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 자료165

[제사] 지방과 축문 작성 방법 및 의미 해석 목차   1. 지방 (紙榜)신위(神位), 즉 죽은 이를 표상한 초상화나 위패 등의 하나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 대신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친 직후 태워버립니다.  옛날에는 사진이 없어서 돌아가신 분에 대한 상징을 글로 표시하여 지방을 썼으나, 지금은 사진이 있으니 사진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면 더욱 좋습니다.  지방 쓰는 법한 장의 지방에 남여 조상 두 분의 신위를 쓸 때는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은 남자조상을 쓰고, 오른쪽은 여자조상을 쓰며 세로 쓰기를 합니다.       문구 해석, 의미顯(현) : 존경의 의미로 지방의 첫글자에 항상 붙음考(고) : 모시는 대상 표시. '考'는 돌아가신 아버지를 의미妣(비) : 모시는 대상 표시. '비'는 돌아가신 어머니.. 2023. 9. 19.
제주 양씨(남원 양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제주 양씨 (濟州 梁氏), 남원 양씨(南原 梁氏)  제주 양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53만 명으로 전체 본관별 인구수 22위입니다. 제주 양씨(약 14만명과)와 분적한 남원 양씨(약 31만명)이 대다수입니다. 제주 양씨와 남원 양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제주 양씨 (濟州 梁氏), 남원 양씨(南原 梁氏) 역사 제주도의 삼시조 중 한 명인 양을나(良乙那)가 시조이며 제주도에 탐라국(耽羅國)을 세웠다고 전한다. 중시조인 탐라국주 양탕(梁宕)이 신라 내물왕 때 입조하여 선린외교를 하였고, 그 때부터 양(良)씨 성을 양(梁)씨 성으로 쓰게 되었다.제주 양씨(濟州 梁氏)는 한라군 양순(梁洵)이 신라 신문왕 때 한림학사에 봉해졌고, 고려 태조 때 성주왕자를 봉작(封爵) 받.. 2023. 9. 18.
제주 고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제주 고씨 (濟州 髙氏) 제주 고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31만 명으로 전체 본관별 인구수 26위입니다. 제주 고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제주 고씨 (濟州 髙氏) 역사  제주도에는 본래 사람이 없었는데 삼신인(고을나(高乙那),양을나(良乙那) 부을나(夫乙那))이 한라산 북쪽 기슭 모흥혈에서 솟아 나왔다고 한다. 이들 삼신은 짐승을 사냥해서 살았는데 어느 날 동쪽에서 상자 하나가 바다로 떠내려 와서 열어 보니 그 속에는 미녀 세 명과 곡식의 씨앗, 망아지, 송아지가 들어 있었다. 삼신이 미녀 세 명을 각각 배필로 맞아 목축과 농사를 지어 살았다고 한다. 그 중 고을나가 제주 고씨(濟州高氏)의 시조가 되었으며 본관을 제주로 하였다.고을나의 15세손 고후(高厚)·고청.. 2023. 9. 18.
수원 백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수원 백씨 (水原 白氏)수원 백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35만 명으로 전체 본관별 인구수 23위입니다. 수원 백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수원 백씨 (水原 白氏) 역사『백씨대동보(白氏大同譜)』에 따르면 시조 백우경(白宇經)은 중국 고대의 전설 속의 황제(黃帝) 헌원씨(軒轅氏) 16세손 백을병(白乙丙)의 후손으로 중국 소주(蘇州) 출신이다. 당(唐)나라에서 첨의사(僉議事)와 이부상서(吏部尙書)에 이르렀으나 간신(奸臣)들의 모함을 받아 780년(신라 선덕왕 1년) 신라에 건너와 자옥산(紫玉山:지금 경주시 안강읍 옥산동) 밑에 정착한 후 영월당(迎月堂) 만세암(萬歲庵)을 짓고 학문 보급에 진력하였다고 한다.그러나 이후 계대(系代)가 불명하여 신라 경명왕(재위 917.. 2023. 9. 15.
달성 서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달성 서씨 (達城 徐氏)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달성 서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41만 명으로 전체 본관별 인구수 21위입니다. 달성 서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달성 서씨 (達城 徐氏) 역사달성 서씨는 대구(大邱)를 관향으로 하며, 고려 중엽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 서진(徐晋)을 시조로 한다. 그의 출생 연도는 대략 서기 1260년(고려 원종)에서 1280년(충렬왕) 사이로 추정되며, 1300년대에 고려 때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오르고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고 한다.출생년도는 대략 서기 1260년에서 1280년 사이로 추정된다. 서진(徐晉)의 어머니는 고려조(高麗朝) 정순대부(正順大夫) 예의판서(禮儀判書)와 검교장군(.. 2023. 9. 15.
해주 오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해주 오씨 (海州 吳氏) 항렬표해주 오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46만 명으로 전체 본관별 인구수 18위입니다. 해주 오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해주 오씨 (海州 吳氏)  역사 해주 오씨(海州 吳氏)의 본관은 황해도 해주시이며, 오인유(吳仁裕)를 시조로 모시는 경파와 오현보를 시조로 모시는 향파의 두 계통이 있다.해주 오씨는 조선조에 상신 2명, 대제학 3명, 공신 3명, 청백리 1명, 문과 급제자 99명, 무과 급제자 267명, 생원·진사 326명을 배출하였다. 해주 오씨 경파(京派)해주 오씨 경파의 시조 오인유(吳仁裕)는 중국 송(宋)나라의 대학사(大學士)로 984년(성종 3년) 고려에 동래하여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지내고 해주(海州)에 정착하였다. 오.. 2023. 9. 15.
전주 최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전주 최씨 (全州 崔氏) 항렬표전주 최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46만 명으로 전체 본관별 인구수 19위입니다. 전주 최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전주 최씨 (全州 崔氏) 역사 - 전주 최씨 4개 계파는 서로 연원과 조상이 다르다. 문열공계(文烈公系)최순작을 시조로 하는 문열공계(文烈公系)는 전주의 토착 성씨다. 완산 최씨(完山 崔氏) 시조(始祖)이기도 하다. 1968년 첨추공파보(僉樞公派譜)에 최순작의 배(配)는 평양조씨(平壤趙氏)라고 기록되어 있다.문열공계의 설명에 따르면, 최순작은 신라 말 삼최(三崔)로 불렸으며 완산백(完山伯)에 봉해진 최언위의 후예다. 최순작은 고려 정종 때 문과에 급제해 숙종 때 병부상서(兵部尙書)와 검교신호위상장군(檢校神虎衛上將軍)을 .. 2023. 9. 14.
남양 홍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남양 홍씨 남양 홍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49만 명으로 전체 본관별 인구수 16위입니다. 남양 홍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대다수의 남양 홍씨는 당홍(唐洪)계이고, 토홍(土洪)계는 3만명 정도입니다.  -  당홍(唐洪)계 : 당나라에서 귀화한 홍천하 후손  - 토홍(土洪)계 : 고려 고종 때 금오위별장을 지낸 홍선행의 후손 목차  남양 홍씨(南陽 洪氏) 역사 당홍계(唐洪系)당홍의 시조 홍천하(洪天河)는 고구려 27대 영류왕 때 중국 당나라에서 8학사의 한사람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유학과 문화를 혁신시켰다.신라 27대 선덕여왕 때 유학의 발전에 공을 세워 당성백(唐城伯)에 봉해졌고 태자태사(太子太師)가 되었으며 본관을 당성으로 하였다.당성이 후에 남양으로 지명이 바뀌.. 2023. 9. 14.
남평 문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남평 문씨 항렬표남평 문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44만 명으로 전체 본관별 인구수 21위입니다. 남평 문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남평 문씨(南平 文氏) 역사 남평 문씨의 시조 문다성(文多省)은 고려 삼중대광벽상공신(三重大匡壁上功臣) 남평백(南平伯)에 봉해지고 무성(武成)의 시호를 받았다고 한다. 문다성은 갓난아기 때 백제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의 장자못이라는 연못가의 높은 바위 위에서 발견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의 장자못가에 문암(文巖)이라는 전설 속의 바위가 남아 있다.472년(백제 개로왕 18년)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 동쪽에 장자못이라는 큰 못이 있었고 그 못가에 천길 높이의 바위가 솟아 있었다. 하루는 군주(수령)가 그 바위 아래.. 2023. 9. 13.
[구舊/신新] 안동 김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안동 김씨안동 김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52만 명으로 전체 본관별 인구수 15위입니다.대다수의 안동 김씨는 구(舊) 안동 김씨 가문이고, 신(新) 안동 김씨 가문은 2~3만명 정도입니다.  - 구(舊) 안동 김씨 (상락 김씨, 선先 안동 김씨 등으로 부르기도 함) : 시조는 신라 경순왕의 손자인 평장사공(平章事公) 김숙승(金叔承)  - 신(新) 안동 김씨 (장동 김씨, 후後 안동 김씨 등으로 부르기도 함) : 시조는 고려 왕조의 개국 공신 김선평(金宣平)각각의 안동 김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안동 김씨(安東 金氏) 역사 구(舊) 안동 김씨구(舊) 안동 김씨는 신라 김씨의 시조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손 중 한 성씨이다.시조는 평장사공(平章事公).. 2023.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