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 자료165

파평 윤씨 항렬표 [소정공파, 판도공파] 파평 윤씨파평 윤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인구수 770,932명으로 국내 9위인 성씨입니다.  파평윤씨 대종회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소정공파, 판도공파의 항렬표를 참조하여 작성했습니다. 목차   파평 윤씨 (坡平 尹氏) 역사 파평 윤씨의 시조는 윤신달(尹莘達)이며 중시조는 윤관입니다.윤신달은 태조 왕건을 도와 후삼국을 통일하고 고려 창업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올랐습니다. 시조(始祖) 윤신달(尹莘達)의 탄생과 관련한 전설이 있습니다.경기도(京畿道) 파평(坡平)(파주)에 있는 파평산(坡平山) 기슭에 용연(龍淵)이라는 연못이 있었다. 어느 날이 용연에 난데없이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게 서리면서 천둥과 벼락이 쳤다. 마을 사람들은 놀라서 향불을 피우고 기도를 올린지 사흘째 되는 .. 2023. 6. 9.
함안 조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함안 조씨함안 조씨(趙氏)의 역사와 표준 항렬표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동음인 창녕 조씨(曺氏)와 별개의 성씨입니다. 목차   함안 조씨(咸安 趙氏) 역사 함안 조씨의 시조 조정(趙鼎)은 당나라에서 살다가 신라말 고려초기에 동생 조부(趙釜)와 조당(趙唐)등 가솔을 이끌고 한반도로 건너왔다.  고려가 들어선 이후 고려군이 되어 931년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고창성(古昌城)에서 견훤을 대파하고 동경주현 대부분을 항복받았으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벽상개국공신으로 대장군이 되었고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삼고 함안을 본관으로 하였다. 이후 간송(澗松) 조임도(趙任道)[1585 ~1664]의 『간송집(澗松集)』권1의 「간송 선생 세계도(澗松先生世系圖)」와 대소헌(大笑軒)조종도(趙宗道)[1537~1597]의 『대소.. 2023. 5. 26.
동래 정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동래 정씨의 역사와 표준 항렬표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동음인 정씨(丁氏, 程氏)와 별개의 성씨입니다. 목차  동래 정씨(東萊 鄭氏) 역사 동래 정씨는 본래 신라 6부의 진지촌장(珍支村長) 지백호(智白虎)의 후손이다. 동래 정씨의 시조 정회문(鄭繪文)은 동래군의 향직 안일호장(安逸戶長)이었으나 문헌이 실전되어 연대와 자세한 사적 및 전후 세계를 상고할 수는 없다. 그래서 후손들은 그를 시조로 하고, 동래군의 보윤호장(甫尹戶長)을 지낸 정지원(鄭之遠)을 중시조 1세로, 본관을 동래로 하여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중시조 3세인 정목(鄭穆)은 고려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정2품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올랐고, 정목(鄭穆)의 네 아들인 정제(鄭濟), 정점(鄭漸), 정택(鄭澤), 정항(鄭沆)이 모두 문과에 급제.. 2023. 5. 26.
대한민국 성씨 및 본관별 인구수 (2015년 통계 기준) 대한민국 성씨 및 본관별 인구수 (2015년 통계 기준)우리나라 국민에 대한 2015년 총조사를 통해 성씨, 본관별 인구수를 확인해서 정리해봤습니다. 목차  200대 본관 별 인구수 (2015년 총조사 통계 기준)1~100위순위본관성씨인구수비율항렬표1김해김(金)4,456,7008.97%○2밀양박(朴)3,103,9426.24%○3전주이(李)2,631,6435.29%○4경주김(金)1,800,8533.62%○5경주이(李)1,391,8672.80%○6진주강(姜)968,1091.95%○7경주최(崔)945,0051.90%○8광산김(金)926,3161.86%○9파평윤(尹)770,9321.55%○10청주한(韓)752,6891.51%○11안동권(權)696,3171.40%○12인동장(張)666,6521.34%○13평산신(.. 2023. 5. 26.
연일 정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연일 정씨 연일 정씨의 역사와 표준 항렬표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동음인 정씨(丁氏, 程氏)와 별개의 성씨입니다. 목차  연일 정씨(延日 鄭氏) 역사  연일 정씨는 신라의 전신인 사로의 육부촌중 취산 진지촌장 지백호(智伯虎)가 서기 32년 봄, 유리왕으로 부터 다른 다섯 촌장들과 함께 사성받을 때 본피부로 개칭되면서 정씨(鄭氏)의 성을 하사 받은 것이 시초가 되며, 그의 원손 정종은이 신라조에서 간관으로 직언을 하다가 인동 약목현에 유배된 후, 후손 정의경이 영일로 이거하여 호장을 지내고 영일현백에 봉해졌으므로 영일정씨로 시적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후의 계대가 실전되고 고증할 문헌이 전하지 않아 고려 인종조에  은청광록대부로 추밀원 지주사를 지낸 정습명(鄭襲明)을 시조로 받드는 지주사공파와, 감무를.. 2023. 5. 19.
진주 정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진주 정씨진주 정씨의 역사와 표준 항렬표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동음인 정씨(丁氏, 程氏)와 별개의 성씨입니다. 목차  진주 정씨(晉州 鄭氏) 역사 진주 정씨의 원류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전하는 신라 6촌 중 자산진지촌(觜山珍支村)의 촌장 지백호(智伯虎)이다. 그러나 그 후 세계(世系)가 실전(失傳)되고 각기 시조를 달리하는 진주 정씨가 여덟 파가 되어 진주8정(晋州八鄭)이라고 한다. 진주 정씨(晉州 鄭氏), 진양 정씨(晉陽 鄭氏)는 경상남도 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동래 정씨 경주 정씨 다음으로 많은 성씨이다. 정예(鄭藝), 정자우(鄭子友), 정장(鄭莊), 정헌(鄭櫶) 등 시조를 달리하는 네 계통이 있다. 8정(鄭)을 편의상 크게 나눠 정예(鄭藝), 정자우(鄭子友), 정장(鄭莊), .. 2023. 5. 19.
경주 정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경주 정씨 경주 정씨의 역사와 표준 항렬표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동음인 정씨(丁氏, 程氏)와 별개의 성씨입니다. 목차  경주 정씨(慶州 鄭氏) 역사 에 따르면 "경주 정씨는 우리나라 성씨의 대종으로서 가장 오랜 유래를 지닌 씨족의 하나로 신라를 구성한 진한국(辰韓國) 사로(斯盧) 6촌의 하나인 자산진지촌(觜山珍支村) 촌장인 지백호공(智伯虎公)를 시조로 받들고 있다."고 하였고, 또 "지백호공이 서기전 117년(원수 6년)[2] 경주 화산(花山)에 강림하여 부족국가이던 사로의 여섯 고을 중 자산진지촌을 다스렸으며, 그 뒤 서기전 69년 3월 초하루 다른 다섯 촌장과 함께 자제들을 거느리고 알천(閼川) 언덕 위에 모여 임금을 세울 것을 논의하다가 나정(蘿井) 곁에서 알에서 태어난 아이인 혁거세(赫居世)를 얻.. 2023. 5. 19.
풍양 조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풍양 조씨풍양 조씨(趙氏)의 역사와 표준 항렬표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동음인 창녕 조씨(曺氏)와 별개의 성씨입니다. 목차 풍양 조씨(豐壤 趙氏) 역사 조맹은 후삼국시대 신라 풍양현에서 태어나, 천마산 기슭 바위동굴에서 난세를 피하고 있었다. 당시 후고구려 군을 이끌고 후백제와 전쟁 중이던 왕건이 전투에서 패하고 도망쳤다. 영해 지방에서야 한숨돌린 왕건은 군사회의를 열었다. 그러자 풍양현에 숨어 사는 '바우도사'의 지혜를 빌리는 것이 어떻겠냐는 의견을 듣고 직접 찾아가 책사로 삼았다고 한다. 마침내 고려가 건국되자 태조 왕건에게 왕명으로 조(趙)라는 성과 맹(孟)이란 이름을 하사받고 삼한개국공신 3등에 이름을 올린다.  남양주시 천마산에는 조맹이 왕건과 만났다고 전해지는 현성암(見聖庵)이라는 유적이 있고,.. 2023. 5. 19.
한양 조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한양 조씨 한양 조씨(趙氏)의 역사와 표준 항렬표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동음인 창녕 조씨(曺氏)와 별개의 성씨입니다. 목차  한양 조씨(漢陽 趙氏) 역사 시조 조지수의 독자 조휘(趙暉, 1232 ~ ?)가 때에 여몽전쟁 중 몽골 제국에 투항하여 이후 아들 조양기(趙良琪), 손자 조림(趙琳), 증손 조소생(趙小生)에 이르기까지 4대에 걸쳐 쌍성총관부의 총관을 세습하였다.  한편 조양기의 둘째 아들이자 조림의 동생 조돈(趙暾, 1308~1380)이 공민왕 때 고려에 귀순하여 쌍성총관부의 수복에 공헌해 멸문을 피했으며 쌍성총관부 멸망 이후 조돈의 장남 조인벽(趙仁璧, 1328~1393) 때에 이르러 조선 건국 이후 한성을 중심으로 세거하였다.   한양 조씨(漢陽 趙氏) 항렬표世대동 항렬천간/지간행렬오행행렬22.. 2023. 5. 19.
창녕 조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창녕 조씨 항렬표창녕 조씨(曺)의 역사와 표준 항렬표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한자 모양이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운 중국의 조씨(曹氏)와 별개의 성씨입니다. 목차  창녕 조씨(昌寧 曺氏) 역사 창녕 조씨는 경상남도 창녕군을 본관으로 하며 시조는 조계룡입니다. 조계룡은 신라 제26대 진평왕의 사위로 알려져 있습니다. 조계룡의 출생에는 전해 내려오는 전설이 있습니다. 『조선 씨족 통보(朝鮮氏族統譜)』에 의하면 조계룡의 어머니는 한림 학사 이광옥의 딸 예향(禮香)이었습니다. 예향은 창녕현 고암촌 출신으로, 병이 생겨 화왕산 용지에 가서 목욕재계하고 기도를 올렸습니다. 기적적으로 그녀의 병은 치유되었고 그녀는 임신했습니다. 어느 날 밤, 그녀는 꿈에서 장부를 보았는데, 그 장부는 그녀의 아들이 용의 아들 옥결(玉玦).. 2023.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