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자료165 평산 신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평산 신씨 항렬표평산 신씨(平山 申氏)는 2015년 통계 기준 인구수 약 56만 명으로 전체 13위입니다. 평산 신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목차 평산 신씨 (平山 申氏) 역사 시조평산 신씨의 시조인 신숭겸(申崇謙)의 원래 이름은 능산(能山)이며, 전라도 곡성현(谷城縣) 출신이다.태봉의 장군으로 있다가 홍유(洪儒), 배현경(裵玄慶), 복지겸(卜智謙) 등과 함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王建)을 왕으로 추대하여 고려를 개국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태조(太祖) 왕건에게 평산을 관향(貫鄕)으로 하사받았으며, 신(申)씨를 사성(賜姓)받았다.927년(태조 천수(天授) 10) 팔공산에서 견훤과의 전투 중 태조를 대신하여 전사하였다. 이에 태조 왕건은 순절한 신숭겸에게 벽상호기위태.. 2023. 9. 12. 순흥 안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순흥 안씨순흥 안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대동항렬표 및 제 1,2,3파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순흥 안씨(順興 安氏)고려 신종 때 흥위위보승별장(興威衛保勝別將)을 역임하고 신호위상호군(神虎衛 護軍)에 추봉된 안자미를 시조로 하고 있다. 그 이전에는 순흥 안씨와 관련된 기록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경상도 영주 순흥 지역의 토착 가문이었던 것으로 파악된다.순흥 안씨는 시조의 증손인 안향 이후 크게 번성했다. 안향은 고려 원종 때 문과에 급제 한 뒤, 교서랑(校書郞)과 감찰어사(監察御史), 상주판관(尙州判官)을 비롯한 주요 관직을 두루 역임했고, 충렬왕 복위 때 판판도사사(判版圖司事)가 되어 ‘섬학전’(贍學錢)을 설치하고 후진 양성에 진력하여 유학의 학풍을 일으켰다. 특히 그의 문하에서 백.. 2023. 8. 16. 안동 권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안동권씨(安東 權氏)안동 권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세차배정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안동권씨(安東 權氏) 역사 안동 권씨(權氏)는 본래 김씨(金氏)로 신라의 김씨 왕실에서 분관하여 고려 태조에게 권씨(權氏)를 최초로 사성받아 김씨(金氏)에서 권씨(權氏)로 환성한 성씨이다. 시조는 당시 고창(古昌)에서 별장을 지낸 태사공(太師公) 권행이다.본래 신라의 왕성(王姓)인 경주 김씨였으며, 본명이 김행이다. 신라 추존 국왕인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이고, 김알지 계열 성씨이다. 경순왕 원년 (927년 11월) 후백제의 군주인 견훤(甄萱)이 경애왕을 주살하게 하자, 이에 격분한 삼태사(三太師) 권행(權幸),김선평(金宣平),장정필(張貞弼) 인물들이 고창 전투에 참전해 크게 승리를 거.. 2023. 8. 11. 전주 이씨 항렬표 [양녕대군파, 효령대군파, 광평대군파 등] 전주 이씨(全州 李氏) 조선과 대한제국의 국성(國姓)인 전주 이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263만명으로 우리나라에서 3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 입니다. 전주 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 및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전주 이씨 역사전주 이씨의 시조는 신라의 사공(司空) 벼슬을 하였다고 전해지는 이한(李翰)이다. 이한의 손자 이천상이 신라에서 복야(僕射) 벼슬을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공은 원래 중국사의 명예직이고, 복야라는 관직은 신라 진성여왕 시기에 최초로 도입되었다고도 하는데, 진성여왕 시기는 통일신라가 끝날 무렵이다. 따라서 이에 따르면 신라에서 복야 벼슬을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니 신라는 삼국시대 신라가 아닌 통일신라를 말한다. 다만 고대의 기록에서 심지어 고려 때까지도 제도.. 2023. 7. 26. 김해 김씨 항렬표 [삼현파, 감무공파, 경파 등] 김해 김씨(金海 金氏)우리나라에서 오래된 성씨 중 하나이며 가야계열 고대국가 가락국의 초대 국왕인 김수로를 시조로 하는 김해 김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446만 명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성씨 입니다. 김해 김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 및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김해 김씨 역사 (1) 시조 김수로(金首露) 김해 김씨의 시조는 가락국 초대 국왕인 김수로(金首露)이다. 김수로 왕의 탄생 설화에 따르면 성을 김(金)이라 한 것은 금으로 된 알에서 태어났기 때문이고, 이름을 수로라 한 것은 여섯 황금알 중에서 제일 먼저 태어났기 때문이다. 서기 40년경 변한의 땅에는 아직 나라의 이름과 임금의 제도가 없었고 다만 아도간(我刀干),여도간(汝刀干),피도간(彼刀干),오도간(五刀干).. 2023. 7. 26. 밀양 박씨 항렬표 [규정공파, 판서공파, 밀양공파 등] 밀양 박씨(密陽 朴氏)경상남도 밀양시를 본관으로 하는 밀양 박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317만 명으로 우리나라에서 2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 입니다. 밀양 박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밀양 박씨 역사신라의 제54대 국왕 경명왕(景明王)의 장남 밀성대군 박언침(朴彦忱)을 시조로 한다. 박혁거세의 후손은 크게 절대다수인 일성왕계와 소수인 파사왕계로 나뉘는데, 밀양 박씨는 그중 일성왕계로 분류되며 경명왕의 제1왕자인 30세 밀성대군 박언침(密城大君 朴彦忱)을 도시조로 한다. 박언침은 밀양, 반남 박씨들의 공동 시조가 된다.박씨는 신라 초기에 7명, 후기에 3명, 총 10명의 국왕을 배출하였다. 고려 개국 시점에, 밀성대군이 아버지 경명왕으로부터 분봉받은 것으로.. 2023. 7. 19. 경주 김씨 항렬표 [상촌공파, 계림군파, 수은공파 등] 경주 김씨(慶州 金氏)우리나라에서 오래된 성씨 중 하나인 경주 김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약 189만 명으로 우리나라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 입니다. 신라의 수도 월성은 경주의 다른 이름이기 때문에, 경주 김씨는 월성 김씨로도 불리기도 합니다. 경주 김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경주 김씨 역사 경주 김씨의 시조는 신라의 추존왕 김알지(金閼智)이다. '김'(金)이라는 성씨는 그가 제4대 탈해 이사금 시절에 금궤에서 나왔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고려 인종 김부식(金富軾)이 지은 삼국사기(三國史記)의 책에는 신라의 4대임금 탈해왕(脫解王)께서 밤에 들으니 경주 금성 서쪽에 있는 시림(始林)이란 숲사이에서 닭이 우는 소리가 들려 세자 태보(太保)인 호공.. 2023. 7. 18. 자동차 고사 지내는 방법과 준비물 사람이 살아가면서 겪을 수 있는 운수 사나운 일은 액(厄), 재액(災厄), 액운(厄運) 등 여러 가지로 불리는데 예부터 이를 피하기 위해 갖가지 방법의 액막이를 거행하였다. 자동차를 사용함으로써 겪을 수 있는 위험은 근대에 와서 나타난 신종 액운이라 할 수 있고 전통적인 액막이의 현대적 변용으로 볼 수 있다. 자동차 고사는 주로 차량을 새로 구입하였을 때 진행하거나, 사고가 난 뒤 재발 방지의 의미로 치러지기도 한다. 지역이나 연행자에 따라 방법이 다르기도 하지만 보통 단출하게 진행되어 진설과 재배, 제물 일부의 헌식, 음복으로 맺음된다. 목차 1. 준비물(1) 제물 : 원하는 형태의 음식 준비 - 통북어 : 물고기는 잘 때도 눈을 뜨고 자기 때문에 액운을 잘 감시한다. - 돼지머리 : 재물의 .. 2023. 7. 17. 청주 한씨 항렬표, 역사 알아보기 청주 한씨청주 한씨는 오래된 역사만큼이나 다양한 계파를 갖고 있습니다. 청주한씨 중앙회에서 확인 가능한 청주 한씨의 간략한 역사와 대동항렬표을 비롯한 청주 한씨 35계파 중 5개 계파(충성공파, 이양공파, 참판공파, 문양공파, 문정공파)의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청주 한씨의 역사 청주한씨(淸州韓氏)의 유래(由來)는 후조선 (後朝鮮)인 기자조선(箕子朝鮮)에서 기원(起源)한다. 기자는 은(殷)나라의 종실(宗室)로서 주왕(紂王)의 숙부(叔父)가 된다. 주왕(紂王)이 잔인하고 포악하여 국정(國政)이 쇠퇴함으로 주나라 무왕(周. 武王)이 이를 토멸하고 기자(箕子)에게 치국(治國)하는 대도(大道)를 청문하기로 홍범(洪範)을 자문하여 주고. 의리상 신복(臣僕)이 될 수는 없다하여 고조선(古朝鮮)에 망명(亡.. 2023. 7. 7. 경주 이씨 항렬표 [익재공파, 국당공파, 상서공파] 경주 이씨우리나라에서 손꼽히는 오래된 성씨 중 하나인 경주 이씨는 2015년 통계 기준 인구수 약 139만 명으로 전체 5위에 해당됩니다. 경주 이씨 문중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 역사와 항렬표를 정리했습니다. 목차 경주 이씨 (慶州 李氏) 역사시조와 진한(辰韓) 6촌 경주이씨의 시조(始祖)는 이알평(李謁平)이고 본관(本貫)은 경주(慶州)이다. 『삼국유사』에는 기원전 117년에, 경주이씨의 시조인 이 하늘에서 신라의 4영산(靈山)의 하나인 경주 동북에 있는 금오산(金鰲山)의 표암봉(瓢巖峰)에 내려왔다고 한다. 신라 6촌(村)은 알천양산촌 (閼川楊山村)·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무산대수촌(茂山大樹村)·취산진지촌(嘴山珍支村)·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명활산고야촌(明活山高耶村)이다. 『삼국사기』에는 유리왕(儒理王) .. 2023. 6. 30. 이전 1 ···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