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183

블랙홀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자! * 블랙홀? 블랙홀 ; 물질이 중력수축을 일으켜 그 크기가 임계반지름인 슈바르츠실트의 반지름 이하로 줄어든 천체. 검은 구멍이라고도 한다. 블랙홀은 A.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에 근거를 둔 것으로, 물질이 극단적인 수축을 일으키면 그 안의 중력은 무한대가 되어 그 속에서는 빛·에너지·물질·입자의 어느 것도 탈출하지 못한다. 블랙홀의 생성에 대해서는 다음 2가지 설이 있다. 첫째는 태양보다 훨씬 무거운 별이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강력한 수축으로 생긴다는 것, 둘째는 약 200억 년 전 우주가 대폭발(Big Bang)로 창조될 때 물질이 크고 작은 덩어리로 뭉쳐서 블랙홀이 무수히 생겨났다는 것이다. 이렇게 우주 대폭발의 힘으로 태어난 블랙홀을 원시 블랙홀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가.. 2017. 4. 5.
성운과 성단의 종류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자! * 성운 1. 성운이란? 빛나는 구름처럼 흐릿하게 보이는 천체. 육안 또는 소형 천체망원경으로 보았을 때 점광원은 아니라고 식별할 수 있는 천체이다. 2. 성운의 분류 발광 성운(Emission Nebula) 주위의 뜨거운 별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스스로 빛을 내는 성운으로 주로 붉은 색으로 보인다. 작은 성간 물질에 의해 별빛이 흡수되는데, 그 중의 대부분은 성간 물질에 의해 산란된다. 산란된 별빛에 의해 성운의 수소가 전리되고 빛을 방출하는데 주로 밝은 별(0형) 주위에 밀집되어 있는 먼지 구름에 의하여 빛나는 발광 성운은 행성상 성운에 비해 형상이 불규칙하고 크며 크기는 수십 광년 정도이고, 대표적인 예로서 오리온 대성운(M42)이 있다. 반사 성운(Reflection Nebula) 성단 물질의 .. 2017. 4. 4.
별의 의미, 탄생, 성장, 팽창, 최후, 그 이후에 대해서 알아보자! * 별의 의미 별의 생애 역사 생성 과정우리가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들은 모두 우리 은하계 내의 별들로서 천문학 용어로는 항성이라 한다. 항성은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을 말하며 태양도 이 항성 중의 하나이다. 흔히 사람들은 금성이나 수성, 목성 등도 별이라고 말하는데 이러한 것들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으로 이러 별들은 행성이라고 한다. * 별의 탄생 별이란 어디에서 만들어지는 것일까? 알려지기로는 은하계 내에 있는 가스나 티끌로 이루어진 거대한 성간 가스 구름에서 별들이 만들어진다고 한다. 초신성의 폭발이나 그 밖의 다른 이유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파가 이러한 성간 가스에 전해지면 가스 내부에는 주위보다 밀도가 높은 곳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밀도가 높은 곳을 중심으로 주위의 성간 가스들이 수축하게 된다.. 2017. 4. 3.
은하의 종류, 전파 은하, 우리 은하, 성단, 성운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은하의 종류 ⅰ.타원 은하(E) 타원체로 생긴 은하이다. 타원 은하는 마치 나선 은하의 핵과 같이 보일 뿐 나선팔이 었다. 납작한 타원형이 아니라 두꺼운 타원체라는 사실로 보아, 타원 은하의 회전 속도는 대단히 느리다. 외부 은하 중 가장 많은 것은 타원 은하이다. ⅱ.나선 은하 중심에 핵을 가진 원반형의 모양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나선팔을 갖고 있다. 흔히 은하면에는 가스 성운이 검게 나타난다. 큰 외부 은하의 약 60%가 나선 은하이며, 우리 은하도 이에 속한다. ⅲ.불규칙 은하(Irr) 모양이 불규칙하다. 남반구에서 볼 수 있는 큰 마젤란 성운과 작은 마젤란 성운은 불규칙 은하이다. 불규칙 은하는 전체 은하 중 약 3%정도이다. 2. 전파 은하 전파 망원경에 의하여 대단히 강한 전파를 내는 외.. 2017. 4. 2.
은하, 은하계, 은하수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 용어 비교 * 은하 : 은하면 및 은하계 중심에 밀집해 있는 행성을 지구에서 보았을 때 전천에 띠 모양으로 일주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성군 * 은하계 : 태양계를 포함한 많은 항성과 성단, 그리고 별들 사이의 성간물질로 이루어진 은하 * 은하수 : 아주 많은 미광성의 빛이 집적된 것. 은빛으로 빛나는 강과 같으므로 이런 이름이 붙었다. * 은하 은하면 및 은하계 중심에 밀집해 있는 행성을 지구에서 보았을 때 전천에 띠 모양으로 일주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성군을 말한다. 그리고 은하계는 태양계를 포함한 많은 항성과 성단, 그리고 별들 사이의 성간물질로 이루어진 은하를 말한다. 은하계는 안드로메다 은하와 비슷한 성질을 갖는 나사선은하이며 Sb형에 속한다. 일반적인 별의 분포는 밝은 별인 경우 비교적 천구.. 2017. 4. 1.
태양계의 여러 행성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태양과의 거리 순으로) * 수성(Mercury) 태양계에서 태양에 가장 가까운 행성 *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 0.387Au * 공전 주기 : 0.2409년 * 반지름 : 2439Km * 질량 : 3.30×1023 * 평균 밀도 : 5.43g/cm3 지구에서 볼때 수성은 태양과 28도 이상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해넘이후와 해돋의 전의 짧은 시간에만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수성을 관측하기란 참 힘든일이다. 수성은 달과 비슷한 크기의 아주 작은 행성이다. 수성도 자체에서 빛을 내지 못하고 또 수성은 87.969일에 공전하고 58.6462일에 자전한다. 그러므로 1일이 2년에 가깝다. 수성의 공전궤도는 많이 찌그러진 타원궤도를 하고 있기 때문에 근일점 부근의 8일간은 공전속도가 자전속도보다 빨라지게 된다. 그래서, 수성에서 본 태양.. 2017. 3. 31.
태양계, 태양, 태양의 흑점, 코로나, 쌀알무늬에 대해서 알아보자! * 태양계 약 46억년 전, 은하계의 어는 한 지점에서 초신성폭발이 일어났다. 이 폭발의 충격파가 성간운에 전해지면서 밀도가 불균형해졌다. 그러자 성간운은 밀도가 높은 부분을 향하여 수축하고 그 중심에서 원시 태양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원시 태양 옆의 가스는 그대로 원시 태양에 떨어져 들어가고, 먼 곳의 가스는 원시 태양 주위를 돌기 시작하여 원반 모양의 회전 성운이 원시 태양계 성운을 형성 하였다. 우리 태양과 9개의 행성은 은하계를 떠다니는 가스와 먼지로 형성된 성간운에 서 거의 동시에 생겼다고 생각된다. 성간운의 가스는 92%가 수소, 7.8%가 헬륨이다. 먼지는 주로 규산염으로 이루어진다 . 원반의 적도면에 모인 먼지의 층은 분열을 일으켜 무수한 미행성이 되었다. 미행성의 크기는 지구 궤도 부근에.. 2017. 3. 30.
우주의 생성, 우주의 나이, 팽창하는 우주에 대해서 알아보자! * 우주의 생성 우주는 진공에서 에너지가 폭발하며 생겼다. 따라서 처음에는 우주에 오로지 에너지만 있다가, 이 에너지로부터 입자가 생기고, 이 입자들이 모여서 원소가 생기고, 이 원소들이 모여 은하, 별, 행성들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 우주의 나이 팽창하는 우주는 원래 우주가 하나의 점이었다가 폭발했다는 빅뱅 이론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됐고, 관측결과도 이를 뒷받침함에 따라 오늘날 거의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빅뱅이 분명히 있었다고 믿고 있다. 허블의 발견 이래 지난 60여년 동안 천문학자들은 허블상수 즉 우주의 팽창률을 정확히 측정하는 일에 매달려왔다. 먼 은하의 후퇴속도와 거리를 재면 허블상수를 구할 수 있고 이 허블상수를 통해 쉽게 우주의 나이와 크기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허블망원경의 최우선 임무도.. 2017. 3. 29.
우주의 표현과 차이점, 우주관에 대해서 알아보자! * 우주란 무엇인가? 우주란 우리가 살고 있는 모든 공간, 천문학의 입장에서는 모든 천체, 또는 모든 물질·복사가 존재할 수 있는 한의 전 공간을 말한다. 이 우주는 빅뱅에서 시작되어 지금까지 팽창하고 있다. 우주안에 별과 은하계, 성운 등 많은 것들이 있고,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는 광속에 가까우며 우리 지구에서 가장 멀리 관측할 수 있는 별은 150만 광년 떨어진 별이다. (빅뱅이란 ; 우주를 탄생시킨 대폭발을 뜻하는 말) * 우주의 표현과 차이점 '우주'란 말은 영어로 세가지로 표현할 수 있다. 'Space' , 'Universe' ,'cosmos' 이렇게 세 가지 인데 각각 의미하는 바가 달라 구분되어 쓰이고 있지만, 우리말은 '우주' 하나 뿐이어서 번역이나 의미 전달에서 오류가 있음을 지적하지 않.. 2017. 3. 28.
구글 애드센스 가입 - 콘텐츠 불충분 피하기 tip 구글 애드센스 가입 - 콘텐츠 불충분 피하기 tip목차  adsense 심사 통과하기 구글 애드센스 (Google Adsense)는 구글의 광고 프로그램으로, 웹사이트 소유자가 가입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구글과 나눌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위키백과에 따르면, 애드센스 광고 수익은 사용자가 애드센스 광고를 클릭함으로써 광고게시자는 구글에 광고비를 지급하고, 구글은 그렇게 적립된 광고비를 웹사이트 제작자와 나누어 갖게 됩니다. 애드센스는 구글에 가입된 광고풀 가운데 웹페이지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광고가 나오게 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 공익 광고가 나오게 됩니다. 간혹 애드센스 자체 광고 혹은 애널리틱스 관련 광고도 뜨게 됩니다. 그러나 공익광고는 사용자가 클릭을 했다고 해도 수익이 생기지 않는다고 합니다.. 2017. 3. 23.