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통 자료158

[고사성어] 주마간산 뜻과 유래 [고사성어] 주마간산 뜻과 유래역사 속 흥미로운 이야기와 교훈이 담긴 고사성어는 현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주마간산의 뜻과 유래에 대해 정리했습니다.목차   주마간산뜻말을 타고 달리면서 산을 바라본다바빠서 자세히 살펴보지 않고 대강 보고 지나감사물을 대충 훓어봄 (☞수박 겉핥기) 간과 쓸개를 서로에게 내보인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밀히 사귀는 것을 이른다.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을 의미하는 관포지교(管鮑之交)도 뜻이 같다. 유래중국 중당기의 시인 맹교가 지은 '등과후'에서 유래했다. 맹교는 관직에 나가지 않고 시를 지으며 청렴하게 살던 중 어머니 뜻에 못이겨 41살에 과거 응시했다. 하지만 낙방하고 수모와 냉대만 받다 46살에 겨우 급제했.. 2024. 5. 8.
진주강씨 박사공파 항렬표 진주강씨 박사공파진주강씨 박사공파는 대종파로 진주 강씨 전체 중 80%를 차지합니다. 2021년 기준 1,056,000명입니다. 진주강씨 박사공파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진주강씨 박사공파 역사 진주 강씨가는 박사공파(博士公派)·소감공파(少監公派)·시중공파(侍中公派)·은열공파(殷烈公派)·인헌공파(仁憲公派) 등 크게 5개의 파로 뻗어나가 있으며, 이 중 박사공파가 대종파(大宗派)로 전체 강씨 인구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박사공파는 진주 강씨 21대 손인 박사공 강계용(姜啓庸)을 파시조로 하고 있다. 그는 고려 때 국자박사(國子博士: 現 국립대학 교수)를 지냈고 통신사의 서장관으로 일본을 다녀와 진산부원군(晋山府院君)에 봉해졌다. 한편 박사공파는 강계용의 손자인 강사첨(姜.. 2024. 5. 7.
[고사성어] 토사구팽 뜻과 유래 [고사성어] 토사구팽 뜻과 유래역사 속 흥미로운 이야기와 교훈이 담긴 고사성어는 현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토사구팽의 뜻과 유래에 대해 정리했습니다.목차   토사구팽뜻교활한(또는 재빠른) 토끼가 죽으면 (토끼를 물고 온) 좋은 사냥개를 삶는다필요할 때 요긴하게 사용하다가 필요가 없어지면 가차없이 바로 버린다는 뜻  유래교토사양구팽(狡兎死良狗烹) 또는 교토사주구팽(狡兎死走狗烹)에서 유래춘추시대 월나라의 군사 범려의 말 《사기》 〈월왕 구천 세가〉范蠡遂去,自齊遺大夫種書曰: 「蜚鳥盡 良弓藏狡兔死走狗烹.」 범려가 마침내 월왕을 떠나 제나라에서 대부 문종에게 서찰을 보냈다. 새 사냥이 끝나면 좋은 활은 창고에 묻히게 되고, 날쌘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는 삶.. 2024. 5. 7.
[고사성어] 마이동풍 뜻과 유래 [고사성어] 마이동풍 뜻과 유래역사 속 흥미로운 이야기와 교훈이 담긴 고사성어는 현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마이동풍의 뜻과 유래에 대해 정리했습니다.목차   마이동풍뜻말 귀에 동쪽 바람 동풍은 봄바람을 의미하며, 따뜻하고 부드러운 바람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말의 귀는 바람 소리를 듣지 못하기 때문에, 마이동풍은 아무리 좋은 말을 해도 듣지 않고 지나쳐 버리는 모습을 비유하는 말이 되었다. 아무 의미 없는 소리를 뜻하는 말이었으나, 남의 말을 아무 내용없이 무시하고 흘려버리는 것을 이르는 말이 되었다. 소 귀에 경 읽기=우이독경(牛耳讀經)과 소를 마주 대하고 거문고를 탄다=대우탄금(對牛彈琴)이 있다.  유래이태백이 자신의 친구였던 왕십이에게 보낸 .. 2024. 5. 7.
[고사성어] 조삼모사 뜻과 유래 [고사성어] 조삼모사 뜻과 유래역사 속 흥미로운 이야기와 교훈이 담긴 고사성어는 현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조삼모사의 뜻과 유래에 대해 정리했습니다.목차  조삼모사뜻아침에 3개, 저녁에 4개.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고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 아는 어리석음을 가리킨다  유래《열자》 황제편, 《장자》 제물론편 송나라에 '저공'이라는 사람이 원숭이를 길렀다. 그런데 원숭이를 너무 많이 기르는 통에 먹이가 부족해졌다. 어쩌면 원숭이를 시장에 내다 팔거나 다른 사람에게 줘야 할지도 모르는 처지에까지 이르렀다. 그렇지만, 정들여서 키운 원숭이들인데 시장에 내다 팔 수도, 다른 사람에게 줄 수도 없는 노릇이기에 저공은 고민고민한 끝에 원숭이들에게 줄 먹이량을 줄.. 2024. 5. 6.
[고사성어] 간담상조 뜻과 유래 [고사성어] 간담상조 뜻과 유래역사 속 흥미로운 이야기와 교훈이 담긴 고사성어는 현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간담상조의 뜻과 유래에 대해 정리했습니다.목차  간담상조뜻간과 쓸개를 서로 비추다.진심으로 서로를 대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친구 사이의 진정한 우정을 비유하는 말이다. 간과 쓸개를 서로에게 내보인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밀히 사귀는 것을 이른다.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을 의미하는 관포지교(管鮑之交)도 뜻이 같다.  유래호태초(胡太初) 《주렴서론(晝簾緖論) 〈요채(僚寀)〉》《한창려집(韓昌黎集)》〈유자후묘지명(柳子厚墓誌銘)〉당나라 헌종 때의 일이다. 유종원은 유주를 관할하는 자사로 좌천된 뒤 내직으로 복직하지 못하고 힘든 시간을 보내고.. 2024. 5. 5.
[고사성어] 각주구검 뜻과 유래 [고사성어] 각주구검 뜻과 유래역사 속 흥미로운 이야기와 교훈이 담긴 고사성어는 현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각주구검의 뜻과 유래에 대해 정리했습니다.목차 각주구검뜻배에 흠집을 새겨 칼을 구한다.융통성이 없고 자기 고집에 사로잡힌 사람의 어리석음을 비유한 말 흔히 융통성 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거나 시대가 변했는데도 오로지 옛날 것만 고집하는 사람을 빗대어 쓰이기도 한다. '수주대토'와 속뜻이 비슷하다. 배는 시대의 흐름을, 검은 제도를 상징하여 시대는 변하는데 제도 또는 법은 흐름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유래≪여씨춘추≫의 중국 초나라 사람이 배를 타고 가다 칼이 물에 빠지자 뱃전에 칼자국을 내어 .. 2024. 5. 4.
교하 노씨 항렬표 및 역사 알아보기 교하 노씨 항렬표 및 역사 알아보기교하 노씨(交河盧氏)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6만 명으로 본관은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입니다. 교하 노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교하 노씨(交河盧氏) 역사시조 노오(盧塢)는 당나라에서 한림원 한림학사를 역임하고 신라로 건너온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둘째 아들로서, 교하백(交河伯)에 봉해졌다고 한다.신라 말기의 노강필(盧康弼)이 기계(杞溪)에 정착하면서 본관을 장산(章山)으로 옮겼다가,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고려 창업에 공을 세우고, 통합삼한개국공신(統合三韓開國功臣)으로 태자태사(太子太師)에 올랐으며 선성부원군(宣城府院君)에 봉해져서 교하로 복관하였다고 한다. 노강필을 일세조로 한다. 교하 노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2명.. 2024. 4. 19.
광주 노씨 항렬표 및 역사 알아보기 광주 노씨 항렬표 및 역사 알아보기광주 노씨(光州 盧氏)는 광산 노씨(光山 盧氏)로도 불리며, 2015년 통계 기준 약 10만 명으로 본관은 광주광역시입니다. 광주 노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광주 노씨(光州 盧氏) 역사중국 유주 범양(范陽) 출신으로 당나라 한림학사를 지낸 노수(盧穗)가 당나라 희종(僖宗)(재위 873~888) 5년인 877년 황소의 난을 피하여 아들 9형제를 데리고 신라(헌강왕 3년)로 이주하여 평안도 정주(定州) 능리촌(菱里村)에 정착하였다가 이후 신라 효공왕(재위 897~912)때 평안도 룡강(龍岡)으로 옮겨 뿌리를 내렸다고 한다.그의 아들이 광산백(光山伯)에 봉해져 후손들이 그를 득관조로 하고 광산(현재의 광주광역시)을 관향으로 하였다. 그 .. 2024. 4. 19.
전주 류씨 항렬표 및 역사 알아보기 전주 류씨 항렬표 및 역사 알아보기전주 류씨(全州 柳氏)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7만 명으로 본관은 전라북도 전주시입니다. 전주 류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전주 류씨(全州 柳氏) 역사전주 류씨에 관한 기록으로 백제 무왕 때 일본(日本) 성덕태자(聖德太子)의 요청으로 사천왕사(四天王寺)를 건축(建築)하러 백제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류중광(柳重光)은 본관이 전주(全州)이며, 그 후손은 지금도 사천왕사를 보수(補修)해오면서 사천왕사 인근(隣近)에 살고 있다. 일본의 곤고구미(金剛組)는 578년(백제 위덕왕 34년) 백제인 류중광(柳重光)이 설립하여 2006년까지 존재하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기업이었다. 《고려사》에 따르면 전주(全州) 승화현(承化縣) 출신의 류방헌(柳.. 2024. 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