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김씨(慶州 金氏)
우리나라에서 오래된 성씨 중 하나인 경주 김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89만 명으로 우리나라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 입니다. 신라의 수도 월성은 경주의 다른 이름이기 때문에, 경주 김씨는 월성 김씨로도 불리기도 합니다. 경주 김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경주 김씨 역사
경주 김씨의 시조는 신라의 추존왕 김알지(金閼智)이다. '김'(金)이라는 성씨는 그가 제4대 탈해 이사금 시절에 금궤에서 나왔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고려 인종 김부식(金富軾)이 지은 삼국사기(三國史記)의 책에는 신라의 4대임금 탈해왕(脫解王)께서 밤에 들으니 경주 금성 서쪽에 있는 시림(始林)이란 숲사이에서 닭이 우는 소리가 들려 세자 태보(太保)인 호공(弧公)을 시림에 보내어 알아보니 시림의 숲속 나뭇가지에 금궤짝이 달려있고 그 밑에 흰 닭이 울고 있었으므로 호공(弧公)이 돌아와서 왕에게 본대로 아뢰었다. 이에 왕은 사람을 시켜 금궤짝을 가져다 열어보니 그 속에는 사내아이가 들어있는데 용모가 기이하게 잘생겼으므로 왕(王)은 크게 기뻐하며 여러 신하들에게 이르기를 "하늘이 나에게 아들을 점지한 것이 아니겠는가"하고 거두어 길렀다 한다.
그 아기는 자라면서 총명하고 슬기로웠으므로 이름을 알지(閼智)라 부르게 되었고 금궤에서 나왔다하여 성(姓)을 김씨(金氏)라 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시림(始林)을 계림으로 고쳐 부르고 나라 이름도 계림으로 고쳤다고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쓰여있다.
신라 4대 임금 탈해왕(脫解王)이 길일(吉日)을 택하여 알지(閼智)를 태자(太子)로 봉하였으며 신라(新羅) 제 5대왕으로 추대하였으나 끝내 왕위(王位)를 사양하고 파사왕(婆娑王)에게 양보하였고 대보공(大輔公) 벼슬에 올랐다. 대보공 김알지의 칠세손인 미추대(味鄒代)에 와서 신라왕위(新羅王位)에 오르게 되었다. 이 분이 신라 13대 미추왕(味鄒王)으로 신라김씨의 초대왕(初代王)이시다. 신라김씨는 모두 알지의 후손이며, 경주김씨(慶州金氏) 또한 알(閼)字 지(智)字의 후손(後孫)이다. 미추왕의 어머니는 박씨(朴氏)로서 갈문왕(葛文王)의 따님이다.
그러나 이것은 설화적 성격이 짙으므로 많은 학자들로부터 신뢰받지 못하고 있으며, 대신 실제로 김씨를 사용한 것이 확인되는 첫 국왕은 제24대 진흥왕이다. 한편 최초의 김씨 국왕은 제13대 미추 이사금이며, 제17대 내물 마립간 때에 김씨 왕조 지배의 기틀이 잡혔다.
경주김씨(慶州金氏)는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셋째 아들 김명종(金鳴鍾)(영분공파(永芬公派))과 넷째 아들 김은열(金殷說)(대안군파(大安君派))을 각각 1세조로 하고 있다. 그리고 세계(世系)를 알 수 없는 파가 있는데, 장군 김순웅(金順雄)을 1세조로 하는 파다.
경순왕(敬順王)에게는 아홉 아들이 있었다 하는데 마의태자(麻衣太子)로 알려진 큰 아들 김일(金鎰)(일(溢))은 망국(亡國)의 한을 안고 입산하였고, 둘째 아들 김굉(金鍠)은 나주김씨(羅州金氏)의 시조가 되었다. 이리하여 셋째 아들 김명종(金鳴鍾)과 넷째 아들 김은열(金殷說) 후손과 김순웅 장군(金順雄將軍) 후손이 신라 왕성(王姓)인 경주김씨(慶州金氏)를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신라인들은 (경주) 김씨의 시조를 소호금천씨(少昊金天氏)로 여겼으며, 이는 《삼국사기》와 <김인문 묘비>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경주 김씨계에서 분적된 성씨로는 김녕 김씨(김해 김씨), 안동 김씨, 상산 김씨, 수원 김씨, 청도 김씨, 원주 김씨, 전주 김씨, 안동 권씨 수성 최씨 등이 있다.
경주 김씨 분파
고려 말과 조선 시대로 접어들며 신라 김씨 일부 후손들이 신라 대보공 김알지를 시조로 하고 경주(慶州)를 본관으로 하여 분파했다.
분파된 후손들 중 태사공파 지파인 상촌공파가 가장 번창하였고, 그 다음에는 장군공파 지파인 계림군파, 벽상공신내사령공파의 지파인 수은공파 순이다. 특히 김씨들 중에서 이름 중간에 '학' 또는 '관' 자가 들어가는 항렬이면 대부분 계림군파이고, '택' 자가 들어가는 항렬이면 상촌공파이다.
벽상공신내사령공파: 파조 김예겸(金禮謙)
- 두계공파(杜溪公派): 김인경(金仁鏡)의 현손 김충유(冲裕)
- 수은공파(樹隱公派): 김인경의 현손 김충한(金冲漢)
- 시어사공파(侍御使公派): 김인경의 현손 김충보(金冲保)
- 참찬공파(參贊公派): 김인경의 현손 김충익(金冲益)
- 밀직공파(密直公派): 김인경의 현손 김충원(金冲源)
- 강릉공파(江陵公派): 5세손 김서
- 부사공파(府使公派): 김인경의 현손 김상한(金相漢)
- 현감공파(縣監公派): 김인경의 현손 김정심(金正深)
병판공파(兵判公派): 김덕재
참판공파(參判公派): 김광재
태사공파: 파조 김인관(金仁琯)
- 전서공파(典書公派): 파시조 김인관의 9세손 김자정
- 도사공파(都事公派): 김초
- 감사공파(監司公派): 김장(金廧 : 전서공파의 분파)
- 상촌공파(桑村公派): 파시조 김인관의 9세손 김자수
- 판관공파(判官公派): 김자수의 첫째 손자 김영년
- 좌랑공파(佐郞公派): 김자수의 둘째 손자 김영원
- 사승공파(司丞公派): 김자수의 셋째 손자 김영전
- 공평공파(恭平公派): 김자수의 넷째 손자 김영유
- 우재공파(愚齋公派): 10세손 김한
- 송재공파(松齋公派): 11세손 김수량
- 남곡공파(南谷公派): 16세손 김의판도판서공파: 파조 김장유(金將有)
호장공파: 파조 김위영(金魏英)
- 판군기감사공파(判軍器監事公派): 파시조 김장유의 손자 김을식
- 감사공파(監司公派): 손자 김을돈
- 직장공파(直長公派): 손자 김을당
- 공조판서공파(工曹判書公派): 손자 김을귀
- 이조참의공파(吏曹參議公派): 손자 김원기
- 충암공파
계림군파: 파시조 - 계림군(鷄林君) 김균(金稛)
상서공파: 파조 김여진(金麗珍)
목사공파: 파조 김소(金邵)
판서공파: 파조 김의(金義)
판서공파: 파조 김덕재(金德載)
직장공파: 파조 김수구(金壽龜)
상호군파: 파조 김중약(金仲約)
경주 김씨 항렬표
1) 영분공파 (파조 김명종(金鳴鐘)) · 대안군파 (파조 김은열(金殷說))
- 사실상 경주 김씨 대동항렬자
世 | 항렬 |
31 | 호(鎬)◯ 전(銓)◯ |
32 | ◯수(洙) ◯영(永) |
33 | 동(東)◯ 병(柄)◯ |
34 | ◯렬(烈) ◯걸(杰) |
35 | 규(奎)◯ 효(孝)◯ |
36 | ◯현(鉉) ◯흠(欽) |
37 | 영(泳)◯ 홍(洪)◯ |
38 | ◯식(植) ◯수(秀) |
39 | 병(炳)◯ 훈(勳)◯ |
40 | ◯중(重) ◯곤(坤) |
41 | 종(鍾)◯ 건(鍵)◯ |
42 | ◯락(洛) ◯태(泰) |
43 | 주(株)◯ 권(權)◯ |
44 | ◯혁(赫) ◯엽(燁) |
45 | 재(在)◯ 교(敎)◯ |
46 | ◯석(錫) ◯옥(鈺) |
47 | 철(澈)◯ 하(河)◯ |
48 | ◯영(榮) ◯근(根) |
49 | 희(熙)◯ 경(炅)◯ |
50 | ◯기(基) ◯채(埰) |
51 | 용(鎔)◯ 진(鎭)◯ |
52 | ◯준(浚) ◯호(浩) |
53 | 상(相)◯ 동(東)◯ |
54 | ◯섭(燮) ◯환(煥) |
55 | 성(聲)◯ 재(載)◯ |
56 | ◯수(銖) ◯탁(鐸) |
57 | 해(海)◯ 제(濟)◯ |
58 | ◯집(集) ◯표(杓) |
59 | 현(炫)◯ 형(炯)◯ |
60 | ◯희(禧) ◯철(喆) |
2) 상촌공파(파조 김자수(金自粹)), 계림군파(파조 김균(金稛)),
世 | 상촌공파 | 계림군파 |
16 | 성(星)◯, ◯집(集) | |
17 | ◯원(遠), ◯희(熙) | |
18 | ◯상(商), 교(敎)◯ | |
19 | 氵부수 정(正)◯ | |
20 | ◯식(植), ◯경(經) | |
21 | 한(漢)◯ | 학(學)◯, 지(知)◯ |
22 | ◯주(柱) | ◯기(基), ◯식(式) |
23 | 노(魯)◯ | 진(鎭)◯, 시(是)◯ |
24 | ◯재(載), ◯희(喜), 수(秀)◯ | ◯수(洙), ◯우(友) |
25 | 상(商)◯, 용(容)◯ | 상(相)◯, 주(胄)◯ |
26 | ◯제(濟), ◯호(浩) | ◯환(煥) |
27 | 동(東)◯, ◯원(元) | 규(奎)◯ |
28 | ◯환(煥), ◯렬(烈), ◯기(冀) | ◯현(鉉) |
29 | 기(基)◯, 주(周)◯, ◯집(執) | 해(海)◯ |
30 | ◯종(鍾), ◯호(鎬) | ◯표(杓) |
31 | 연(淵)◯, 택(澤)◯, 수(洙)◯ | 병(炳)◯ |
32 | ◯직(稙), ◯목(穆) | ◯배(培) |
33 | 병(丙)◯, 창(昌)◯ | 석(錫)◯ |
34 | ◯규(奎), ◯배(培) | ◯한(漢) |
35 | 선(善)◯, 진(鎭)◯ | 주(柱)◯ |
36 | ◯구(求), ◯영(永) | ◯섭(燮) |
37 | 인(寅)◯, 영(榮)◯ | 길(吉)◯ |
38 | ◯하(夏), ◯연(然) | ◯옥(鈺) |
39 | 정(廷)◯, 준(埈)◯ | 윤(潤)◯ |
40 | ◯석(錫), ◯현(鉉) | 성(聲)◯, 재(載)◯ |
41 | 용(溶)◯, 태(泰)◯ | ◯수(銖), ◯탁(鐸) |
42 | 해(海)◯, 제(濟)◯ | |
43 | ◯집(集), ◯표(杓) | |
44 | 현(炫)◯, 형(炯)◯ | |
45 | ◯희(禧), ◯철(喆) |
3) 수은공파(파조 김충한(金冲漢))
世 | 수은공파 |
35 | 종(種), 만(萬), 중(重), 규(奎), 효(孝) |
36 | 섭(燮), 흠(欽), 수(秀), 욱(旭), 구(九) |
37 | 영(泳), 홍(洪), 회(會), 병(柄), 남(南) |
38 | 상(相), 수(秀), 영(永), 행(行), 우(宇) |
39 | 병(柄), 훈(勳), 성(成), 재(宰), 무(茂) |
40 | 중(重), 곤(坤), 필(弼), 기(起) |
41 | 강(康), 용(庸) |
42 | 재(宰), 익(翊), 달(達) |
4) 판도판서공파(파조 김장유(金將有)), 두계공파(파조 김충유(金冲裕))
世 | 판도판서공파 | 두계공파 |
16 | 상(商)◯ | |
17 | ◯태(泰), ◯정(鼎) | |
18 | 수(秀)◯ | |
19 | ◯희(熙) | |
20 | 기(基)◯, 재(在)◯ | |
21 | ◯구(九), ◯호(鎬) | |
22 | 홍(洪)◯ | |
23 | ◯식(植), ◯환(桓), ◯모(模) | |
24 | 응(應)◯, 병(炳)◯ | |
25 | ◯규(圭) | |
26 | 진(鎭)◯ | |
27 | ◯호(浩) | |
28 | 동(東)◯ | |
29 | ◯렬(烈) | |
30 | 재(載)◯, 거(車)◯ | |
31 | ◯현(鉉), ◯석(錫) | |
32 | 낙(洛)◯ | |
33 | ◯근(根) | |
34 | 용(容)◯ | |
35 | ◯균(均) | |
36 | 종(鍾)◯ | |
37 | ◯한(漢) | ○ 영泳 |
38 | 영(榮)◯ | 병柄 ○ |
39 | ◯환(煥) | ○ 희熙 |
40 | 기基 ○ | |
41 | 종鍾 ○ | |
42 | ○ 하河 | |
43 | ○ 주柱 | |
44 | 연然 ○ | |
45 | 규圭 ○ | |
46 | 호鎬 ○ |
경주김씨 수은공파대종회
경주김씨 감찰공파대종회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구독, 그리고 댓글은
저의 블로그 활동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