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학 설계115

볼트 용도별 종류와 KS 규격 볼트 용도별 종류와 KS 규격 목차  1. 일반 볼트(1) 용도에 의한 분류① 관통 볼트(through bolt)조이려는 부분을 관통하여 볼트 지름보다 약간 큰 구멍을 뚫고, 여기에 머리 붙이 볼트를 끼워 넣은 후 너트로 결합하는 볼트② 탭 볼트(tap bolt)관통볼트를 사용하기 어려울 때 결합하려는 상대 쪽에 암나사를 내고, 머리붙이 볼트를 조여 부품을 결합하는 볼트③ 스터드 볼트(stud bolt)양쪽 끝 모두 수나사로 되어있는 나사로서 관통하는 구멍을 뚫을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한다. 한쪽 끝은 상대 쪽에 암나사를 만들어 미리 반영구적으로 나사 박음하고, 다른쪽 끝에 너트를 끼워 죄도록 하는 볼트    (2) 볼트 머리부에 따른 분류① 6각 볼트머리모양이 정6각형인 볼트로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 2023. 4. 10.
[재료역학] 굽힘 응력과 단면계수 1. 저항모멘트와 굽힘응력하중을 받고 있는 보의 내부는 모든 단면이 굽힘모멘트를 받고 있다. 즉, 굽힘작용의 정도는 단면 편측의 힘의 모멘트 총합으로 나타내고, 이를 굽힘모멘트라 함. 이중 최대 굽힘모멘트와 이것이 발생하는 위치를 구하는 방법은 힘의 평형만을 생각하고, 어느 단면이라도 힘의 모멘트 합은 0이 되므로 평형상태가 된다. 그러나, 평형상태는 유지되지만, 단면의 위치 또는 보의 조건에 의해 달라진다. 인장이나 압축을 받는 기계 또는 구조물은 항상 안정한 상태에서 기능이 발휘되며, 외력에 의해 굽힘모멘트가 발생해도 파괴되지 않기 위해서는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저항이 재료내부에서 발생해야 한다. 그림과 같이 임의 단면 X에 굽힘모멘트 M이 발생하면, 보의 단면 X 오른쪽은 반시계방향의 M을 받으.. 2023. 4. 7.
[기계제도] 도면 치수 기입 방법/기준 제도] 도면 치수 기입 방법/기준[기계제도] 도면 치수 기입 방법/기준목차  1. 치수 기입의 원리 및 원칙 도면에 표시되는 것 중에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치수이다. 도형이 올바르게 그려져도 치수 기입이 잘못되면 완전한 제품을 만들 수 없다. 따라서, 도면에 기입한 치수는 정확하게 정의해야 하며, 알기 쉽고 간단명료해야 한다. (1) 치수 기입의 원리 물체의 크기를 표시할 때에는 길이, 높이, 두께를 각각 치수로써 나타내야 한다. 치수는 크기 치수, 자세 치수, 위치 치수로 표시하며, 치수의 종류와 위치는 아래 그림과 같다. 크기 치수는 길이, 높이, 두께의 치수를 의미하며, 자세나 위치 치수는 중심선과 중심선, 면과 중심선 등의 거리나 각도로 표시한다.  (2) 치수 기입의 원칙(KS B 0001.. 2023. 4. 7.
[공학] 자동차의 최대 적재량 규정/기준/계산 자동차의 최대 적재량 규정/기준/계산목차  1. 적용 범위 자동차의 안전기준에 따른 규정으로 자동차의 최대적재량을 산출할 경우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산출조건2.1 제5륜 하중의 산출은 최대적재량의 산출에 준한다.2.2 덤프형 화물자동차는 일반적인 경우와 비중이 낮은 경량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로 구분하고, 단위부피당 무게를 적용하여 최대적재량을 산출한다.2.3 탱크로리 등의 자동차는 당해 자동차의 용기와 적재물의 비중을 고려하여 최대적재량을 산출한다. 3. 산출방법3.1 덤프형 화물자동차(피견인형 포함)  3.1.1 일반적인 경우 V(m³) = A × B × C V : 적재함 용적 A : 적재함(내측) 길이 B : 적재함(내측) 너비 C : 적재함(내측) 높이                       .. 2023. 4. 5.
[공학] 차량 중량, 축중 계산, 하중분포, 타이어 부하 등 차량 중량, 축중 계산, 하중분포, 타이어 부하 등목차  1. 측정조건(1) 자동차는 공차 또는 적차상태로 한다.(2) 공차상태의 중량분포로서 적차상태의 중량분포를 산출하기가 어려울 때에는 공차상태와 적차상태를 각각 측정한다. 이 경우 좌석정원의 인원은 정위치에.입석정원의 인원은 입석에 균등하게 승차하며, 물품은 물품적재장치에 균등하게 적재한 것으로 한다.안전기준 제7조(중량분포)자동차의 조향바퀴의 윤중의 함은 차량중량 및 차량총중량 대하여 20퍼센트(3륜의 경형 및소형자동차의 경부에는 18퍼센트 이상이어야 18퍼센트)이상이어야 한다.안전기준 제25조(승객좌석의 규격)승객좌석의 규격은 가로·세로 각각 40센티미터 이상 앞좌석 등받이의 뒷면과 뒷좌석 등받이의앞면과의 거리는 65센티미터 이상이어야 한다.승합.. 2023. 4. 5.
[공학] 응력부식균열(stress corrosion cracking, SCC) 현상 원인 응력부식균열(stress corrosion cracking, SCC) 현상 원인목차  응력부식 균열 현상과 원인응력과 부식의 공동작용으로 생기는 균열의 현상을 응력부식균열이라고 합니다.일반적으로 금속에 인장응력을 가해도 인장강도를 넘지 않으면 파단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어떤 부식환경 하에서는 인장강도 이하의 응력에서도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균열이 생기고 조건에 따라 파단됩니다. 파단까지 걸리는 시간은 주어진 인장응력이 클수록 짧아집니다.응력부식균열이 생기는 부식환경은 금속이나 합금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몇 가지로 한정되어 있습니다(표 참조). 또한, 균열 원인 물질의 농도나 환경의 온도가 어느 정도 이상 높아지지 않으면 균열되지 않습니다.   균열 원인 물질  자주 발생하는 케이스는 SUS304와 같은 .. 2023. 3. 31.
[공학] 아연 백청/백화(White Rust) 현상 발생 원인/대책 아연 백청/백화(White Rust) 현상 발생 원인/대책목차  백화(White Rust)현상이란? 용융아연도금된 구조물이 이산화탄소 없이 고인물이나 습기와 만날 경우 산화보호층이 아닌 수산화 혹은  산화아연을 형성하게 된다. 이 물질은 흰색을 띄게 되는데 이를 백화(White Rust)현상이라고 부른다. 이는 금속표면에 부착되는데 산화보호층(Patina)역할을 하지 않는다.  산화보호층(Patina)이 생성된 용융아연도금 구조물에는 백화(White Rust)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백화(White Rust)의 발생원인  백화(White Rust)는 염기성 탄산아연이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고 그 발생에는 반드시 수분이 관여한다.  수분은 우수나 비말에 의한 것도 있지만 이슬에 의한 것도 종종 있.. 2023. 3. 31.
현가 장치의 종류 (Suspension system) 현가장치의 종류차량의 승차감을 유지해주고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해주는 장치인 현가장치의 종류와 구조, 특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목차   1. 현가 장치 (Suspension system) 현가장치란 불규칙한 노면으로 인한 진동과 충격을 감쇠시켜 편안한 승차감을 유지시켜주고 차량의 다른 부품들을 진동과 충격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는 자동차 부품이다. 넓은 의미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노면사이에 있는 타이어, 스프링, 댐퍼, 기구학 적 링크를 의미하며, 차축과 노면 사이의 타이어를 1차 현가장치(Primary suspension), 차축과 차체 사이의 스프링과 댐퍼를 2차 현가장치(Secondary suspension)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란 차체와 차축을 연결하는 스프링과 댐퍼 등으로 이루어진 .. 2023. 3. 24.
시카 플렉스 종류/사양/용도 sikaflex 시카 플렉스 종류/사양/용도 sikaflex산업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시카플렉스의 종류와 사양, 그리고 사양별 특징, 용도에 대해 정리했습니다.제품 정보는 시카플렉스 홈페이지를 참조하였습니다.목차  1. 차량 내/외부 씰링용 (1) Sikaflex®-221  넓은 접착 범위에 따른 다목적 실란트   Sikaflex-221는 금속, 금속 프라이머 및 페이트 코팅(이액형 시스템), 세라믹 소재 및 플라스틱 같은 다양한 소재에 잘 접착되는 다목적 일액형 폴리 우레탄 접착제/실란트 다.이 제품은 영구적인 밀봉을 구현하기에 적합 하다.   다양한 소재 접착내노화성가공 및 페인팅 가능   (2) Sikaflex®-265 경화 시간 단축 옵션이 있는 내후성 판유리 접착 실란트  SikaFlex-265는 상용차 판유.. 2023. 3. 21.
볼트 적정 체결 토크/축력, 강도 볼트 적정 체결 토크/축력, 강도목차    볼트 규격    볼트 체결 토크 및 체결 축력 계산   볼트 토크 계수, 초기 체결력     볼트 강도 통상적으로 탄소 강선 특히 냉간단조용 강선재를 주로 사용합니다.  - 4.8 등급 : S10C 상당 재료  - 8.8 등급 : S45C 상당 재료  - 9.8 등급 이상 : SCM435 ~ SCM440   그 외 침탄소재강도 사용되는데 보통 S12C ~ S25C 상당 재료를 사용합니다.      사용 위치에 따른 볼트 강도 선정 - 특별히 강도를 요하지 않는 부품의 결합은 4T를 사용합니다. - 강도를 요하고 진동에 의한 풀림이 염려될 경우 7T를 사용합니다. - 중요 부품이거나 공간적으로 나사 크기가 제한되는 부위는 9T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합니다     재.. 2023.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