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통 자료158

여흥 민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여흥 민씨(驪興 閔氏)여흥 민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7만 명으로 본관은 경기도 여주시 여흥동입니다. 여흥 민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여흥 민씨(驪興 閔氏) 역사역사시조 민칭도(閔稱道)는 고려 상의봉어(尙衣奉御)를 지냈다.4세손 민영모(閔令謨)가 1138년(고려 인종 16년)에 과거에 급제하여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판이부사(判吏部事)·태자태사(太子太師)에 올랐다. 민영모 이후 고위 관료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면서 고려사 충선왕조에 왕실과 혼인이 가능한 재상지종 가문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다.장남 민식(閔湜)는 1167년(의종 21) 과거에 급제하여 형부상서에 이르렀고 그의 증손 민지(閔漬)가 1266년(원종 7)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1325년(충숙왕.. 2023. 11. 16.
진주 하씨(진양 하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진주 하씨 (晋州 河氏) / 진양 하씨 (晋陽 河氏)진주 하씨(진양 하씨) 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27만 명으로 본관은 경상남도 진주시입니다. 진주 하씨(진양 하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진주 하씨 (晋州 河氏) / 진양 하씨 (晋陽 河氏) 역사역사진주 하씨는 백제시대 부터 존속한 성씨로 같은 뿌리에 연원을 둔 시랑공파와 사직공파 이렇게 두 계파가 있다. 하지만 정확한 연원을 알 수 없어 각 계파는 시조를 달리하고 있다.통일신라말과 고려개국 당시 부터 진주(진양)지방의 토착세력인 호족이었다. 진주 강씨, 진주 정씨, 진주 소씨와 더불어 진주의 유력한 씨족이였다고 한다.진주 하씨는 고려 초기 부터 관직에 진출해 오다가 고려 말에는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신진사대.. 2023. 11. 16.
연안 이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연안 이씨(延安 李氏) 연안 이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6만 명으로 본관은 황해도 연안군입니다. 연안 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연안 이씨(延安 李氏)  역사시조 이무(李茂)는 당(唐)나라 고종(高宗)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내다가 660년(신라 태종무열왕 7) 나당(羅唐) 연합군 대총관 소정방(蘇定方)의 부장(副將)이 되어 신라에 들어와 백제를 평정(平定)하는데 공(功)을 세워 연안후(延安侯)에 봉해졌고, 그 후 신라에 귀화하여 살게 되었다고 한다. 후손들이 시조가 식읍(食邑)으로 하사(下賜)받은 연안(延安)을 본관(本貫)으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상계(上系)가 실전(失傳)되고 문헌이 없어 선계를 고증할 수 없다.분파정확한 계대(繼代)를 알지 못하여.. 2023. 11. 15.
전의 이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전의 이씨(全義 李氏) 전의 이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6만 명으로 본관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입니다. 전의 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전의 이씨(全義 李氏) 역사 전의 이씨 시조인 이도(李棹)의 초기 이름은 치(齒)이고, 웅진(공주) 금강 유역에서 선박 수백 척을 보유하고 일본과 중국을 비롯하여 동남아와 해상무역을 하는 대세력가의 호족이었으며 전의성의 성주였다.고려 태조 왕건이 견훤을 정벌하고자 남하하여 금강에 도착했을 때, 강물이 범람하자 태조를 도와 무사히 강을 건너게 했다. 그리고 백제 금성(나주)에 은밀히 들어가 금성(나주) 호족세력들을 고려군에 동조하도록 포섭하였다. 그리고 금성 공격 전술 해상계획을 수립·공격하여 금성(나주)을 쉽게 점령 할 수가.. 2023. 11. 14.
현풍 곽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현풍 곽씨(玄風 郭氏)현풍 곽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7만 명으로 본관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입니다. 현풍 곽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현풍 곽씨(玄風 郭氏) 역사시조 곽경(郭鏡)은 송나라 관서(關西) 지방의 홍농인(弘農人)으로 북송 휘종 정화 7년에 대합관 곽여겸의 아들로 태어났다고 한다. 그 후 고려 인종 11년에 한림학사(翰林學士) 7명과 함께 고려에 귀화하였다고 전해지며, 1138년(고려 인종 16년) 과거에 급제하여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를 지냈고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에 올랐으며, 포산군(苞山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중시조 곽기정(郭基正)은 고려조의 전리의랑(典理議郞)이었다고 한다. 증손인 곽원진(郭元振)이 1310년(충선왕 2) .. 2023. 11. 8.
정선 전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정선 전씨(旌善 全氏)정선 전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7만 명으로 본관은 강원도 정선군입니다. 정선 전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정선 전씨(旌善 全氏) 역사  정선 전씨(旌善全氏)의 도시조(都始祖)는 전섭(全聶)이다. 기원전 18년 고구려 동명왕(東明王)의 셋째 아들인 온조(溫祚)가 백제를 건국할 때 마려(馬藜), 오간(烏干), 한세기(韓世奇), 곽충(郭忠), 범창(笵昌), 조성(趙成) 등 9사람과 함께 공을 세워 백제 십제공신(十濟功臣)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건국 초에 온조의 형 비류는 인천(仁川)에 가서 나라를 세웠으나 실패하고 유민들이 많이 귀속함으로 국호를 다시 백제국(百濟國)이라 개칭하고 국도(國都)를 광주(廣州) 남한산성(南漢山城.. 2023. 11. 2.
족보 용어 정리 족보 용어 정리족보나 시조, 조상들의 기록을 보다보면 생소한 한자단어가 많이 나옵니다. 족보에 주로 나오는 용어들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목차  ⊙ 시조, 비조, 중시조  시조(始祖)란 제일 처음의 선조(先祖)로서 첫 번째 조상이며, 비조(鼻祖)란 시조 이전의 선계조상(先系祖上) 중 가장 윗사람을 일컫는다. 중시조(中始祖)는 시조 이하에 쇠퇴한 가문을 일으켜 세운 조상으로, 모든 종중(宗中)의 공론에 따라 정하여 추존한 사람이다.  ⊙ 선계와 세계  선계(先系)란 시조 이전 또는 중시조 이전의 조상을 일컫는 말이며, 세계(世系)는 대대로 이어가는 계통의 차례를 말한다.  ⊙ 세와 대  세(世)는 대체로 씨족에서 많이 사용되며, 시조로부터 혈통의 흐름에 따라 차례로 탄생하는 인물에 대한 순번을 정하는 단.. 2023. 11. 2.
장수 황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장수 황씨(長水 黃氏)창원 황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7만 명이며 관향은 전락북도 장수군입니다. 장수 황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장수 황씨(長水 黃氏) 역사 시조(始祖) 황경(黃瓊)은 통일신라 말기 시중(侍中)을 역임했다. 장수 황씨세보(長水黃氏世譜)에 따르면 '시조는 경(瓊)이며 신라(新羅)에서 벼슬하여 지위가 시중(侍中)에 이르렀고, 배(配)는 경주 김씨(慶州金氏)니 경순왕(敬順王) 부(溥)의 딸이다'라고 되어 있다.후일 대제학(大提學)과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조인영(趙寅永)도 1831년 운계(雲溪) 황신구(黃信龜)의 비문에 '신라 상주(尙主 = 駙馬) 경(瓊)이 비로소 득성(得姓)하였다'라 하여 이를 뒷받침한다.9세손 황공유(黃公有)는 고려 명종.. 2023. 11. 1.
평해 황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평해 황씨 (昌原 黃氏)평해 황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7만 명이며 관향은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입니다. 황씨 족보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평해 황씨 (昌原 黃氏) 역사 평해 황씨(平海 黃氏)는 고려 때 금오장군(金吾將軍) 태자검교(太子檢校)를 역임한 황온인(黃溫仁)을 1세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한때 기성 황씨(箕城 黃氏)로 불리었으나, 후에 기성(箕城)이 평해(平海)로 바뀌면서 평해 황씨(平海 黃氏)로 불린다고려에서 삼중대광 1명, 문하시중 2명으로 재상을 3명 배출하였다. 조선시대 급제자는 문과 22명, 무과 급제자 19명, 사마시 47명, 역과 2명을 배출하였다.분파검교공파(檢校公派) : 황진(黃璡)문절공파(文節公派) : 황서(黃瑞)충경공파(忠敬公派).. 2023. 11. 1.
강릉 김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강릉 김씨(江陵 金氏)강릉 김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8만 명으로 관향은 강원도 강릉시입니다. 강릉 김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강릉 김씨(江陵 金氏) 역사 강릉 김씨 시조 김주원(金周元)은 김알지(金閼智)의 21세손으로 시중(侍中) 겸 병부령(兵部令)를 지냈다. 아버지는 각간(角干)을 지낸 김유정(金惟靖)이다. 족보상으로는 태종 무열왕의 셋째 아들인 김문왕(金文王)의 5세손이라고 한다. 785년(선덕여왕 6) 선덕왕이 후사가 없이 죽자 군신회의에서 그를 왕으로 추대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경주의 알천 북쪽에 살던 곳에 갑자기 큰 비가 내려 알천을 건널 수가 없어 입궐을 못하게 되었고 화백회의에 참석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러자 이는 하늘의 뜻이라 하여 즉위를 .. 2023.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