K&C해석의 개념부터 목적, 방법론, 응용 분야까지 전반적인 내용과 현업에서 어떤식으로 활용되는지 설명하겠습니다.
목차
1. 어떤 부품을 개발할 때 K&C 해석을 하는가?
K&C 해석은 Kinematics(운동학)와 Compliance(컴플라이언스)의 약자로, 차량의 서스펜션 및 조향 시스템의 기하학적 움직임과 탄성 변형 특성을 분석하는 기술입니다. 이 해석을 통해 차량이 다양한 주행 조건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예측하고, 최적의 주행 성능과 승차감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부품들에서 K&C 해석이 활용됩니다:
1-1. 서스펜션 시스템
- 프론트 및 리어 서스펜션 구성 요소(부시, 쇽업소버, 스프링 등)
- 어퍼암(Upper Arm), 로어암(Lower Arm): 서스펜션의 상하 운동을 지지하고, 타이어와 차체 간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 토우 링크(Toe Link), 캠버 링크(Camber Link): 휠 얼라인먼트를 조절하여 조향 응답성과 접지력을 유지합니다.
1-2. 스티어링 시스템 부품
- 스티어링 랙, 타이로드: 조향 입력을 휠로 전달하는 구성 요소로, 조향 시의 휠 이동 패턴 분석에 필수적입니다.
1-3. 서브프레임 및 부싱 시스템
- 부품 간 연결의 유연성을 조절하는 부싱의 방향 및 강성 설정은 Compliance 해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1-4. 휠 어셈블리 및 브레이크 구성품
- 너클(Knuckle), 허브, 베어링, 캘리퍼 등은 서스펜션과 브레이크 시스템의 중간 매개체로서 해석 정밀도에 영향을 줍니다.
이러한 부품들은 모두 휠의 움직임, 조향 응답, 차체의 롤 및 피치 거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개발 초기단계부터 K&C 해석을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예측하고 설계 보완이 필요합니다.
2. K&C 해석의 목적
K&C 해석은 단순히 데이터를 확인하는 수준이 아니라, 차량의 주행 안정성과 승차감에 결정적인 설계 판단 기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2-1. 기하학적 해석 목적 (Kinematics)
- 서스펜션의 상하 변위 또는 조향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휠 정렬 변화(캠버, 토우, 캐스터, KPI 등)를 분석합니다.
- 롤 센터(Roll Center) 이동이나 안티-다이브/안티-스쿼트 기하학 등의 차량 동역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2. 유연 거동 해석 목적 (Compliance)
- 하중에 대한 변형량(Compliance) 을 측정함으로써, 조향 안정성, 승차감, 직진성에 대한 예측이 가능합니다.
- 방향별 유연성(X, Y, Z축)과 회전 강성(모멘트 축)에 대한 반응을 평가합니다.
2-3. 설계 검증 및 개발 효율성 향상
- 실차 제작 전에 시뮬레이션 기반으로 초기 문제점 사전 파악 및 오류를 사전 제거할 수 있어 개발 비용과 시간 절감이 가능합니다.
- 차량 성능 예측: 설계 단계에서 차량의 주행 성능을 예측하여 개발 시간과 비용 절감
- 부품 최적화: 각 구성 요소의 설계 변수를 최적화하여 목표 성능 달성
- 차량 동특성 이해: 차량의 동적 거동 특성을 이해하여 안정성 및 조종성 향상
- 벤치마킹: 경쟁 차량과의 성능 비교를 통한 개선점 도출
- 가상 시험: 실제 프로토타입 제작 전 가상 환경에서 성능 검증
3. K&C 해석의 기반이 되는 공학적 이론 및 원리
K&C 해석은 복합적인 공학 이론이 기반이 되는 고급 분석 기법입니다. 주요 기반 이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3-1. 운동학(Kinematics)
- 물체 간의 상대적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을 분석하는 역학 이론으로, 링크 시스템의 상대운동을 해석합니다.
- 다물체 동역학(Multibody Dynamics): 여러 강체와 조인트로 구성된 시스템의 운동을 분석하는 이론
- 기구학(Mechanism Kinematics): 링크와 조인트의 기하학적 관계를 통해 움직임을 분석
- 좌표변환(Coordinate Transformation): 3차원 공간에서의 위치, 속도, 가속도 변환 이론
- 변위 해석(Displacement Analysis): 서스펜션의 움직임에 따른 휠의 위치 변화 계산
- 휠 얼라인먼트 변화율
- 롤 센터 높이(Roll Center Height): 여기서 t는 트레드 폭, θ_IC는 순간 회전 중심의 각도
3-2.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 외부 하중에 대해 시스템이 변형되거나 평형을 이루는 메커니즘을 해석합니다.
- 선형 탄성론(Linear Elasticity): 후크의 법칙을 기반으로 한 변형 해석
- 강성 행렬(Stiffness Matrix): 구조물의 강성 특성을 행렬 형태로 표현
-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복잡한 구조물의 변형 해석을 위한 수치해석 방법
- 부시 모델링(Bush Modeling): 고무 부시의 비선형 특성을 모델링하는 이론
- Compliance 해석 관계식
여기서 δ는 변위 벡터, C는 Compliance Matrix, F는 외력 벡터입니다.
3-3. 강체(Rigid) 및 연성체(Flexible Body) 해석
- 서스펜션의 금속 부품은 강체로, 부싱 및 마운트 등은 연성체로 모델링하여 종합적인 거동을 예측합니다.
- 하이브리드 FEM + MBD 기법이 적용되며, 대표 해석 프로그램은 MSC Adams, RecurDyn, Abaqus 등이 있습니다.
3-4. 대표 공식
4. K&C 해석을 통해 어떤 것을 체크할 수 있는가?
K&C 해석은 단순히 설계 형상을 확인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차량의 움직임과 반응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항목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4-1. 캠버 변화량 (Camber Gain)
- 서스펜션이 압축 또는 확장될 때 휠의 캠버 각도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합니다.
- 예: 차량이 코너링 시 외측 타이어의 접지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4-2. 토우 변화량 (Toe Change)
- 조향 또는 상하 스트로크에 따른 토우 각 변화는 고속 직진성과 조향 응답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4-3. 휠 트래블에 따른 롤 센터 위치 변화
- 차량의 롤링 시 차체와 휠의 상대적 중심 위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판단합니다.
4-4. Compliance 항목
- 외력 (제동력, 횡력, 종력) 작용 시 휠의 위치 변위 또는 회전각 변화를 측정합니다.
- 각 하중 방향별 (Fx, Fy, Fz, Mx, My, Mz)에 대한 반응을 수치화할 수 있습니다.
- 킹핀 오프셋, 캐스터 각, KPI(King Pin Inclination)
- 조향 시 휠 이동량 (Bump Steer)
- 측방 및 종방향 강성
- 조향 반응성 (Steering Compliance)
이러한 항목은 모두 차량의 핸들링과 승차감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5. K&C 해석은 어떤 방법으로 검토하는가?
K&C 해석은 실험실 기반 테스트 장비 또는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MBD(Multi-Body Dynamics) 모델링을 통해 진행됩니다.
5-1. 실험적 방법(Experimental Method)
- 실제 샘플을 K&C 시험기기에 장착하여 포스&디스플레이스먼트 센서를 활용해 데이터를 수집.
- 6자유도(6-DOF) Actuator를 활용한 K&C 측정 장비에서 차량 또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테스트합니다.
- 실측 결과를 통해 서스펜션 조립상태와 성능을 직접 검증할 수 있습니다.
5-2. 해석적 방법(Analytical Method)
- 다물체 동역학 시뮬레이션(MBD)
- 유한요소해석(FEA)
- 하이브리드 시뮬레이션(MBD + FEA)서스펜션 CAD 모델과 유한요소모델(FEM)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수행.
- 대표적으로 MSC Adams, Abaqus, CarSim, RecurDyn 등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CAD 기반 모델에 관절 조건과 하중 조건을 입력하여 해석합니다.
- 다양한 설계 변경 시나리오를 빠르게 검토할 수 있어 설계 최적화에 유리합니다.
5-3. 테스트 시스템
K&C 테스트는 특수 설계된 테스트 벤치에서 수행됩니다. 주요 시스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적 K&C 시스템
- 차체 클램프: 차량 본체를 고정
- 입력 어셈블리: 휠에 정밀한 운동 또는 하중 입력
- 휠 모션 센서(WMS): 휠의 위치와 각도 측정
- 제어 및 분석 시스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동적 K&C 시스템(DK&C):
- 정적 K&C 시스템의 모든 기능 포함
- 동적 입력 장치: 실제 주행 조건 시뮬레이션
- 고속 데이터 수집 시스템: 과도 응답 캡처
- CGR(Center of Gravity Restraint) 시스템: 차량 무게중심 제어
6. K&C 해석에서 중요하게 확인해야 할 체크포인트는?
6-1. 조향 및 서스펜션 정렬 변화량
- 범프/리바운드 시 캠버 & 토우 변화 그래프의 선형성: 특정 스트로크 또는 조향 각도 범위에서 변화량이 급변하거나 비선형적인 경우, 실제 차량 거동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 캠버 각도 유지 능력: 접지력 유지를 위한 설계 요소
- 롤 특성: 롤 센터 높이 및 위치 변화, 롤 스티어 특성(언더스티어/오버스티어 경향), 롤 캠버 특성
- 측방강성/종방강성 균형: 코너링 시 응답 특성 확보
- 아커만 각도 오차, 롤센터 및 킹핀 점 위치: 조향 감도 및 롤링 특성 제어 가능성
6-2. Compliance 값의 비대칭 여부
- 횡방향 특성: 횡력에 대한 토 변화(컴플라이언스 스티어), 횡력에 대한 캠버 변화, 롤 강성 및 롤 기울기
- 종방향 특성: 구동/제동력에 대한 앤티-스쿼트/앤티-다이브, 종방향 강성, 제동 시 토 변화
- 수직방향 특성: 라이드 레이트(Ride Rate), 휠 레이트(Wheel Rate), 댐핑 특성
- 동일한 방향의 하중에 대해 좌우 휠의 반응이 다를 경우, 조향 편차나 진동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 직진 안정성 확보 가능 여부
6-3. 부싱 위치 및 강성 설정의 적정성
- Compliance 결과는 부싱 설계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초기 모델에서부터 올바른 설계값이 적용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6-4. 조립 위치 정합
- CAE 모델의 관절 설정이 실제 조립 위치와 일치하는지 검토하여 오류를 방지합니다.
7. K&C 해석으로 부품 개발에 어떤 부분을 반영할 수 있는가?
K&C 해석 결과는 단순 분석 자료가 아닌, 부품 설계 방향성의 핵심 기준이 됩니다.
7-1. 서스펜션 하드포인트 및 부품 형상 최적화
- 직진 안정성이나 토 변화 특성을 분석 후 필요시 하드포인트(마운티 위치)를 조정하여 변화율을 개선
- 부품 형상 최적화를 통해 필요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무게 절감 가능
- 서스펜션 암 길이 및 각도 조정: 캠버 및 토우 변화량이 허용치 이상일 경우, 암의 길이나 장착 각도를 조정하여 제어할 수 있습니다.
- 스테빌라이저 바 설계시 롤 강성은 유지하면서 승차감 구현가능한 롤 특성 및 휠 레이트 분석
7-2. 부싱 위치 변경 및 강성 최적화
- 부싱의 위치, 경사 각, 내부 구조 등을 조절하여 Compliance 결과를 안정화시킬 수 있습니다.
7-3. 조향 메커니즘
- 조향 특성 개선 목적
- 언더스티어/오버스티어 특성 조절: 조향 반응성을 제어하기 위한 휠 정렬 세팅을 해석 기반으로 조정합니다.
7-4. 패키징 제약 대응
- 엔진룸, 배터리, 모터 등의 간섭으로 인해 서스펜션 구조가 제약될 경우, K&C 해석으로 최적 구조를 도출합니다.
예를 들어, 하중에 따라 토우인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발견된다면, 토우 링크의 위치나 부싱 강성을 조정하여 이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8. K&C 해석의 장점
8-1. 장점
- 정밀한 성능 예측
- 설계 초기 단계에서 차량의 운동 특성을 정량적으로 예측 가능
- 설계 변경 효과 예측 및 성능 향상 방향 제시 가능
-조향/서스펜션 거동을 정량적으로 수치화 가능
- 차량의 종합적인 주행 성능 향상에 기여 - 개발 시간 및 비용 절감
- 물리 시험에 비해 빠른 피드백과 반복 설계 가능
- 실차 개발 이전에 구조적 문제를 사전에 발견 가능 - 통합적 시스템 이해
- 개별 부품이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파악
- 상충되는 요구사항 간의 최적 밸런스 도출
- 타 부품과의 연계성을 동시에 고려한 최적 설계, 종합적 분석 - 벤치마킹 용이성
- 경쟁 차량과의 객관적인 성능 비교
- 경쟁 차량의 우수한 특성 분석 및 적용
- 시장 포지셔닝을 위한 데이터 확보
8-2. 한계점
- 모델링의 정확성 문제
- 초기 모델링 시 실제 조립 오차 또는 소재 특성이 반영되지 않으면 결과 신뢰도 저하
- 부싱 또는 연성 요소의 비선형 특성은 모델링 난이도가 높음
- 실제 도로 환경의 모든 동적 특성은 반영 불가능
- 고속 주행 시 비선형 동역학 거동은 K&C 해석만으로는 예측이 어려움 (Full Vehicle Dynamics 필요) - 계산 비용 및 시간
- 시험장비 및 CAE 환경 구축 비용이 고가
- 복잡한 구성 요소 모델링의 시간 소요
- 다양한 조건에서의 반복 해석 필요 - 전문 인력 및 장비 요구
- 설계자 경험에 따른 해석 결과 해석의 편차 가능성으로 경험과 노하우 필요
- 고도의 전문 지식 필요
- 고정밀 해석을 위한 높은 컴퓨팅 파워와 고가의 테스트 장비 요구 - 운전자 요소 반영 한계
- 실제 운전자의 주관적 느낌 예측 제한
- 다양한 운전 스타일에 따른 차이 반영 어려움
- 감성적 요소와 객관적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 설정 어려움
이러한 장점과 한계점을 인식하고 적절히 대응함으로써 K&C 해석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관련 논문 소개
K&C 해석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해 다음과 같은 관련 논문을 소개합니다
서스펜션 K&C 및 쇽업소버 최적화 기법 연구
K&C 시험에 의한 함수형 현가장치 모델링 및 차량동역학 해석
링크: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528988
이 논문들은 K&C 해석의 최신 연구 동향과 응용 사례를 담고 있으며, 더 깊이 있는 학습을 원하는 분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마무리
K&C 해석은 단순한 정적 해석이 아닌, 차량의 기본 운동 특성과 부품 간 상호작용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설계자, 해석자, 시험자 간의 공통 언어로 활용되며, 부품의 성능뿐 아니라 전체 차량 개발의 품질을 결정짓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자동차 성능의 핵심을 결정짓는 K&C 해석에 대한 이해는 자동차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필수적입니다. 이 글이 K&C 해석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통찰력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그리고 댓글은
저의 블로그 활동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