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학 설계115

볼트 및 너트 설계시 풀림방지를 위한 방법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방법설계단계에서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여 적절한 체결요소를 적용해야 합니다.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체결요소와 방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볼트나 너트가 운전 중에 풀린다는 것은 설비의 성능저하나 또는 고속회전체에서 부품이 튀어 나와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더 큰 설비사고로 연결될 소지가 다분합니다. 때문에 해당 체결요소들의 정기적인 점검을 통하여 볼트, 너트의 적정함 체결이나 풀림의 발견을 사전에 인지하여 안전을 확보해야 합니다.  목차  1. 풀림 방지를 위한 체결 요소(1) 스프링 와셔(KS B 1324) 스프링 와셔는 흔히 사용하는 기계요소로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조임 자리면을 손상시키거나 와셔의 절단 부분이 마모되거나 또는 탄력성이 .. 2023. 3. 13.
현대/기아/대우 회사별 표면처리 규격 비교 표면처리 규격차량 메이커 회사의 표면처리/도금 규격으로 후처리 색상, 두께 등을 확인 가능합니다.그리고 해당 규격이 타사 규격의 어느 수준과 동등 수준인지 비교할 수 있습니다.    표면처리 (도금) 규격후처리사양도금 두께 (㎛)백청 (Hr)적청 (Hr)대우현대기아대우현대기아대우현대기아대우현대기아GME00252-BMFZn5-BMFZNT1-W백색8±355`485648GME00252-B-1MFZn8-BMFZNT1-W88969696GME00252-AMFZn13-BMFZNT3-W151313144144144GME00252-A-1  ` ``GME00252-B-3MFZn5-CMFZNT1-C천연색8±35572144132120MFZn8-CMFZNT2-C88152168GME00252-A-3MFZn13-CMFZNT3-C15.. 2023. 3. 13.
주요 재질 KS 규격 및 JIS 비교 총정리 주요 재질 KS 규격 및 JIS 비교 총정리KS 규격은 대한민국의 국가 표준화 기구인 한국표준협회(KS)에서 제정한 표준화 규격을 의미합니다.주요 재질별 KS 규격과 동등 JIS 규격을 비교하고 각각의 기호에 대해 정리했습니다.목차    KS 규격 조회 사이트" data-og-title="e-나라 표준인증" data-og-type="website" data-ke-align="alignCenter" data-ke-type="opengraph"> e-나라 표준인증standard.go.kr  재질별 KS 규격 및 JIS 비교 재질 정보를 도면에 기입할 때 쓰는 KS 규격을 아래 표로 확인 가능하며 JIS 규격으로도 확인 가능합니다. KS D 2301 ~KS 규격KS기호규격명JIS 규격JIS기호기호설명KS D .. 2023. 3. 13.
차량 주행 저항 (구름저항, 등판저항, 공기저항 등) 차량 주행 저항 (구름저항, 등판저항, 공기저항 등) 차량이 주행 할 때는 반드시 저항을 받게 되어 있는데 주행저항 ( Running resistance)이라고 하며 이 저항이 커지면 큰 출력이 필요하고 반대로 저항이 적으면 작은 출력으로도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목차  1. 주행저항 개요 차량이 주행 할 때는 반드시 저항을 받게 되어 있는데 주행저항 ( Running resistance)이라고 하며 이 저항이 커지면 큰 출력이 필요하고 반대로 저항이 적으면 작은 출력으로도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주행저항은 차량 주행을 방해하는 측으로 작용하는 힘의 총칭으로서 구름저항, 공기저항, 등판저항, 가속저항의 4가지로 구성된다. 주행저항 식은 다음과 같다. P= K1 * F * VP : 주행저항 마력(ps) .. 2023. 3. 10.
금속 열처리 기술과 종류별 열처리 방법 금속 열처리 기술과 종류별 열처리 방법산업 현장에서 강재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열처리 기술과 열처리의 종류 및 방법에 대해 자료가 있어 정리해봤습니다. 금속 열처리에 관심있으신 분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목차   1. 금속열처리1) 열처리 기술의 개요열처리기술은 금속재료, 기계부품, 금형공구의 기계적 성질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가열과 냉각을 반복함으로써 특별히 유용한 성질(내마성, 내충격성, 사용수명연장등)을 부여하는 기술로서 제조 공정의 중간 또는 최종단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2) 열처리 기술의 종류(1) 일반열처리 금속재료 및 기계부품의 가공시 발생된 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열, 냉각하는 열처리기술로서 가열온도, 유지시간 냉각속도의 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1) 어닐링(Ann.. 2023. 3. 10.
[기계 제도] 도면 양식 규격 및 투상도(제1각법,제3각법) [기계 제도] 도면 양식 규격 및 투상도(제1각법,제3각법)목차  1. 도면 크기  도면은 일정한 크기로 만들어져야 하며, 표I-1과 같이 기계제도 규격이 있다. 한국산업표준(KS A 0005)에 따라 도면용지의 크기는 A열 사이즈(A0~A4)를 사용하고, 신문이나 교과서, 미술 용지 등은 B열 사이즈(B0~B4)를 사용한다 2. 도면 양식 (1) 윤곽선 윤곽선은 도면으로 사용된 용지의 안쪽에 그려진 내용이 확실히 구분되도록 하고, 종이의 가장자리가 찢어져서 도면의 내용을 훼손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긋는데, KSA 0106에 규정하고 있다.(2) 표제란 표제란은 도면 관리에 필요한 사항과 도면 내용에 관한 중요한 사항을 정리하여 기입하는데, 도면 번호, 도명, 기업(소속)명, 책임자의 서명, 도면 작성.. 2023. 3. 10.
비선형(Nonlinear) 개념과 비선형 정적해석 비선형(Nonlinear) 개념과 비선형 정적해석자연계의 현상은 정확히 말해서 모두 비선형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소변형의 범위 내에서는 선형정적해석을 수행하는 것으로도 비선형정적해석과 거의 동일한 해석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비선형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비선형정적해석은 선형정적해석에 비해 해석에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이 큽니다. 그래서, 실무에서는 선형정적해석을 수행 한 후 결과를 분석하여 추가적으로 비선형정적해석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목차  1. 비선형(Nonlinear)이란 무엇인가?선형(Linear)과 비선형(Nonlinear)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선형은 수학에서 나타내는 1차식이나 1차 함수를 말합니다. 즉 선형이란 그래프의 형태가 1개의 직선으로 표.. 2023. 3. 10.
록타이트 종류, 사양, 특징 록타이트 종류, 사양, 특징록타이트는 나사 고정제로 조립 부품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나사와 볼트 등의 조립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제품입니다. 록타이트는 기계, 자동차, 항공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부품의 종류와 용도, 강도나 내마모성, 내열성 등 특수한 용도에 맞게 적절한 종류의 록타이트를 사용해야 합니다.록타이트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제품 라인업과 록타이트 종류별 사양과 특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목차  록타이트 제품 라인업  사양별 강도와 용도, 특징   색상에 따른 제품 별 특징  제품 사용 TIP  록타이트 사양별 상세 정보록타이트 222  록타이트 242 록타이트 243 록타이트 263 록타이트 272  록타이트 277 록타이트 290 록타이.. 2023. 3. 10.
파스칼의 원리, 수압기 수압기수압기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체를 통해 작은 힘을 전달하여 큰 힘을 낼 수 있는 기계 이다.기본적으로 2개의 면적이 다른 피스톤 이용하는데 한 쪽은 작은 단면적을 갖는 피스톤으로 외부에서 힘을 작용한다.다른 한 쪽은 이에 대응하는 큰 힘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피스톤이다.   파스칼의 원리수압기는 비압축성 유체일 때 밀폐되어 있는 유체에 압력을 가하면압력을 받은 물질 내 모든 곳이 같은 크기의 압력을 받는다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한다. 압축률이 적은 기름이나 물을 이용하는 기계로서 (그림 1)에서 수압기의 기본적인 원리를 설명한다.유체 내에서 모든 부분의 압력이 같아야 하므로 압력 P = F1/A1 = F2/A2를 따른다.    F1, A1은 각각 (1) 지점에서의 힘과 단면적이고 F2,A.. 2019. 5. 10.
제품 개발 및 설계 단계 제품 개발 및 설계 단계목차   1.1 제품 설계1.1.1 사용 요구조건의 설정 ESTABLISH END-USE REQUIREMENTS  어느 부품 설계시나 제일 먼저 예상되는 최종 사용 요구조건에 대하여 세심하게 검토하여야 한다최종사용 요구조건 설정시에 필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예상되는 구조적인 요구조건 (ANTICIPATED STRUCTURAL REQUIREMENTS) ① 하중 - 제품에 작용하는 응력과 제품의 변형을 파악할 수 있다. ② 하중의 속도 - 하중이 가해지는 속도 변화에 따라 각각 다른 거동(BEHAVIOUR)이 나타나므로 하중이 가해지는 속도의 빠르기를 조사하여야 한다. ③ 하중의 작용기간 - 작은 하중에 의해 초기에 발생된 미소변형이라도 하중이 지속되는 경우 변형이 점점 더 .. 2019.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